[싱가포르] 국립자원봉사및자선센터(NVPC), 자선·공공기관과 협력을 통한 기부생태계 활성화 전략 20231212
2021년 기준 싱가포르에는 2,359개의 자선단체 및 653개의 공공기관 운영 중
박동완 대기자
2024-03-15 오후 1:50:56
□ 연수내용

◇ 간식과 함께 연수단을 맞아주는 담당자

○ 1층까지 마중 나와준 담당자 벤자민 테이(Benjamin Tay)씨를 만나 4층 건물로 올라왔다. 전략정책팀의 벤자민씨 외에 지식정보팀의 테오 첵 리앙(Teo Chek Liang), 디지털경영부의 제레미 쿠아(Jeremy Kuah)씨가 연수단을 환영해줬다.

○ 벤자민은 연수단이 오기 전, 크리스마스 파티를 했다며 연수단에게도 다과와 음료를 준비해주며 분위기를 풀었다.

○ 명함 교환을 마치고, 싱가포르 자원봉사 및 자선센터(National Volunteer & Philnathropy Centre, 이하 NVPC)에 대한 소개에 대한 브리핑을 시작했다.



◇ 자선·공공기관과 협력하는 싱가포르 내 자원봉사 허브

○ 2021년 기준 싱가포르에는 2,359개의 자선단체가 있고, 653개의 공공의 성격을 가진 기관이 있다. 자선기관 중 종교, 사회복지와 관련된 기관이 대략 60% 이상을 차지한다. 공공 성격의 기관에서는 사회복지와 건강 부분이 약 50%를 나타낸다.

○ NVPC는 싱가포르 내 기부를 옹호하는 독립적인 비영리단체로, 자선활동과 기부문화를 촉진해 싱가포르의 기부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선단체, 기업, 공공 부문 기관, 기관,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자원봉사, 기업 기부 및 사회적 책임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과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 싱가포르 정부로부터 인정받았기에 공공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람, 단체, 담당자들을 소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 싱가포르가 좋은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사람 △리더 △기업 △커뮤니티라는 우선순위를 두고 City of Good이라는 비전을 내세운다. 국민이 포용적이고, 배려하는 사회에서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와 자선활동을 이끈다. 

◇ 주주 중심에서 목적 중심 기업으로 변화하는 Company of Good 전략

○ 기업이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더 많은 선한 기업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사회적 책임을 옹호하고 있다. 2,600개가 넘는 COG(Company of Good) 네트워크를 구축해 전략적이며, 지속 가능한 사회공헌에 힘쓰고 있다.

○ 사람, 사회, 거버넌스, 환경, 경제 등 5가지 영역에 걸쳐 비즈니스 관행을 제시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업의 CSR 행동 전략을 구성할 수 있도록 Company of Good Summit 2023에서 새로운COG(Company of Good) 전략을 제시했다.



○ 기업은 주주를 위한 수익만을 창출하는 것에서 기업이 운영되는 지역 사회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주 중심에서 목적 중심의 기업으로의 변혁적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 원칙을 발전시키기 위해 기업들이 CSR을 기존 관행에 접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기부라고 알려진 전통을 뛰어넘는 비즈니스 관행을 재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사회적기업을 선정하는 사회공헌 인정제 프로그램 개최

○ 지역 내 자선활동을 하는 기업을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인데, 이는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좋은 인재를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든 Company of Good 기업들은 사회공헌 선도자로 인정받기 위해 지원할 수 있다.



○ 선행을 위해 모범적인 노력을 보여준 기업에는 Champion of Good을 부여하고 가장 탁월한 기부 성과를 달성한 개인과 기업에는 대통령상을 수여해, 기부의 인식성을 높이고 있다.

◇ 선순환 구축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추진

○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지속적인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왕벌 액티베이션(Queen Bee Activation) 활동을 Unilever와 협업해 진행한다. 이 멘토링 프로그램은 4개월 동안 담당자들과의 워크샵을 통해 기업 목적을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 대기업이 자선활동의 목적보다는 공급업체를 도와주고, 상호 도움을 받는 선순환을 이루기 위해 참여한다. 이는 비즈니스 기회 창출 역할도 한다.

