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Tata Group"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스페인 세비아 상공회의소(Camara de Comercio de Sevilla) 로고 □ 연수내용◇ Camara de Comercio de Sevilla 상공회의소○ 연수단은 리스본에서 파로와 헤레스를 거쳐 안달루시아 지방의 중심 세비야에 도착했다. 안달루시아 지방의 예술, 문화, 금융의 중심지인 세비야에서 연수단은 세비야 상공회의소를 방문했고 연수단을 파블로씨가 반갑게 맞이해 주었다.◇ 혁신에 근간한 스페인의 경제위기 극복○ 스페인 GDP 기준 세계 13위, 유럽 5위 경제 규모 국가이다. 4600만 인구와 8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대형 소비 시장이다.▲ 스페인 개황○ 스페인은 EU 가입 이후 경제가 급성장해 1994년에서 2007년까지 연평균 3.6%를 기록했다. 산업구조도 변화하여 농업 비중이 축소되고 서비스 중심국가로 전환되었다.○ 2000년대 초반 해외 투자자본 유입과 외국인 취업이민 증가로 부동산 붐과 함께 경제가 급팽창하는 듯 보였던 스페인 경제는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2008년 리만브라더스 사태는 대서양을 건너 스페인에도 영향을 끼쳤고 그리스의 2009년 경제 위기와 함께 PIGS(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국가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2013년까지 5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스페인은 국가가 마주했던 경제 위기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산업구조에서 답을 찾은 것이 아니라 혁신으로 눈을 돌렸다. 정부, 기업, 기관 등이 서로 활발히 협업했으며 해외 인재 유입을 위해 비자 제도에도 새로운 정책을 추가했고 스페인 경제에 스타트업이라는 열풍을 넣을 수 있었다.○ 스페인 정부는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그간 R&D 투자에 소극적이었으나 2017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R&D 관련 인재개발 및 일자리 창출, 기업의 R&D 활동 촉진, 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 및 혁신 등을 주요 골자로 한 2017~2020년 과학기술혁신육성계획을 PLAN ESTATAL DE INVESTIGACIÓN CIENTÍFICA Y TÉCNICA Y DE INNOVACIÓN을 통해 성과를 만들었다. 이후 유럽연합 MMF와 함께 2021-2027 중장기 계획을 다시 수립하였다.○ 계획은 다음의 목적 달성을 주요 골자로 한다. △연구 분야에 우수인력 유입 △산업 리더십 강화 및 역량 강화 △민간 투자 및 산업의 기술 역량 강화 △사회적 도전과제 대처 △개방형 R&D 모델 추구 및 사회 포괄적 접근 △국제, 국가 및 지역 범위에서 R&D 정책 조정 등이다.◇ 스페인 경제의 특징○ 스페인의 경제 성장률은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에는 전년(2%)보다 대폭 하락해 –11.3%를 기록하였지만 2021년과 2022년에는 각 5.5%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경제성장률이 높게 나올 수 있던 이유는 스페인의 대표 산업 중 하나인 관광업이 회복되면서 외국인 관광객 유입이 전년 대비 129% 증가한 7160만 명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2019년(8351만명)의 86%를 회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스페인 경제 지표○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고물가, 글로벌 공급망 경색, 물류 비용 상승 등의 악재가 장기화되며 스페인 경제 성장률은 2022년 하반기 기점으로 빠르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스페인의 물가 상승률은 2021년 3.1%에서 2022년 8.4%로 급등하여 198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무역활동의 경우, 2023년 6월 기준 스페인의 수출액은 339억8350만 유로로 2.8% 하락하였으며 수입액 또한 363억3770만 유로로 9.9% 하락하였다.○ 2023년 6월 스페인의 무역 수지는 23억5520만 유로의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 53억9360만 유로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수입 커버리지 비율은 93.5%에 달해 전년 동월(86.6%) 대비 6.9%p 상승한 수치이다.○ 스페인의 개별 소득세율과 법인세율은 각 47%와 25%이다. 조세 부담은 GDP의 36.6%에 해당하며, 지난 3년간 정부 지출과 예산 잔고의 평균은 각 GDP의 48.2%와 –6.7% 였다. 