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날] “정권 연장을 위한 씽크탱크” 181회 : 아제르바이잔의 참상과 해결 방안(2)
1921년 소련과 터키가 체결한 조약이 분쟁의 씨앗, 러시아와 터키가 후원하고 있지만 국제적 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아
새날 '정권연장을 위한 씽크탱크' 181회는 2020년 11월 3일 방송됐다.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구 공동대표와 바시프 알리예프 주한 아제르바이잔 대사관 부대사, 마심리 레일라 아제르바이잔 한국 유학생이 패널로 참여했다. '아제르바이잔의 참상과 해결방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방송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소개한다.
▲ 새날 유튜브 방송 화면
○ (사회자) 역사적으로는 소련이 국경선을 정하면서, 민족 분포와 달리 의도적으로 노그로노-카라바흐 지역을 아제르바이잔에 소속하도록 하여 지금의 분쟁의 원인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소련 붕괴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전개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 1921년 10월 소련은 터키와 카르스 조약 체결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1. 1878년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에서 획득한 영토는 터키에 반환한다. 단, 바투미 항구는 조지아에 귀속시킨다. 2. 나히체반은 자치 공화국을 설립해 아제르바이잔에 귀속시킨다. 3. 잔게주르는 아르메니아에 귀속시킨다. 4.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자치 공화국을 설립해 아제르바이잔에 귀속시킨다
○ (사회자) 물론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간의 갈등은 오래된 것이지만, 갑자기 전쟁에 준하는 상황으로 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지난 9월 27일부터 시작된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군사 충돌의 원인은 무엇인가요?(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공식적으로 이러한 분쟁과 참상에 대해 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미국이나 다른 강대국들은 왜 침묵하고 있는가요? 그리고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에 대한 국제 사회의 입장은 어떻게 나오고 있나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지금도 실효적으로 다수의 아르메니아계 민족이 거주하고 있고, 노그로노-카라바흐는 본래부터 고대 아르메니아의 땅이라는 주장들도 있는데, 아제르바이잔의 일반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Masimli Leyla)
○ (사회자) 이번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군사 충돌에 제3국의 참여 가능성이나, 러시아와 터키의 직접 개입 등 국제적인 전쟁으로 확전될 우려가 있나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러시아 정교 등 기독교 계열이 중심인 아르메니아와 무슬림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아제르바이잔 간의 분쟁은 종교적인 문제나 민족적인 문제인가요? 아니면 정치 · 경제적인 문제인가요? 정부 공무원이 아닌, 일반 국민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Masimli Leyla)
○ (사회자) 지난주에 끝난 국정 감사에서 우리나라가 분쟁 중인 두 곳 중, 아제르바이잔에 대해서만 편파적으로 지원한다는 야당의원(태영호)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현재도 한국이 아제르바이잔에 직접적인 지원을 하고 있나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너무나 오래된 역사적인 여러 요인으로 만들어진 분쟁이고, 종교적인 문제와 민족적인 문제, 그리고 경제적인 문제가 중첩되어 있어 근본적인 해결이 쉽지않을 것 같습니다.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우리나라가 아제르바이잔의 공식적인 지원을 하는 것은 국회와 정부에서 정하는 것이라 이 자리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겠지만, 혹시 우리 새날 청취자들에게 요청하거나 말씀하시고 싶은 것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Masimli Leyla)
새날 '정권연장을 위한 씽크탱크' 181회는 2020년 11월 3일 방송됐다.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구 공동대표와 바시프 알리예프 주한 아제르바이잔 대사관 부대사, 마심리 레일라 아제르바이잔 한국 유학생이 패널로 참여했다. '아제르바이잔의 참상과 해결방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방송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소개한다.
▲ 새날 유튜브 방송 화면
○ (사회자) 역사적으로는 소련이 국경선을 정하면서, 민족 분포와 달리 의도적으로 노그로노-카라바흐 지역을 아제르바이잔에 소속하도록 하여 지금의 분쟁의 원인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소련 붕괴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전개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 1921년 10월 소련은 터키와 카르스 조약 체결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1. 1878년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에서 획득한 영토는 터키에 반환한다. 단, 바투미 항구는 조지아에 귀속시킨다. 2. 나히체반은 자치 공화국을 설립해 아제르바이잔에 귀속시킨다. 3. 잔게주르는 아르메니아에 귀속시킨다. 4.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자치 공화국을 설립해 아제르바이잔에 귀속시킨다
○ (사회자) 물론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간의 갈등은 오래된 것이지만, 갑자기 전쟁에 준하는 상황으로 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지난 9월 27일부터 시작된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군사 충돌의 원인은 무엇인가요?(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공식적으로 이러한 분쟁과 참상에 대해 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미국이나 다른 강대국들은 왜 침묵하고 있는가요? 그리고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에 대한 국제 사회의 입장은 어떻게 나오고 있나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지금도 실효적으로 다수의 아르메니아계 민족이 거주하고 있고, 노그로노-카라바흐는 본래부터 고대 아르메니아의 땅이라는 주장들도 있는데, 아제르바이잔의 일반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Masimli Leyla)
○ (사회자) 이번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군사 충돌에 제3국의 참여 가능성이나, 러시아와 터키의 직접 개입 등 국제적인 전쟁으로 확전될 우려가 있나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러시아 정교 등 기독교 계열이 중심인 아르메니아와 무슬림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아제르바이잔 간의 분쟁은 종교적인 문제나 민족적인 문제인가요? 아니면 정치 · 경제적인 문제인가요? 정부 공무원이 아닌, 일반 국민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Masimli Leyla)
○ (사회자) 지난주에 끝난 국정 감사에서 우리나라가 분쟁 중인 두 곳 중, 아제르바이잔에 대해서만 편파적으로 지원한다는 야당의원(태영호)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현재도 한국이 아제르바이잔에 직접적인 지원을 하고 있나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너무나 오래된 역사적인 여러 요인으로 만들어진 분쟁이고, 종교적인 문제와 민족적인 문제, 그리고 경제적인 문제가 중첩되어 있어 근본적인 해결이 쉽지않을 것 같습니다.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요?
(바시프 일리예프 부대사)
○ (사회자) 우리나라가 아제르바이잔의 공식적인 지원을 하는 것은 국회와 정부에서 정하는 것이라 이 자리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겠지만, 혹시 우리 새날 청취자들에게 요청하거나 말씀하시고 싶은 것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Masimli Leyla)
- 끝 -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