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NUS Block71, 민관합작 기술·창업 클러스터 허브조직의 인큐베이팅 지원 20191105
대학과 VC, 미디어개발청이 합작 설립한 스타트업 허브
박동완 대기자
2024-04-18 오전 10:28:49
 


NUS Block71, BLOCK71 Singapore
 


71 Ayer Rajah Crescent #02-01

Singapore 139951

Phone: +65-6816 0632

singapore@block71.com

www.blk71.com


 
벤치마킹 싱가포르    



□ 연수내용

◇ 대학과 VC, 미디어개발청이 합작 설립한 스타트업 허브

◯ Block71은 △NUS Enterprise △SingTel Inno8(VC) △싱가포르 미디어 개발청 합작으로 2011년 설립된 싱가포르 스타트업 허브이자 코워킹스페이스다.

분산되어 있던 기술·창업 클러스터 역할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NUS Enterprise는 싱가포르 국립대학 안에 속해있는 기업으로 혁신을 촉진시키고 있다.

◯ 엔젤투자, 인큐베이션(공간이나 설비, 업무 보조 등의 하드웨어 지원) 및 엑셀러레이션(창업의 지식과 경험,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원)과의 만남을 주선하기도 한다.

◇ 오래된 산업단지에서 번창하는 스타트업 허브로 전환

◯ 본래 Block71은 1970년대 초 Ayer Rajah 산업단지의 일부로 설립된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래된 산업 건물 중 하나로 정부는 2010년까지 이 산업단지 내 몇 개의 오래된 건물과 함께 도시재개발을 진행하려 했다.

당시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위한 건물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발표했을 때였고 창업자들을 위한 생태계가 전혀 없거나 미미했던 상황이었다.

◯ 그때 관련 조직을 한 군데 모아서 함께 있으면 촉매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고 2011년 NUS Enterprise, SingTel Innov8 및 싱가포르 미디어 개발청은 Block71을 스타트업 허브로 만들기 위해 협력했다.

단지 내 시너지와 싱가포르 경제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전에 싱가포르 지역 주변에 분산되어 있던 기술 스타트업 클러스터를 하나의 공통위치로 통합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 가장 먼저 NUS가 Block71에 들어왔고 정부의 허가를 받고 3년 간 지원 자금을 받았다. NUS Block71을 시작으로 다른 창업기업이 들어왔고 지금은 싱가포르에서 가장 큰 기술 스타트업 회사로 발전했다. 2014년 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곳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이 과정을 통해 Block71은 오래되고 황폐한 산업단지에서 번창하는 스타트업 허브로 빠르게 변모할 수 있었다. Block71은 빠르게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지역이 되었으며,현재 7개 층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수백 명의 기술 관련 스타트업, 벤처 자본가 및 인큐베이터가 있다.

◯ 싱가포르 정부는 Block71의 성공을 인정, 프로그램을 확장했고 Block73을 재건하고, Block79의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더 많은 스타트업 및 기업가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 기업가정신과 혁신・기술의 접목 역할

◯ Block71을 설립한 NUS Enterprise는 △기업가정신・창업가 양성 △혁신과 기술의 접목 △스타트업 지원의 3가지 기능을 한다.

◯ 첫째, 기업가정신・창업가 양성은 원래 기업가정신이란 개념은 싱가포르에선 드문 개념이었고 특히 국립대학에서는 더욱 생소한 개념이었다.

대부분 명문대학을 졸업하면 다국적 기업에 취직하거나 공무원이 되는 길을 선택했을 뿐 중소기업에 취직한다거나 창업을 하는 일은 선택지에 없었다. 그 당시에는 직접 사업을 하겠다고 하면 낮춰보는 경향이 있었다.


◯ 그래서 2002년 ’NUS Overseas Colleges(NOC) Alumni Startups’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NOC Alumni Startups 프로그램은 대학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여 글로벌 파트너 대학에 보내고 혁신적인 스타트업에서 기업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 이때 단순히 공부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가정신에 열정을 가질만한 사람을 선발해서 스타트업 기업으로 성장한 기술 기반 기업에 보냈다. 기업가 정신은 수업이 아니라 실제로 같이 일을 하면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매년 1,000여건의 신청서가 접수되고, 2,800명 정도를 해외에 보냈고 이로 인해 창업한 기업이 600개가 넘는다.

