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후보시절부터 공언해온 ‘반값등록금’정책 실현을 위한 준비 중 2017
학자금 대출이자 부담 경감 및 입학금 단계적 폐지 추진
박동완 대기자
2024-05-22 오후 4:31:09
□ 시사점

◇ 더 넓은 관점에서 핵심에 기반을 둔 정책을 마련해야

○ 문재인 정부는 후보시절부터 공언해온 ‘반값등록금’정책 실현을 위한 준비에 있다. 정부 출범 이후 발표된 국정운영 계획과 100대 국정과제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대학 등록금 및 주거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이 실현 될 예정이다.

○ 2018년부터 대학생이 체감할 수 있는 등록금 부담 경감이 이뤄질 예정이고 이를 위해 학자금 대출이자 부담 경감 및 입학금 단계적 폐지가 추진 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여 국가 책임 확대 및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고등교육에 대한 실질적 기회 제공이 이뤄질 것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다.

○ 그러나 이는 현재 대학 진학이 갖고 있는 시대적 의미와 앞으로 국가가 나아가야하는 방향과 맞는지 의문이 든다. 더 많은 학생에게 대학 진학을 도울 수 있는 반값 등록금 마련과 잘 갖춰진 학자금 지원이나 장학금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것인지 아니면 그 전에 대학 진학만이 많은 사람들이 선택해야하는 값인지 정부 차원에서 핵심적 문제를 진단해야 한다.

○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관점에서 현재의 학자금제도를 돌아보고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근원적 문제의 해결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 교육기회균등으로서의 학자금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 시대의 변화는 시대적 과제의 변화를 동반한다. 한국에서 대학 진학은 시대 별로 다른 의미를 보여 왔다. 광복과 전쟁 이후의 대학 진학과 산업 고도화 시대의 대학진학 그리고 경제적 성장을 이룬 시대의 대학진학은 각각 다른 의미를 보였다.

○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처럼 과거 신분 상승을 꾀했던 ‘과거제도’처럼 대학 진학은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 수 있는 길이었다. 그러기에 사람들의 삶에 있어 대학은 필수 요건이 아니었다. 개인과 각 가정의 선택 문제였고 대학에 진학하지 않더라도 경제적 활동을 통해 삶을 살아갈 수 있었다.

○ 시대는 변화했다. 그러나 이전보다 노동에 대한 가치가 올라가거나 근로자들의 임금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바뀐 시대를 대변하는 것은 대학의 개수는 많아졌고 ‘대학 진학’은 최소한의 밥벌이를 위한 수단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 교육을 받았다는 것보다 ‘어디에 위치한 대학’, ‘취업이 얼마나 잘되는 대학’을 진학했다는 것이 5000만 국민의 성적표로 자리 잡았다.

○ 고등교육을 누리던 이들이 적던 시절 장학금은 고등교육을 받을 자격은 충분하나 가정형편이 어려운 이들을 위한 수혜였다. 그러나 대학이 ‘취업’을 위한 하나의 관문으로 자리 잡은 현재에는 교육기회균등으로서 장학금이라기보다 최소한의 조건 마련을 위한 보조 성격의 장학금으로 보인다.

○ 학자금 지원 선진화에 있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은 현대 사회에 만연한 ‘대학은 가야지’라는 명제의 해결이다.

대학에 가지 않더라도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사회, 노동의 존귀함에 대한 회복이 있는 사회 등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시대적 전환이 동반될 때 교육기회균등으로서 선진화된 학자금 제도가 마련된 선순환이 이뤄지는 사회 건설이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관련 기사
Special Repor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