공공부채는 GDP의 118.6%에 해당한다 년도 2019202020212022조세 부담62.362.161.759.7정부 지출46.248.348.138.3재정 상태65.766.969.968.2[표 1] 스페인 정부 재정점수(출처 : 2023 Index of Economic Freedom)◇ 스페인 산업 구조 특징○ 2022년 스페인의 총 산업 가치는 2235억 유로를 차지했다. 1차 산업이 스페인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이며 스페인의 노동인력 중 4%가 이에 종사하고 있다. 또한 3000만 헥타르의 땅을 차지하는 약 100만 개의 농업과 축산업이다.○ 스페인은 계에서 가장 많은 올리브오일을 생산하며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와인 생산자다. 또한 가장 많은 오렌지와 딸기를 생산하는 나라 중 하나다. 스페인의 주요 작물은 밀, 사탕무, 보리, 토마토, 올리브, 시트러스 과일, 포도 그리고 코르크다.○ 농림부의 자료에 따르면 생물 재배 대상 토지가 전체 경작지의 10.79%를 차지하며 해당 부문(생산 또는 유통)에서 58.485명의 사업자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22년 농업 소득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악천후의 영향으로 생산비용이 증가해 2020년 가치 대비 1.1% 증가, 그리고 2021년 대비 5.5% 감소한 2억7861만 유로에 달했다.○ 다음으로 2차 산업은 스페인의 GDP중 20.4%를 차지하며 생산 인구의 5분의 1이 여기에 종사하고 있다. 전체 제조업은 GDP의 12%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데 이 중 자동차, 섬유, 산업 식품 가공, 철과 철강, 해군 기계, 그리고 공학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최근 전자부품 생산의 아웃소싱, 정보기술, 통신 등 새로운 부문이 높은 성장잠재력을 제공하며, 신재생에너지 부문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스페인의 3차 산업 부문은 GDP의 67.4%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인구 중 76%가 고용되고 있다. 관광 부문은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곳답게 국가 경제 중 가장 많은 부문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페인의 주요 수입이 되고 있다. 2019년 12.4%였던 스페인의 GDP가 2021년 8%로 감소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스페인 EU 전체 할당금○ 2021-2027 기간 결속 정책에 의한 스페인의 할당금은 353억7600만 유로로 국가의 녹색 전환, 금융 혁신 및 디지털화, 고용률 증가 및 지역 사회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지원된다. 해당 투자를 위한 전략과 세부 사항은 스페인과 위원회 사이의 파트너십 계약에 의해 결정된다.○ 전략은 주로 개발이 덜 된 지역에 초점을 맞추며 자금의 50%가 안달루시아, 엑스트레마두라, 카스티야라만차, 세우타, 멜리야에 투자될 것이다.그 부분으로 유럽연합 본토와의 거리가 멀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결과들에 따라 유럽연합의 최외곽 지역인 카나리섬은 6억 7천 3백만 유로의 추가적인 할당을 받을 것이다.○ 연수단이 방문한 안달루시아(세비야 등) 지역에는 동일 기간 ERDF를 통해 66억 유로(약 9조5000억 원)가 투자될 예정이다.국가ESF+ERDFETCJTFCFIJG Total Spain11,15323,540683868- 36,244[표 2] 스페인 할당금 분배(백만 유로)◇ 유럽연합 기금 활용, 디지털화와 그린 경제 전환 추진○ ERDF를 통해 받은 90억 유로 이상은 자원 효율적이고 기후 중립적이며 경쟁력 있는 경제를 만들기 위해 스페인의 녹색 전환에 투자될 예정이다.스페인 국가 통합 에너지 및 기후 계획에 따르면 이 금액 중 18억 유로는 2030년까지 39.5%의 1차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는데 지원될 것이며, 동시에 33억 유로는 74%의 재생 에너지원을 생산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지원된다.○ ERDF의 85억 유로는 고부가가치 부문에서 연구 및 혁신을 촉진하는 투자를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 경쟁력 및 생산성을 촉진하는데 투자될 것이며 무엇보다 이 기업들이 지속 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는 튼튼한 생태계 구축이 목적이다.