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및 자치단체 육성 동향 220426
지역대학·병원·기업·연구기관 간 네트워크를 통한 인적 자원 확보에 역량 집중
박동완 대기자
2024-05-22 오후 2:48:57
□ ’20년 바이오 산업 생산 및 수출이 역대 최대로 증가

◇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20년 기준)’ 결과에 따르면,

○ ’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17조 4,923억원으로 전년 대비 38.2% 증가하여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7.2%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냄

* 연도별 생산규모: (’16) 9조2,611억원 → (’17) 10조1,457억원 → (’18) 10조6,067억원 → (’19) 12조 6,586억 → (’20) 17조 4,923억원

○ 세부산업별로는 바이오의약산업 비중이 28.9%로 여전히 가장 크나, 체외 진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바이오의료기기 산업 비중이 8.2→22%로 대폭 확대

* 코로나19 영향으로 체외 진단 분야(PCR검사 등)가 전년대비 2조7,782억 원 증가

◇ ’20년 기준 수출은 10조 158억원으로 전년 대비 53.1% 증가하며, 사상 최초로 10조 원을 돌파

○ 전체 수출의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품(24.8%↑)과 함께 체외진단기기 등 바이오의료기기와 바이오화학‧에너지 분야가 각각 전년대비 307.5%, 164.1% 증가하며 수출 증가를 견인

< 바이오산업 생산 및 수출 규모(‘19~’20) > (단위 : 억원, %)
구분 생산 수출
2019 2020 증감률 2019 2020 증감률
생산액 비중 생산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바이오의약 42,246 33.4 50,629 28.9 19.8 26,066 39.8 32,519 32.5 24.8
바이오식품 (건강기능식품, 발효식품 등) 39,903 31.5 42,146 24.1 5.6 24,085 36.8 24,196 24.2 0.5
바이오의료기기 10,438 8.2 38,795 22.2 271.7 7,343 11.2 29,920 29.9 307.5
바이오화학‧에너지 (바이오연료, 농약, 화장품 등) 18,561 14.7 21,124 12.1 13.8 1,205 1.8 3,182 3.2 164.1
바이오서비스 (바이오 위탁생산, 바이오분석 등) 12,519 9.9 18,099 10.3 44.6 6,089 9.3 9,730 9.7 59.8
바이오장비 및 기기 1,105 0.9 1,936 1.1 75.2 405 0.6 492 0.5 21.5
바이오환경 (환경처리 및 환경오염 진단 등) 557 0.4 986 0.6 77 6 0 1 0 △82.3
바이오자원 (종자‧묘목, 유전자변형 생물체 등) 1,257 1 1,211 0.7 △3.7 216 0.3 118 0.1 △45.4
합계 126,586 100 174,923 100 38.2 65,414 100 100,158 100 53.1


□ 바이오산업의 성장세와 함께 인력과 투자규모도 증가

◇ 바이오산업의 인력은 ’20년 기준 53,546명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6.5%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임

○ 분야별로는 연구직 10%, 생산직 10.1%, 영업‧관리 등 기타직이 9.9% 증가하였으며 석‧박사급이 23.8%로 타산업대비 고급인력 비중이 높은 편*으로 나타남

* (바이오 산업) 박사 5.5%, 석사 18.2%, 학사 이하 76.2%
(전체 산업) 박사 0.8%, 석사 3.9%, 학사 이하 95.3%


▲ 최근 5년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명, %)



▲ 최근 5년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억원)


□ 정부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추진

◇ 정부는 ’18.8월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을 발표하면서,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큰 바이오산업을 ‘8대 혁신성장 선도 산업’으로 선정하고, 과감한 재정투자 계획*을 밝힘

* 예산규모 : (’19) 1.1조 원 → (’20) 1.3조 원 → (’21) 1.9조 원 → (’22) 2.5조 원

◇ 이어 ’19.5월 바이오산업을 우리나라의 차세대 3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기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

* 차세대 3대 주력산업 :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 바이오산업

○ 기술개발부터 인허가, 생산, 시장 출시에 이르는 산업 전주기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추진

<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주요 내용 >

◇ 바이오 빅데이터

100만 명 규모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 유전체 정보 등을 활용한 신약개발로 질병극복·산업발전 기반 마련

◇ R&D 확대

바이오헬스 정부 R&D를 ’25년까지 연간 4조 원 이상으로 확대

* (’17) 2.6조원 → (’25) 4조원 이상 달성 목표

◇ 세제

바이오베터까지 신성장동력 R&D 세액공제 적용 등 바이오헬스 기업 특성에 맞는 세제감면 혜택 확대

◇ 규제발굴·정비

관계부처·민간 합동 바이오헬스 산업육성·규제개선 협의체 운영으로 분야별 규제개선 로드맵 마련

□ 자치단체는 지역의 주요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

◇ 자치단체에서도 지역의 미래먹거리로써 바이오산업에 공격적인 투자 경쟁을 이어가는 상황

○ 자치단체별로 지역대학 및 바이오기업과 MOU를 체결하거나, 바이오 특화 창업 지원 시책도 추진 중

< 지자체별 추진 시책 내용 >

◇ 광주시

올해부터 전남대병원을 중심으로 의사와 기업이 제품개발, 임상 등을 함께 진행하는 ‘인공지능기반 스마트 의료기기 개발 상용화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

◇ 대전시

바이오에 특화된 창업지원시설 ‘대전바이오창업원(가칭)’ 구축을 추진, 입주단계부터 투자유치로 연결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지역 연구원‧ 대학의 인력과 임상병원을 활용해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을 추진할 방침

◇ 충북도

지난 3.22. 카이스트와 업무협약을 체결, 오송에 바이오메디컬 분야를 특화한 대학과 병원, 연구소, 창업‧상업시설을 연계한 캠퍼스타운을 조성할 계획

◇ 전북도

지난 3월 전주시는 전북대 및 6개 바이오 의료기기 업체와 협약을 체결, 의료기기 공동 연구개발과 기술교류 등을 통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협력할 방침

◇ 전남도

바이오 기업 퓨리오젠과 60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 여수국가 산단내에 바이오의약품 정제용 레진 생산 공장을 22년 말까지 준공할 예정

□ 정책적 시사점

◇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래 유망산업을 넘어 국가의 필수 기반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

○ 정부는 바이오산업 분야를 보다 세분화하고 성장단계별로 투자 및 예산 배분을 촘촘하게 설계해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에 나설 것을 제언

< 분야별 현장 주요 요구사항 >

◇ 의약품 분야

신약 평가기술 개발, 신약개발 촉진을 위한 공동 플랫폼 구축 등

◇ 첨단재생의료 헬스케어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제품화·상용화로 연계 지원 등

◇ 바이오 식품 및 의료기기

신기술‧제품의 시장 진입을 위한 규제개선 등

◇ 아울러 자치단체는 지역대학·병원·기업·연구기관 간 네트워크를 통한 인적 자원 확보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

○ 실제 산업계에서는 전문인력 구인의 어려움으로 지방이전을 포기하는 경우가 상당수이며, 이는 전문분야일수록 더욱 심각함

○ R&D 인프라 투자에 못지 않게, 지역 인재 양성 및 임직원 역량 강화 투자가 지역 바이오산업 성패를 좌우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

※ 화학·바이오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인력부족 발생의 주요원인은 직무역량 부족(40.1%)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 기업이 실제 채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인력이 부족함을 나타냄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관련 기사
Diges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