○ 또한 더 많은 정보와 지속 가능한 사회적 영향을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현한다.

○ Project V : 봉사자와 기업을 사회봉사기관이나 자원봉사센터(VC)에 연계해주는 프로그램

○ NVPC’s State of Play Forum : 포럼을 통해 회사가 자원과 전문지식을 공유하면서 비영리 단체·조직과 협력하는 네트워킹 기회 제공

○ SG Cares Giving Week : 매년 12월 자선 이벤트를 열어 교류의 장 구축

○ Company of Good Fellowship : 기업과 사회 모두에 이익이 되도록 체인지메이커들을 성장시키는 펠로우십 프로그램 개최

○ Regional Exposure : 선정기업 임직원 대상 ESG 해외연수 추진 프로그램

◇ 온라인 플랫폼으로 일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부 생활화 촉진

○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양극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싱가포르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급속한 고령화이다. 또한 이전에는 계층 간 이동 기회가 많았던 것에 비해, 현재는 소셜 모빌리티(Social Mobility)라는 사회 계층의 차이를 겪고 있다고 한다.

○ 일상에서 기부를 생활화하고 세계가 빠르게 디지털화됨에 따라, giving.sg라는 온라인 기부 플랫폼을 통해 싱가포르의 기부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약 61만 명의 회원과 650개의 자선단체를 통해 2023년 기준 1억 달러를 모금했다.



□ 질의응답

- 자선단체도 보조금을 받아서 운영하고 있는지.

"싱가포르는 다른 국가 대비 정부 보조금이 많다. 자선단체의 경우 영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의 단체는 스스로 펀딩하고 있지만, 싱가포르 단체들은 많은 부분을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 70% 이상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다.

이는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는데, 금전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정부가 의도하는 프로젝트를 해야 한다는 자율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코로나 이전에는 기업들의 지원도 있었는데, 지금은 정부에 의존하게 되었다.

- 사업 예산은 어떻게 편성되는지.

"1년에 약 150억 원이 편성된다. 예산은 정부에서 나오고 있다. 기업에서는 직접적인 투자를 하진 않지만, 행사가 있다면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한다."

- 회사를 소집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했는데 기관이나 기업에서 협조적인지.

"기업은 공공 행사에 참석함으로써 비즈니스 기회를 확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600개 정도의 회사가 등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네트워크를 생각하기 때문에 참여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 아세안 CSR 네트워크와 회원국이 겹치는가.

"아세안 CSR 네트워크와 우리는 모두 비영리단체다. 회사는 이윤 추구를 위해 일을 하지만 자선활동이 사업 영역의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 이 기관에서는 어떤 국가나 기관을 벤치마킹하는지.

"미국 멕켄지에서 시작했지만 현재는 다른 국가를 벤치마킹하기보다는 부문별 이해당사자끼리 의논을 거치고 있다."

- 누구나 온라인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는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싱가포르에서 기부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만들었다. 또한, 기업이 기부할 때는 대상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네이버 해피빈을 통해 개인이나 기업이 대상을 지정해서 기부할 수 있다.

기부하기 위해서 특정한 사이트에 접속하는게 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플랫폼에 나와 있어서, 기부하는 절차가 매우 쉽다."

- 싱가포르는 고령화, 계층화가 사회문제라고 했는데 이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은.

"헬시어 SG(Healthier SG)라는 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 제도는 보건부(MOH)의 국가 계획인데, 싱가포르인들의 건강 예방에 초점을 맞춘다. 코로나 이전에는 문제가 발생한 사람을 도와주었다면 지금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도와주고 있다.

과거에는 약 처방만 했지만 지금은 좀 더 강력한 지원을 위해 가정주치의가 더 나은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건강 플랜을 제시한다."