◯ 성공한 기업의 30% 정도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성장했다. 현재는 싱가포르의 다른 대학들도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둘째, 혁신과 기술의 접목이다. 대학은 기술적인 자원이 많이 있고 지원도 많이 한다.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도 있다. 국립대학에서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안면인식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창업했다.

◯ 셋째, 스타트업 지원이다. 인큐베이션을 가속화하는 가장 큰 조직이며 300명 정도의 직원이 있다. 아이디어를 내는 첫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검토하고,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찾는 모든 단계에 도움을 주고 있다.

◇ 개방적인 시스템으로 외국기업, 대기업 모두 참여

◯ 투자에 대한 요청, 워크숍과 강의를 통한 인재와의 만남 조성, 기존 산업계에 소개하는 것 등 모든 것이 NUS Block71에서 이뤄진다.

◯ NUS Block71에 30개 이상의 기업이 들어와 있고 전체적으로 50개 이상의 기업이 있다. 기업이 물리적으로 사무실이 없어도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개방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외국기업, 대기업 모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특히 싱가포르 시장은 작기 때문에 내수시장에서만 이익을 창출하기 어렵고 창업을 준비하는 단계부터 미국과 중국 등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 NUS Block71에서 성공한 기업 사례 중 대표적인 JobKred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있다. JobKred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일자리를 연결하는 기업으로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가 주력 제품이다.

◯ SDI를 바탕으로 많은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한다. 특히 정부기관(국세청, 관광청 등)과 많이 협력해서 온라인으로 구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2015년 설립했고 실제로 성장한 것은 작년부터이다. 국제적인 기구(세계은행, 유네스코 등)에서도 JobKred가 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 JobKred는 싱가포르 연방 포털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데이터 활용양도 정한다. 일자리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기술로 어떤 일자리를 가질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 JobKred는 아시아의 다른 국가에도 진출해있으며 방글라데시에서는 ICT산업을 위한 기술 예측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100가지 기술 중에서 인기있는 기술을 식별하고 해당분야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돕는다.


▲ 브리핑중인 Gang Chern Sun씨[출처=브레인파크]

◯ 또 다른 기능으로 한 기업 내 각각의 직원들이 갖고 있는 기능을 파악하면 그 기업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의 종류와 레벨이 집계된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회사에 어떤 기술이 부족한지, 앞으로 어떤 기술들을 개발하고 주문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 인사부에서 이 자료를 토대로 인력을 개발할 수 있고 개인적으로 어떤 기술을 가지고 있고, 앞으로 어떤 기술을 가져야 하는지 파악한다. 또한 기술을 가지기 위해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 알 수 있다.

◯ JobKred의 CEO, Florence씨는 필요한 기술과 실제 가지고 있는 기술의 격차가 많이 있다는 것을 고민했고 이미 스타트업 창업에 성공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익숙한 상황에서 시작할 수 있었다. 또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부분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는 상태였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들을 NUS Block71에서 지원받았다.

□ 질의응답

- NUS 졸업생들에게 혜택이 돌아오는지.

"NUS 소속 조직인 것은 맞지만 졸업생이라고 해서 특별한 다른 점은 없다. 일을 하는 생태계가 캠퍼스 안에도 있다. 동창인 경우 유료로 캠퍼스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 NUS는 누가 지원해주는가? 평가는 하는가? 평가 주체는 누구인지.

"대학 안에 60~70명 정도가 이 조직에 속해 있어서, 산업체와 창업자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돈은 내야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지적재산을 중시하고 있어서 창업자 아이디어가 좋다고 하면 대학이 가지고 있는 지적 재산권을 무료로 제공한 적이 있을 정도이다."

