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그림보기
목록보기
-
2021-09-14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연에 대해 정현종 시인은 “사람이 온다는 것은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의 미래와 일생이 오기 때문에 실로 어마 어마한 일이다”고 시에다 적었다. 그 소중한 인연을 오랬동안 금융분야에 종사하다 퇴직 후『생활 풍수로』란 독특한 학문으로 인생 2모작을 활기차게 보내고 있는 최이락 선생과 만남으로 이어젔다…
-
2021-08-25지난 주말 남편은 퇴근길에 따끈한 통닭을 들고 집으로 왔다. 지글지글 천천히 돌아가는 빨간 조명의 전기 화로에서 막 꺼낸 먹음직스러운 통닭이었다. “이거 먹고 영양 보충해서 공부할 때 졸지마라.” 남편은 지쳐있을 막내에게 우스갯소리를 하며 통닭을 건넸다. 아이는 모처럼 옛날 통닭을 먹게 되어 즐거운 듯 함박 웃음을 띤 채, …
-
2021-08-25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유롭고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는 ‘자연권’ 사상이 국가로부터 공인된 것은 불과 200여 년 전이다. 근대 시민혁명을 통해 비로소 국가의 존재 목적이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는 데 있다는 이론적 기반이 확립된 것이다. 이를 통해 정부 권력은 국민이 동의하는 범위에서 발생하고 국민과 합의 없이는 세금을 징수하거나 …
-
2021-08-25미, 여류작가 조 앤디 디온 (Joan Didion)은 우리는 살기 위해 이야길 한다고 말했다. 이는 우리의 삶을 이야기나 서사로 이해한다는 뜻이다. 일, 사랑, 갈등, 이 모든 것이 인생사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고 생존을 최종 목표로 하기 때문에 자기 이야기로 자기 서사를 만들어 라는 것이다.최근, 싱싱한 재료와 맛난 양념을 첨가해서 …
-
2021-08-25공유 경제(共有經濟,영어:sharing economy)[1]는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현재는 물건이나 공간, 서비스를 빌리고 나눠 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 모델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인터넷과 SNS가 발달함에 따라 시공간의 제약없이도 공유경제가…
-
2021-08-13요즘 우리 사회를 달구는 핫 이슈가 있다. 바로 능력주의와 공정경쟁이다. 치열한 경쟁 판에 갇힌 2030 세대에선 더욱 논쟁적이다. 재빠르게 이슈를 선점한 눈치 빠른 30대 정치인이 당대표로 진입하는 계기를 터준 이슈이기도 했다. 불공정의 역사는 길었으되 공정 이슈는 눈앞 현실이고 보니, 누구도 그 간극을 명쾌하게 정리해내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포퓰리즘에…
-
2021-08-13체감온도 40도를 넘나드는 더위에 뒤질세라 대선후보들이 내걸고 있는 공정 이슈가 뜨겁다. 여당의 유력 대통령 후보인 이재명 지사는 실질적 평등을 지향하는 것이 공정이라며 ‘성장과 공정’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고, 1호 공약으로 “전환적 공정성장”을 내세웠다. 이낙연 후보도 출마선언에서 상처받은 공정을 다시 세울 것이…
-
2021-08-13올림픽 시즌이 돌아왔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도쿄올림픽이지만, 만남도 어렵고 둘러앉아 회포도 풀기 어려운 요즘 같은 날엔 젊은 선수들의 몸짓과 눈빛을 보는 것만으로도 청량감이 흐른다. 스스로 몸을 놀려 땀을 흘리는 것보다야 못하지만, 거의 모든 활동이 막히고 코로나 우울증에 걸린 이들에게 스포츠를 보는 것은 그 자체로 좋은 치료제다. 돌아온 정…
-
2021-08-03"천재성에는 인종이 없고 강인함에는 남녀가 없으며 용기에는 한계가 없다"라는 도전적 카피가 인상적인 히든 피겨스(Hidden Figures)란 영화가 있다. 주요 내용은 60년 NASA에 입사한 3명의 흑인 여성들이 회사와 직원(백인)들로부터 온갖 차별과 무시를 당하면서도 좌절하지 않고 제 역할을 수행하여 우주선 발사에 기여하는 과정을 실…
-
2021-07-13돈 버는 것도 예술이고, 일하는 것도 예술이다. 하지만 사업하는 것이 최고의 예술이다 며 팝 아트의 세계를 열어 21세기 최고의 미술가로 추앙 받는 앤디 워홀(Andy Warhol)이 상업 작가의 대가답게 거침없이 욕망을 표현해 대중들로부터 열렬한 환호를 받고 있는 세상에서 순수 미술로 자신의 세계관을 구축하여 험한 세상의 파고를 뚝심 있게 헤쳐가며 예술의…
-
2021-07-06예측하지도, 경험하지도 못한 변화의 거센 바람이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휘몰아치고 있다. 변화의 방향성은 다음 두 자료를 통해 예측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올해 6월, 국회미래연구원에서 발간한 《새로운 국가발전모델의 제안》(국가미래전략 insight 20호)이다. 여기서는 국정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국가·정부의 관점에서 탈피해서 국가의 주인…
-
2021-06-29우리나라는 정부 재정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국민적 합의가 있을까? 아니, 국민적 합의를 위한 노력이나 시도는 있었을까? 이런 의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국가 재정의 상황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2021-05-31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장 풀기 어려운 문제는 부동산과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부동산과 교육은 시민 모두의 이해관계가 걸려 있기에 때문에 잘못 손을 대는 순간 정권을 날려버리는 핵폭탄이 되어 버린다. 지금의 부동산 문제가 그렇다.
-
2021-05-28용기내는 물품을 구입할 때 일회용 비닐 대신 집에서 가지고 온 빈 용기(그릇)를 사용하는 친환경 활동이다. '용기(勇氣, courage)를 내서 용기(容器, container) 내(內, in)'에 식재료나 음식을 포장해 오는 운동으로 많은 제로웨이스터들의 생활방식이기도 하고, 제로웨이스트를 시작하는 사람들 또한 도전해 볼 수 있는 실천방식이다. 최근 몇몇 …
-
2021-05-26늦깎이 대학원생인 내가 아무래도 회사원인 남편보다 시간적 여유가 있는지라 육아의 많은 부분(등하원, 학원픽업, 먹이고, 씻기고, 가르치고, 재우기)을 담당하고 있다. 대신, 남편은 요리하기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집안일(설거지, 빨래, 청소, 쓰레기 등)을 맡아 수행하는 중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