- 지원 대상이 일반 고령자인지, 취약계층인지.

"기본적으론 60세 이상 누구나 지원하고 있다. 의사를 먼저 지정하고, 그 사람이 적격자인지 판정 후에 지원한다. 800불 이하 취약계층을 위해서는 600달러 정도의 정부 지원이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요청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지원을 하지만, 가만히 있는 사람은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부는 낮은 가격에 주택을 임대할 수 있도록 하지만 높은 규정을 짓는다. 무한정 쓸 수도 없고 소득 제한도 있다. 이후, 최대한 자생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노동력을 증대시킨다."

□ 참가자 소감

◇ ㅇㅇ사회복지협의회 ㅇㅇㅇ 선임

○ 협의회 내 자원봉사사업단(VMS), 사회공헌센터의 역할과 유사하다고 느꼈다. 사회적 나눔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는 것이 좋은 인재를 모을 수 있다는 기회로 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정제에 참여하는 기업에 줄 수 있는 인센티브를 고민하는 상황에서, 싱가포르 기업들의 진정성을 느낄 수 있었다.

◇ ㅇㅇ사회복지협의회 ㅇㅇㅇ 주임

○ 우리 협의회 내 푸드뱅크, 자원봉사 지원조직, 사회공헌센터가 동시에 운영되고 있는데, 자원봉사 부문에 특화된 조직을 운영하는 싱가포르 사례를 보면서 지역 사회 내 물적, 인적 자원이 연계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한국이 우수사례를 전달하는 것도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기부플랫폼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는데 한국에서는 주요 포털사이트와 메신저인 네이버와 카카오톡에서 해피빈과 같이의가치를 운영하고 있어 한국의 우수사례를 전달해 사회공헌의 우수사례를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진출할 수 있을 것 같다.

◇ ㅇㅇㅇ공사 ㅇㅇㅇ 대리

○ ESG 원칙을 발전시키기 위해 기존에 관행적인 사회공헌활동에서 벗어나, 모든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새로운 전략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기업 기부에서 기업 목적 중심으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 ㅇㅇ와이드 ㅇㅇㅇ 대리

○ 약 3,000여 단체의 사이를 조율하는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 되었으나, 정부, 공공기관을 비롯해 협력체계가 튼튼하다는 부분에서 놀라웠다.

1년에 약 150억 규모로 사업이 추진 중인데 초록우산어린이재단과 같은 국내를 대표하는 비영리단체와 비교해도 매우 큰 금액을 운영 중임을 파악했다.

○ 특히나 150억 중 약 90% 이상을 싱가포르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정부의 복지국가를 향한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정부보조금을 지원받는 것으로 인한 한계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앞으로도 더욱 활동이 궁금한 단체다.

◇ ㅇㅇ중앙회 ㅇㅇㅇ 과장

○ 싱가포르는 정책기관의 영향력이 높은 나라로 계획에 맞게 꾸준히 성장을 해왔다. ‘Social Mobility’라는 부가 굳어지면서 나타나는 계층 이동성의 약화, 저출산으로 인한 고령화 문제 같은 사회 이슈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 오히려 이 부분에서는 한국이 많은 시간 노력을 했고 앞서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우리나라가 걸어온 길과 달리 싱가포르라는 특수성을 통해 당면한 문제들을 어떠한 방향으로 풀어나갈 것인가에 대한 기대가 들었다.

◇ ㅇㅇ손해보험 ㅇㅇㅇ 선임

○ 문제해결보다는 ‘예방’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보험사로서 참고하면 좋을 사업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와 NGO가 협력해 추진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 ㅇㅇ엔지니어링 ㅇㅇㅇ 매니저

○ 우리나라도 노숙인에게 임대주택을 주기도 하지만, 자립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어려운 것으로 안다. 싱가포르는 방법을 찾는 자에게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주거 문제해결에 대해서는 우리나라가 배울 점이 많이 있을 것 같다.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관련 기사
Special Repor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