"최소한 분기별로 한 번씩 평가를 하고 있다. 모니터링도 계속 하고 있다. 제대로 못하고 있으면 내보낼 수도 있다. 평가를 하는 팀이 따로 있다. 팀이 평가를 하고 위에 보고를 하면 위에서 재정을 결정한다."

- 인큐베이터의 차별화된 강점은.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외국에도 많이 있다. 이곳의 장점은 그런 조직이 50개가 모여있다는 점이다. 창업을 하는 기업이 오면 자기들이 선택을 할 수 있다.

여기에 들어와있는 엑셀러레이터 조직들이 어떻게 보면 경쟁사이지만 서로를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모여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경쟁력이 있다."

- 인큐베이터가 몇 개 정도인가? 졸업생 중에 취업하지 않고 창업에 관심을 가지고 일하는 비율은.

"NUS Enterprise 자체가 인큐베이터와 마찬가지이다. 국립병원에 한해서 의료기술하고 관련된 창업에 대한 인큐베이터가 있다.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조직도 있다.

이런 것들이 더 커지면서 창업 기업으로 성장해서 Enterprise로 다시 돌아와서 도움을 받기도 한다. NUS Enterprise 뿐만 아니라 전체 대학 캠퍼스 안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생태계들이 있다."

"아직까지 창업을 하겠다고 찾아오는 학생들의 수는 낮은 편이다. 하지만 창업으로 돈을 많이 버는 젊은 사람들이 나타나면서 추세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 아직까지는 대기업처럼 안정된 직장을 찾는 학생들이 많다."

-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때 학교 내에서 자체적으로 가능한가? 혹은 외부기관과 연결해서 외부의 기술을 연결하여 활용하는지.

"외부의 영역은 상당히 중요하다. 싱가포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많은 대기업들이 작은 기업들이 하는 일반 산업을 와해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걱정하는 부분도 있다. 미리 창업자들과 얘기해서 이 사업을 와해할 기업들을 미리 파악하고 대비하려고 한다."

- 스타트업이 실패할 경우 어떻게 대처하는가? 원상태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는지.

"우리에겐 ‘실패를 축하한다’라는 말이 있다. 실패는 과정이다. JobKred도 여러 번의 실패를 거듭했다. 실패를 하면 다른 스타트업으로 가서 조인을 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여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도 한다. 실패한 만큼 성공할 확률도 있는 것이다. 또한 싱가포르에는 일자리가 많다. 창업을 해서 실패한 사람들이 일반적인 일자리를 얻기도 한다."

- 현재 상태를 어떻게 분석하는지가 가장 중요한 것 같다. 현재 직원들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지 못하면 그 후의 단계가 부족하다. 지금 들었을 땐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것이 단순 설문조사에 그치는 것 같은데, 기업마다 각각 맞춤형으로 방식을 바꾸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기준이 있는지.

"그냥 단순히 설문조사를 하는 게 아니라 질문들을 모아서 워크숍을 하고, 실제로 과제를 줄 때도 있다. 조사 결과도 80% 이상 정확하다."

□ 참가자 코멘트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수석연구원

◯ AI를 활용한 인력 기능 향상 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젊은 여성 창업가를 보며 싱가포르의 사회적기업가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모습을 보았다. 싱가포르의 4차산업 발전이 기대된다.

◇ ㅇㅇㅇㅇ연구소 ㅇㅇㅇ 주임기술원

◯ 싱가포르도 우리나라와 같이 우수인력은 창업보다는 안정적인 직장(공무원, 대기업 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창업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

◯ 창업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창업 실패에 대한 안전망 등 우수 인재를 스타트업으로 영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선임행정원

◯ 민관합작으로 창업자를 지원하는 허브 조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인상적이었다.

◯ 다른 싱가포르 정책과 마찬가지로 창업에 필요한 교육, 재원, 네트워킹, 연구개발 등 one-stop 방식으로 지원하여 효율성이 높아 보였다.

◯ 우리나라의 규모로 볼 때 싱가포르와 같은 통합은 불가능하더라도 더 적극적인 방식의 안내 시스템이 있어야 할 것 같다.