○ 공정하고 공평한 녹색전환을 보장하기 위해 JTF 아래 8.7억 유로가 지원되었다. JTF는 La Coruña, Asturias, León, Palencia, Teruel, Córdoba, Almeria, Cádiz 및 Balearic Islands (Alcudia 및 일부 주변 지역)의 석탄 광산, 탄소 집중 산업 시설 및 석탄 발전소를 폐쇄한 지역 및 폐쇄 계획을 세운 지역을 지원한다.EFDF1차 에너지 절약18재생에너지 생산33중소기업 성장85합계136JTF공정한 녹색 전환 보장 8.7[표 3] ERDF 및 JTF 활용◇ 유럽연합 기금 활용, 포용적인 노동시장과 빈곤퇴치 추진○ ESF 아래 113억 유로가 사회 통합과 고용에 투자된다. 특히 여성, 청소년, 저기술 인력 및 이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고용에 중점을 둘 것이다.유럽 사회 권리 피라미드 행동 계획에 따라 실직자와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 계층의 고용 촉진과 스페인의 새로운 노동시장 개혁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자금의 40억 유로 이상이 취약한 사람들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포괄적인 통합경로 및 사회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약 10억 유로는 유럽 어린이 보장에 따라 빈곤퇴치와 아이들의 사회서비스와 기본교육 제공 권리를 보장하는데 쓰여질 것이다.◇ 유럽연합 기금 활용, 지속 가능한 수산업 운영○ EMFAF 아래 11억 유로가 스페인의 어업, 양식어업 및 가공업 부문의 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원될 것이다.○ EMFAF 프로그램은 어업 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해양 환경 보호, 기후 변화 대응 및 환경 보호에 중점을 둘 것이다. 이 기금은 해안 어업 및 양식 어업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경제 다각화를 지원해 유럽 그린 딜의 목표와 일치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세비야 위치◇ 안달루시아의 지역적 특징○ 세비야(Sevilla)는 북아프리카 이슬람이 700년간이나 지배한 적이 있어 기독교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역사 도시이자 안달루시아(Andalusia) 관광의 중심도시이다.정열의 춤, 플라멩코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안달루시아의 주도로 광역권에 70만 명이 거주하며, 경제활동과 산업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세비야는 16세기에 이미 유럽대륙의 대도시 중 하나였다. 도시의 외항인 과달키비르(Guadalquivir)를 통해 아메리카와 무역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세계 경제의 중심이자 상업유통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국제적인 도시였다.○ 세비야는 EU를 개발하기 위한 두 중심축, 즉 발렌시아, 바르셀로나, 마르세유, 밀라노 등 해안도시와 남부유럽을 중심으로 한 지중해 축과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부터 영국의 글래스고를 연결하는 해안의 여러 도시를 포함하는 대서양 축이 교차되는 전략적 위치에 있다.또한 북아프리카의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에 걸친 마그레브(Maghreb) 지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유럽 두 대륙을 연결하는 지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안달루시아의 경제적 특징▲ 안달루시아 지역 개황○ 스페인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큰 지역인 안달루시아는 스페인 내에서도 매우 흥미로운 시장이다. 인구는 840만 명으로 스페인 전체 인구의 18%를 차지하며 GDP는 1600억 유로로 스페인 전체의 13%를 차지한다.○ 안달루시아는 약 50만 개가 넘는 회사가 있으며 이는 국가 전체의 15%에 해당한다. 그 중 외국계 회사는 1400개 정도다. 이는 안달루시아를 수출량에 있어 스페인 내 2위에 위치하게 했다.▲ 주요 수출 품목 및 수출국가○ 안달루시아 지역의 최근 5년간 평균 수출액은 3200만 유로였으며 스페인 전체 수출의 11.4%를 차지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연료와 광유 14.3% △야채 9.2% △유지(油脂) 8.5% △항공 관련 8.3% △과일 7.5% △광업 생산물 7.3% 순이었다.○ 가장 많이 수입이 이뤄진 국가는 독일이고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포르투갈, 미국 순이다.○ 특히 안달루시아 지역은 항공우주산업이 굉장히 발달했는데 항공우주산업에 있어 국가 매출의 절반을 차지한다.▲ 스페인 외국인 투자 현황○ 외국인직접투자(FDI)가 까탈루냐, 마드리드에 이어 스페인 내에서 3번째로 높았다. 