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2020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와 정책적 시사점_220124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9.5%) 대비 0.7%p 상승
□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 개요
◇ 통계청은 공공부문의 일자리 추세 분석과 공공부문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17년부터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발표
○ ‘일자리’는 ‘취업자’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
※ 한 명이 복수의 직업을 갖는 경우 취업자는 1명이지만 일자리는 2개로 산정
□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 총괄
◇ 지난 20일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20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276만 6천 개로 전년 대비 16만 4천 개(6.3%) 증가*하여, 관련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큰 증가폭을 나타냄
○ 이 중 일반정부 일자리는 전년 대비 15만5000개(7.0%) 증가한 237만5000개(85.9%), 공기업 일자리는 9000개(2.3%) 증가한 39만1천개(14.1%)로 집계
* 공공부문을 포함한 ’20년 전체 일자리(2,472만5000개)는 전년 대비 2.9% 증가
◇ 일반정부 일자리를 세부 영역별로 보면, 지방정부가 147만7000개(5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중앙정부(85만 개, 30.7%), 사회보장기금(4만8000개, 1.7%) 순임
▲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
* 공공비영리단체 포함
◇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9.5%) 대비 0.7%p 상승
○ 일반정부는 8.8%, 공기업은 1.4%로 전년보다 0.6%p, 0.04%p 각각 상승
※ ’20년 전체 일자리 대비 공공부문의 비율은 11.2%로 전년 대비 0.4%p 상승
▲ 총 취업자 수 대비 비율 (%)
□ 공공부문 근로자 특성별 일자리
▲ 성별 일자리 분포
◇ 성별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남자 일자리는 147만 3천 개(53.3%)로 여자 일자리(129만3천개, 46.7%)의 1.14배 수준
○ 전년 대비 남자 6만1천개(4.3%), 여자 10만3천개(8.7%)가 각각 증가하여, 전년보다 격차가 다소 감소
※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중 남자 일자리는 여자 일자리의 1.36배 수준
○ 지속일자리* 비중은 남자(54.5%)가 여자(45.5%)보다 9.0%p 높고,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여자(54.6%)가 남자(45.4%)보다 9.3%p 높음
*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
▲ 연령별 일자리 분포
◇ 연령별 일자리는 40대가 26.8%로 가장 많고, 30대(24.7%), 50대(23.6%), 29세 이하(16.2%), 60세 이상(8.7%) 순으로 나타남
○ 전년 대비 증가율의 경우 60세 이상이 23.5%(4만 6천 개)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29세이하(7.9%, 3만3천개), 50대(6.7%, 4만1천개), 40대(3.8%, 2만7천개), 30대(2.6%, 1만7천개) 순임
○ 지속일자리는 30~50대가 전체의 80.4%를 차지한 반면, 신규 채용일자리는 29세 이하와 60세 이상이 전체의 58.1%를 차지
▲ 근속기간별 일자리 분포
◇ 근속기간별로는 3년 미만은 30.6%이며 10년 이상이 42.2%를 차지
○ 평균 근속기간은 11.0년으로 전년(11.4년)보다 0.4년 감소함
※ 전체 일자리는 3년 미만(56.2%), 3~5년(15.4%), 5~10년(13.7%), 10~20년(9.6%), 20년 이상(5.1%) 순이며 평균 근속기간은 5.2년으로 전년 대비 0.2년 증가함
□ 정책적 시사점
◇ 정부는 공무원 수 증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세와 함께 코로나19 상황에서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
○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십, 신중년 일자리사업 등 정부 일자리 사업이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공공부문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
◇ 다만 전문가들은 늘어난 공공일자리 대부분을 장·노년층이 차지하여 청년층 일자리 창출 문제는 추가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
○ 아울러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은 중장기적으로는 재정적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민간부문으로 연쇄 파급될 수 있는 전략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
◇ 통계청은 공공부문의 일자리 추세 분석과 공공부문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17년부터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발표
○ ‘일자리’는 ‘취업자’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
※ 한 명이 복수의 직업을 갖는 경우 취업자는 1명이지만 일자리는 2개로 산정
□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 총괄
◇ 지난 20일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20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276만 6천 개로 전년 대비 16만 4천 개(6.3%) 증가*하여, 관련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큰 증가폭을 나타냄
○ 이 중 일반정부 일자리는 전년 대비 15만5000개(7.0%) 증가한 237만5000개(85.9%), 공기업 일자리는 9000개(2.3%) 증가한 39만1천개(14.1%)로 집계
* 공공부문을 포함한 ’20년 전체 일자리(2,472만5000개)는 전년 대비 2.9% 증가
◇ 일반정부 일자리를 세부 영역별로 보면, 지방정부가 147만7000개(5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중앙정부(85만 개, 30.7%), 사회보장기금(4만8000개, 1.7%) 순임
▲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
* 공공비영리단체 포함
◇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9.5%) 대비 0.7%p 상승
○ 일반정부는 8.8%, 공기업은 1.4%로 전년보다 0.6%p, 0.04%p 각각 상승
※ ’20년 전체 일자리 대비 공공부문의 비율은 11.2%로 전년 대비 0.4%p 상승
▲ 총 취업자 수 대비 비율 (%)
□ 공공부문 근로자 특성별 일자리
▲ 성별 일자리 분포
◇ 성별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남자 일자리는 147만 3천 개(53.3%)로 여자 일자리(129만3천개, 46.7%)의 1.14배 수준
○ 전년 대비 남자 6만1천개(4.3%), 여자 10만3천개(8.7%)가 각각 증가하여, 전년보다 격차가 다소 감소
※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중 남자 일자리는 여자 일자리의 1.36배 수준
○ 지속일자리* 비중은 남자(54.5%)가 여자(45.5%)보다 9.0%p 높고,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여자(54.6%)가 남자(45.4%)보다 9.3%p 높음
*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
▲ 연령별 일자리 분포
◇ 연령별 일자리는 40대가 26.8%로 가장 많고, 30대(24.7%), 50대(23.6%), 29세 이하(16.2%), 60세 이상(8.7%) 순으로 나타남
○ 전년 대비 증가율의 경우 60세 이상이 23.5%(4만 6천 개)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29세이하(7.9%, 3만3천개), 50대(6.7%, 4만1천개), 40대(3.8%, 2만7천개), 30대(2.6%, 1만7천개) 순임
○ 지속일자리는 30~50대가 전체의 80.4%를 차지한 반면, 신규 채용일자리는 29세 이하와 60세 이상이 전체의 58.1%를 차지
▲ 근속기간별 일자리 분포
◇ 근속기간별로는 3년 미만은 30.6%이며 10년 이상이 42.2%를 차지
○ 평균 근속기간은 11.0년으로 전년(11.4년)보다 0.4년 감소함
※ 전체 일자리는 3년 미만(56.2%), 3~5년(15.4%), 5~10년(13.7%), 10~20년(9.6%), 20년 이상(5.1%) 순이며 평균 근속기간은 5.2년으로 전년 대비 0.2년 증가함
□ 정책적 시사점
◇ 정부는 공무원 수 증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세와 함께 코로나19 상황에서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
○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십, 신중년 일자리사업 등 정부 일자리 사업이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공공부문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
◇ 다만 전문가들은 늘어난 공공일자리 대부분을 장·노년층이 차지하여 청년층 일자리 창출 문제는 추가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
○ 아울러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은 중장기적으로는 재정적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민간부문으로 연쇄 파급될 수 있는 전략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