◯ 실패를 장려하고 이를 장점으로 인정해주는 문화가 인상적이었고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ㅇㅇㅇㅇ개발원 ㅇㅇㅇ 행정원

◯ 클러스터를 한데 묶어 지원한다면 효율적인 민관 협력 및 정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듯 하다.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책임관리원

◯ Block 71은 Open Innovation을 활발히 실행한다. NUS같이 한국의 대학과 연구소도 개방할 필요가 있다.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사무원

◯ 전 세계를 무대로 창업지원센터를 세우고 있는 점이 벤치마킹할 점이다.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국립대에 있는 우수인력을 선발하는 점, 각 분과별로 지원하는 인력이 진출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학생 중 창업 지원 비율은 아직 낮다.

◯ 대기업들이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하는 목적 중 하나는 향후 시장을 와해시킬 가능성인데 이 가능성을 지닌 잠재적 기업을 미리 파악하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 창업 실패 기업의 주제를 다른 창업자에게 소개해서 성공시키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점도 배울 점이다.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사무원

◯ 투자․채용․기술적 지원을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우리나라 인큐베이터 시스템과의 차이점인 것 같다. 투자 이벤트를 통해 투자자를 모집하고 인력 채용 이벤트도 진행한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 여러 기관이 흩어져 있는 우리나라 시스템과 비교해 각각의 인큐베이터 지원 기관이 모여있는 차이점이 보였다. 외국계 기업에 대해서도 개방적으로 지원해준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책임기술원

◯ 싱가포르 주변에 분산해있던 기술 스타트업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정부와 대학, 벤처투자사가 모여 만든 스타트업허브로 기업연계사무소(ILO) 운영을 통해 상업화를 추진한다.

◇ ㅇㅇㅇㅇ연구회 ㅇㅇㅇ 연구원

◯ 예산은 대외비였지만 부족해 보이지 않아서 부러웠다. 다만 싱가포르와 한국의 국가 규모가 달라서 적용할 만한 점이 많지 않은 것 같다.

◯ 싱가포르를 거점으로 두고 싱가포르 국립대와 해외 네트워킹 구축이 잘되어 있는 것 같다.

◇ ㅇㅇㅇㅇ연구원 ㅇㅇㅇ 연구원

◯ 1970년대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을 스타트업과 기업가들의 중심지로 재탄생시켜 활발한 산업단지로 조성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고 스타트업 인큐베이션 프로그램 등 어떤 절차와 방식으로 지원하는지 알 수 있어 좋았다. 더불어, 직접 인큐베이팅 지원을 받아 수행한 사례까지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점이 좋았다.

□ 벤치마킹 포인트

◇ 실패를 성공을 높이는 과정으로 인정하는 창업안전망과 인식개선

◯ 싱가포르도 우리나라와 같이 창업보다는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다국적기업에서 창출하던 일자리를 창업에서 창출하려는 정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창업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창업 실패에 대한 안전망 등 우수 인재를 스타트업으로 영입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창업 활성화에 있어 ‘실패를 축하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실패를 성공을 높이는 하나의 과정으로서 인정해주는 문화가 인상적이었고 창업 실패 기업의 주제를 다른 창업자에게 소개해서 성공시키도록 지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점도 배울 점이다.

◇ 대학-인큐베이터-지원제도의 통합과 원스톱 지원 제공

◯ NUS Block71은 창업에 필요한 교육, 재원, 네트워킹, 연구개발을 원스톱 방식으로 지원하고 동시에 싱가포르 국립대를 활용, Open Innovation을 활발히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 싱가포르가 도시국가이기에 대학과 인큐베이터, 지원기관 등이 하나의 조직처럼 통합시스템을 가질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규모로 볼 때 싱가포르 정도의 통합은 불가능하더라도 더 적극적인 방식의 통합 지원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 특히 여러 기관이 흩어져 있는 우리나라 시스템과 비교해볼 때, 각각의 인큐베이터 지원 기관이 모여서 외국계 기업도 지원해주고 있어 통합 지원 시스템이 매우 개방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관련 기사
Special Repor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