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우리 사회의 갈등 인식 수준과 정책적 시사점_220125
세대 갈등과 지역갈등, 젠더 갈등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핵심문제
□ 우리 사회의 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지속
◇ 지난 21일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와 한국리서치의 ‘2021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결과 발표
○ 국민의 88.7%가 우리 사회의 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의 심각 정도는 평균 7.5점(10점 만점)으로 조사됨
◇ 우리 국민의 공공갈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13년부터 실시하여 올해로 9회째인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
◇ 아울러, 이러한 갈등 수준에 대한 인식은 조사를 시작한 ’13년 이후 크게 개선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 우리 사회의 전반적 갈등 수준
□ 집단 간 갈등 수준 인식 결과
◇ 14개 집단 간 갈등의 심각 정도를 조사한 결과
○ ‘진보와 보수세력’간 갈등이 83.2%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 못 사는 사람과 잘사는 사람(78.5%), 경영자와 노동자(77.1%), 정규직과 비정규직(75.6%) 순으로 응답
◇ 또한, 전년 대비 갈등의 심각성 인식이 가장 크게 증가한 집단은 ‘남자와 여자’로 5.8%p 증가
○ 그다음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갈등이 5.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집단 간 갈등의 심각성 인식 (%)
◇ 남녀 갈등과 수도권-지방 갈등은 ’13년부터 꾸준히 증가 추세*이며 특히, 남녀 갈등은 ’13년 대비 22.7%p 증가하여 가장 큰 상승폭을 보임
* 남녀갈등(%) : (’13) 29.0 → (’15) 30.7 → (’17) 40.6 → (’19) 45.0 → (’21) 51.7
수도권·지방(%) : (’13) 50.2 → (’15) 50.6→ (’17) 55.0 → (’19) 57.5 →(’21) 62.9
○ 이와 함께, 젊은 사람과 나이 든 사람의 세대갈등도 3.2%p 증가하여, 과거, 지역·이념에 국한됐던 갈등 지형이 점차 복합·다원화되는 양상
◇ 이처럼 세대 갈등과 지역갈등, 젠더 갈등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핵심문제로 인식되고 차기 대선에서도 주요 이슈로 부각
□ 사회적 대화 기구 필요성과 향후 정부의 갈등 해소 필요 현안
◇ 이러한 사회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와 숙의기구’의 신설·운영은 조사 대상의 73.6%가 ‘필요하다’고 답변
○ ‘공론화가 책임 회피 수단으로 남용되고 있다’는 의견도 58.6%에 달해,
○ 갈등 해결을 위한 숙의와 참여 등 공론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편, 공론화가 정책 결정의 부담과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에 대한 비판과 우려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아울러, 사회적 대화 및 공론화 방식을 통해 우선적으로 문제해결이 필요한 현안으로는 ‘부동산 대책 등 집값 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이 39.3%로 1위로 집계되었으며,
○ ‘지속적이고 실효성있는 코로나19 방역대책’(19%),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 등 정치제도 개선’(14.9%)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공론화를 통해 해결이 필요한 현안
□ 정책적 시사점
◇ 전문가들은 사회적 갈등은 민주사회에서 불가피한 요소이며 국가·사회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
○ 다만 과도하고 장기화된 갈등은 공동체 분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갈등 해소방안의 제도화’의 중요성을 강조
◇ 사회적 갈등의 인식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 정부는 공적인 소통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자율적 소통 채널 활성화도 병행되어야 함을 주장
○ 아울러 다양한 참여적 갈등 해결기법*의 도입·확산 필요성도 제언
* 갈등 당사자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주변인 등의 참여와 소통으로 합의를 끌어냄
◇ 지난 21일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와 한국리서치의 ‘2021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결과 발표
○ 국민의 88.7%가 우리 사회의 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의 심각 정도는 평균 7.5점(10점 만점)으로 조사됨
◇ 우리 국민의 공공갈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13년부터 실시하여 올해로 9회째인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
◇ 아울러, 이러한 갈등 수준에 대한 인식은 조사를 시작한 ’13년 이후 크게 개선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 우리 사회의 전반적 갈등 수준
□ 집단 간 갈등 수준 인식 결과
◇ 14개 집단 간 갈등의 심각 정도를 조사한 결과
○ ‘진보와 보수세력’간 갈등이 83.2%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 못 사는 사람과 잘사는 사람(78.5%), 경영자와 노동자(77.1%), 정규직과 비정규직(75.6%) 순으로 응답
◇ 또한, 전년 대비 갈등의 심각성 인식이 가장 크게 증가한 집단은 ‘남자와 여자’로 5.8%p 증가
○ 그다음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갈등이 5.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집단 간 갈등의 심각성 인식 (%)
◇ 남녀 갈등과 수도권-지방 갈등은 ’13년부터 꾸준히 증가 추세*이며 특히, 남녀 갈등은 ’13년 대비 22.7%p 증가하여 가장 큰 상승폭을 보임
* 남녀갈등(%) : (’13) 29.0 → (’15) 30.7 → (’17) 40.6 → (’19) 45.0 → (’21) 51.7
수도권·지방(%) : (’13) 50.2 → (’15) 50.6→ (’17) 55.0 → (’19) 57.5 →(’21) 62.9
○ 이와 함께, 젊은 사람과 나이 든 사람의 세대갈등도 3.2%p 증가하여, 과거, 지역·이념에 국한됐던 갈등 지형이 점차 복합·다원화되는 양상
◇ 이처럼 세대 갈등과 지역갈등, 젠더 갈등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핵심문제로 인식되고 차기 대선에서도 주요 이슈로 부각
□ 사회적 대화 기구 필요성과 향후 정부의 갈등 해소 필요 현안
◇ 이러한 사회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와 숙의기구’의 신설·운영은 조사 대상의 73.6%가 ‘필요하다’고 답변
○ ‘공론화가 책임 회피 수단으로 남용되고 있다’는 의견도 58.6%에 달해,
○ 갈등 해결을 위한 숙의와 참여 등 공론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편, 공론화가 정책 결정의 부담과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에 대한 비판과 우려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아울러, 사회적 대화 및 공론화 방식을 통해 우선적으로 문제해결이 필요한 현안으로는 ‘부동산 대책 등 집값 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이 39.3%로 1위로 집계되었으며,
○ ‘지속적이고 실효성있는 코로나19 방역대책’(19%),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 등 정치제도 개선’(14.9%)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공론화를 통해 해결이 필요한 현안
□ 정책적 시사점
◇ 전문가들은 사회적 갈등은 민주사회에서 불가피한 요소이며 국가·사회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
○ 다만 과도하고 장기화된 갈등은 공동체 분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갈등 해소방안의 제도화’의 중요성을 강조
◇ 사회적 갈등의 인식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 정부는 공적인 소통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자율적 소통 채널 활성화도 병행되어야 함을 주장
○ 아울러 다양한 참여적 갈등 해결기법*의 도입·확산 필요성도 제언
* 갈등 당사자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주변인 등의 참여와 소통으로 합의를 끌어냄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