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인권연구소(The Danish Institute for Human Rights), 여성고용 및 일·가정양립 정책 사례 20160603
정부자금을 비롯하여 국제기금 혹은 개인적 기부금에 의한 자금 조달
박동완 대기자
2024-06-18 오후 10:19:20
 
덴마크 인권연구소(The Danish Institute for Human Rights)
Wilders Plads 8K1403 København Kwww.menneskeret.dk
덴마크 코펜하겐 6월 3일 금요일 13:30



□ 
주요 내용

◇ 기관 소개

○ 1987년 의회법(act of parliament)에 의해 Danish Center for Human Rights라는 명칭으로 독립된 국가인권기구로서 설립

○ 2002년 6월 6일 ‘덴마크 국제학 및 인권 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법률(Act on establishment of a Danish Centre for International Studies and Human Rights)’에 의거, 4개 타 연구소와 함께 덴마크 국제학 및 인권 연구센터의 틀 안으로 통합되면서 덴마크 인권연구소(Danish Institute for Human Rights)로 명칭 변경(①)

  ① 덴마크 국제학 및 인권 연구센터가 덴마크 인권연구소 및 4개 연구소(국제학연구소, 발전연구센터, 코펜하겐 평화연구소, 덴마크 유대인 등 학살 연구센터)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음.

○ 입법부로부터의 정부자금을 비롯하여 국제기금 혹은 개인적 기부금에 의한 자금 조달하며 유럽연합, 덴마크 국제발전지원부, 외교통상부 등 여러 기관에 의해 자금을 조달함

◇ 주요활동

○ 덴마크 정부가 지정한 국가인권기구로서, 인권연구소는 인권관련 연구, 정보, 교육, 문서화(documentation) 등의 기능 수행


▲ 덴마크 인권연구소 조직도[출처=브레인파크]


○ 사무국은 4개 연구국, 국제사업국, 정보교육국, 국내 사업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 4개 부서를 상호 연계해 인권전문인 교육, 연구 등을 공동 진행하는 팀(Crossed-Sectional Unit)을 운영함

○ 연구국(Research Department)은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국내 및 국제 인권이슈에 관한 연구사업 수행함. 연구원은 12~15인이며 법, 정치학, 윤리학, 역사학, 인류학, 신학 출신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다음의 4개 주요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22개 주요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음. (1)인권기준 (2)사회 발전에서의 인권과 역량계발 (3)인권 취약 집단 보호 (4)사회 및 문화적 관습과 인권

◇ 성평등한 국가를 위한 덴마크의 3가지 중점 분야



○ 1,020명을 대상으로 덴마크가 성 평등한 국가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분야를 조사한 결과 1위는 성 평등한 임금, 공동 2위는 매우 짧은 남성의 육아휴직과 광고와 미디어에 나오는 정형화된 남성과 여성의 모습으로 나옴

◇ 성평등 국가를 위한 덴마크의 역사


연도


Act


1875


여성 최초 대학교 입학


1915


여성의 투표권 획득


1924


여성 최초의 장관


1965


여성 위원회 탄생


1967


피임약의 합법화


1970


여성 자유화 운동


1973


낙태의 합법화


1975


성평등위원회 탄생


1976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임금에 대한 법령 제정


1978


노동시장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동등한 대우에 관한 법령 제정


2000


양성평등위원회를 대신하여 양성평등부, 국가양성평등센터, 양성평등이사회 탄생


○ 1978년 노동시장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동등한 대우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며, 여성의 육아휴직은 271일, 남성은 30일로 지정함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관련 기사
Special Repor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