외국인들은 주로 식품산업, IT, 운송 및 물류, 건축 등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국인직접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수출량이 증대될 수 있는 이유는 유럽 및 다른 지역에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사회기반시설을 바탕으로한 안달루시아 지역 경제 성장○ 안달루시아에는 기본적으로 철도, 통신망, 도로망, 항공 등의 사회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5개의 국제공항이 위치하며 말라가에 있는 공항이 가장 큰 규모이다. 10개의 상업 항구가 있고 세비야, 말라가, 코르도바, 그라나다를 중심으로 고속열차(AVE)가 다니는 철도망도 있다.▲ 안달루시아 교통 네트워크 현황○ 이러한 특징은 안달루시아 지역이 운송과 물류에 강점을 보이게 했고 카디즈와 세비야에 자유무역지대를 세우면서 기업들이 세제 혜택을 통해 제조와 수출을 더욱 활발히 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안달루시아의 전문화된 기술 인프라○ 기술 인프라는 안달루시아가 가진 또 다른 장점이다. 스페인은 5G 영역에서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 세계 3위의 광통신망을 가지고 있다. 특히 5G와 관련해서 세비야는 스페인의 개척자 역할을 하고 있다.○ 말라가에 위치한 PTA(Andalucía Technology Park)는 카르투하 93 과학단지와 함께 유럽 안에서 가장 중요한 과학단지 중 하나이다. 규모와 입주한 회사 수로 봤을 때 유럽 안에서 굉장히 중요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이름위치내용PTA말라가친환경 혁신 기업 유치를 위해 조성된 최첨단 기술연구단지로 스페인의 ‘실리콘 밸리’를 모토로 함(안달루시아 IT 연구단지)PTS그라나다스페인 최초의 의료보건 과학 특성화 단지(의료보건과학 연구단지)AeroPolis세비야Airbus 및 Casa 연구소, 비행훈련센터 위치(우주항공 산업 단지)[표 4] 안달루시아 내 클러스터 현황○ 과학 연구단지 뿐 아니라 기술혁신 및 기술 센터 재단도 존재한다. 각 내용은 다음과 같다. △ANDALTEC(플라스틱) △CATEC(항공우주) △CETEMET(금속 기계 및 운송) △CTAER(재생 에너지) △TECNOVA(농업 보조 기술)□ 훌륭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안달루시아의 교육 인프라○ 안달루시아 고용 시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춧돌은 교육, 재능 발견, 역량 강화이다. 숙련된 젊은이들, 낮은 이직률, 높은 적응력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약 65% 정도의 노동인구(16-64)는 중등 또는 고등 교육을 받았다.○ 10개의 공립대학이 있는 안달루시아는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큰 대학원생들을 위한 지역이다. 안달루시아의 대학들은 산업, 기술 관련 공학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화를 제공한다.대학교 학생 중 엔지니어링/건축을 전공하는 학생 수 4만2792명, 보건학 전공하는 학생 수 3만4222명, 과학 전공하는 학생 수 1만7933명이다.○ 안달루시아는 국제적 재능과 많은 수의 국제 학생들을 끌어들이고 보유한다. 외국인 커뮤니티, 국제학교, 의료서비스, 골프 코스, 경쟁력 있는 생활비. 400만 명의 직원이 있는 안달루시아는 스페인 전 지역에서 가장 많은 현역 근로자를 보유하고 있다. 스위스, 오스트리아와 같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수적으로 비교된다.
-
2022-04-04인도 복합기업인 타타그룹(Tata Group)에 따르면 2022년 4월 7일 슈퍼앱인 Tata Neu를 출시할 계획이다. 정식 공개 전까지는 그룹 직원들에 한해 이용이 가능하다. 슈퍼앱(super app)은 하나의 앱 플랫폼을 통해서 다양한 앱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Tata Neu의 디지털 서비스에는 항공편 예약, 호텔 예약, 식료품 구매, 의약품 구매 등이 포함된다. 현재 인터넷 복합기업인 아마존(Amazon), 페이티엠(Paytm), 릴라이언스 지오(Reliance Jio) 등도 자사만의 슈퍼앱 개발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규모의 소비자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업들에게 슈퍼앱은 이용자의 행동 패턴을 더욱 쉽게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ata Neu 로고
-
2022-03-30유럽 항공기 제조회사인 에어버스 인도(Airbus India)에 따르면 항공사 에어 인디아(Air India)에 신규 항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복합기업인 타타 그룹(Tata Group)과 접촉했다. 에어 버스의 신규 항공기인 A350 쇼케이스에서 언급된 사항으로 모든 항공사들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어 인도를 포함해 타타 그룹의 다른 항공사들이 비스타라(Vistara), 에어아시아 인도(AirAsia India)와도 논의가 진행 중이다. 한편 타타 그룹은 에어아시아 인도를 월드 클래스 항공기로 향상시키기 위해 기체 향상과 국내선 및 해외 노선 네트워크 확장을 목표로 정했다. ▲에어버스(Airbus) 로고
-
2022-01-27인도 정부에 따르면 2022년 1월 27일에 국영항공사인 에어 인디아(Air India)를 복합기업인 타타 그룹(Tata Group)에 양도할 예정이다. 1월 27일까지 반투자 과정을 완료하고자 한다. 2022년 1월 27일 변동사항이 없도록 2022년 1월 20일자로 완료되는 재무재표는 검토를 위해 1월 24일까지 타타 그룹 측에 제출돼야 한다. 에어 인디아는 1932년 타타에서 타타 에어라인(Tata Airlines)으로 설립했으나 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53년 인도 정부에서 국유화했다. 이번 지분 100% 매각 거래에 대한 금액 규모는 1800억루피이다. 모회사 타타 손스(Tata Sons)의 자회사인 Talace Pvt Ltd에서 에어 인디아와 AI Express의 지분 100%와 AISATS(Airport Services Private Limited)에 대한 정부 보유 지분 50%를 소유하게 된다. ▲에어 인디아(Air India) 로고
-
2021-12-29인도 복합 대기업인 타타그룹(Tata Group)에 따르면 2022년 1월로 국영항공사 에어 인디아(Air India) 인수가 1달 연기된다.SPA 조건에 따른 인계 절차들이 8주 내 완료돼야 한다. 하지만 일부 규제 승인 및 특정 절차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2021년 10월 정부는 에어 인디아와 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Air India Express)의 지분 100%, 지상 조업 회사 AISATS의 지분 50%를 타타 선즈(Tata Sons)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타타 선즈는 타타그룹의 자회사이다.타타그룹은 2021년 12월 말까지 Rs 1800억루피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이중 270억루피는 현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는 에어 인디아의 부채 중 1530억루피를 인수한다.▲ 에어 인디아(Air India) 홈페이지
-
2021-02-18인도 복합 대기업인 타타 그룹(Tata group)에 따르면 온라인 식료품 거래 플랫폼인 빅 바스켓(BigBasket)을 인수할 계획이다.빅 바스켓의 지분 68%를 ₹950억루피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합의에 따라 빅 바스켓의 기업 가치는 1350억루피로 인정을 받았다.중국발 코로나-19 사태 이후 온라인 쇼핑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 이번 인수의 배경이다. 현대 온라인 식료품 거래 시장은 아마존과 월마트가 소유한 플립카트가 독점하고 있다.빅 바스켓은 2011년 설립됐으며 국내 25개 주요 도시에서 운영 중이다. 아마존 인디아, 플립커드뿐만 아니라 소프트뱅크가 지원하고 있는 그로퍼스(Grofers)와도 경쟁하고 있다.▲빅 바스켓(BigBasket) 로고
-
2021-02-02싱가포르 항공사인 싱가포르 항공(SIA)에 따르면 인도 복합기업인 타타 그룹(Tata Group)과의 항공사 에어 인디아(Air India) 입찰 참여를 거절했다.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실적 악화와 더불어 일자리 삭감도 이뤄지고 있기에 대규모 투자를 꺼린 것으로 판단된다.해당사와 타타 그룹은 현재 항공사 비스트라(Vistara)와 조인트벤처(JV)를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 항공이 입찰을 포기함에 따라 타타 그룹의 에어 인디아 입찰은 유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싱가포르 항공(SIA)의 여객기(출처 : 홈페이지)
-
인도 Tata Strategic Management Group의 자료에 따르면 향후 몇 개월 동안 4500억루피 상당의 소매점 판매가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8~9월에 중앙정부가 공무원과 연금생활자에게 4500억루피를 지급할 예정이기 때문에 이 금액 중 상당부문이 자동차나 내구재 소비에 지출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최소한 300만 가구가 전자제품, 스마트폰, 이륜차, 홈인테리어제품 등을 구입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85만가구는 해외로 여행을 가고 45만가구는 자동차를 구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
○ 인도네시아와 메이어의 성공적 협력19세기에 북미지역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은 철도였다. 그런데 오늘날 메이어사가 건설한 여객선은 인도네시아에 있어서 철도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83년 이래 현재까지 7500만 명 이상의 인도네시아 승객이 메이어사가 건조한 여객선을 이용하고 있다.메이어사는 인도네시아와 1950년대부터 사업관계를 맺어왔다. 1983년부터 2008년 사이 메이어 조선소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주문을 받아 수척의 여객선을 건조했는데 이 여객선은 여객선 업계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였다.[메이어사의 인도네시아 여객선 수주현황]년도선명총 톤수2008Gunung Dempo14,200톤2004Labobar15,100톤2002Nggapulu14,800톤2001Doro Londa14,800톤1998Kelud14,800톤1997Sinabung14,800톤1997Lambelu14,800톤1996Bukit Siguntang14,800톤1995Tilongkabila6,000톤1994Bukit Raya6,000톤1994Binaiya6,000톤1994Leuser6,000톤1993Dobonsolo14,800톤1993Ciremai14,800톤1991Awu6,000톤1991Sirimau6,000톤1990Tatamailau6,000톤1988Tidar14,800톤1986Lawit6,000톤1986Kilimutu6,000톤1985Umsini14,800톤1984Rinjani14,800톤1984Kambuna14,800톤1983Kerinci14,800톤현재 메이어사에서 건조한 23척의 여객선이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과 섬을 연결하며 운행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사회간접시설의 중심이 되었다.2004년 23번째 여객선인 ‘라보바르(Labobar)’가 건조되었고 2006년 여름에는 24번째 여객선을 발주받았다. 기존 여객선 ‘typ 2000’의 기본 디자인을 바탕으로 1500명의 승객과 컨테이너 100개를 수송할 수 있도록 건조했다.메이어사는 인도네시아와 활발한 기술교류도 하고 있다. ‘기술전수와 기술지원에 관한 협정’에 의해 수라바야의 ‘P.T. 팔 쉽야드(P.T. Pal Shipyard)’ 조선소의 선박 기술자들이 500인용 여객선을 설계하기 위해 파펜부르크에서 일하기도 했다. 이 여객선 설계는 인도네시아 기술자와 메이어사 엔지니어의 공동작업으로 진행되었다.1995년 인도네시아 최초의 500인용 여객선이 메이어사의 기술 지원을 받아 인도네시아의 조선소에서 건조되었고 1999년 2척의 선박이 더 건조되었다. 여객선을 건조하는 데 필요한 부품과 자재들은 메이어사에서 조달되었다. 메이어사와 인도네시아의 협력 관계는 독일에서 가장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다.○ 특수선박 분야에서도 두각메이어 조선소는 컨테이너선과 가스 운반선, 가축 운반선 등 특수 선박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메이어사는 2003년 10월 4척의 컨테이너선을 수주했다.선체 외부의 번호가 S.671부터 674인 이 선박은 신형 컨테이너선이다. 이 선박은 2005년 인도되었으며 ‘Emissionshaus Hansa Hamburg Shipping International’이라는 선사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다.이 선박은 ‘위쪽이 열려있는 형태의 선박(Open Top Ship)’으로 디자인되었다. 중간 부분이 창구개(hatch cover)없이 위쪽으로 열려있는 형태이다. 총 1만5600톤급이며 1600여 개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이 컨테이너선이 기술적 측면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내빙선 규정(ice class)중에서도 가장 높은 등급 규정인 ‘Finnish-Swedish 1A Super’ 규정을 적용한 최대 ‘Ice Class’ 선박이라는 점과 창구(hatch)의 특수한 배치다.[MS Eilbek/MS Reinbek/MS Flottbek/MS Barmbek의 기술적인 재원]구분재원전장169미터형폭27미터등급총 15,600톤엔진 출력12,640kw최대 속력20Kn컨테이너1,600TEU메이어사는 가스운반선 건조와 화학제품 운반선 건조에도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높은 기술 수준이 필요한 이러한 특수선은 독일 엠스란트(Emsland) 지역 조선소들의 전문분야였다.메이어사는 2008년 말 1만7000㎡ 크기의 가스 운반선 4척을 건조해 노르웨이의 거대 선박 회사인 솔방사(Solvang ASA)에 인도했다. 메이어사는 1997년 노르웨이의 선박 그룹으로부터 Solvang ASA사의 후원으로 2척의 냉동 액화 에틸렌 운반선을 수주했다. 이 에틸렌 운반선은 영하 102도의 액화된 가스를 운반한다.이전에 건조되었던 가스 운반선과 마찬가지로 클립 바이킹(Clipper Viking)과 클립 헤럴드(Clipper Harald)는 최고 속도가 18노트에 달하는 가스 운반선이다.이 운반선은 에틸렌 이외에도 암모니아, 산화 프로필렌, 염화 비닐 모노모(vinyl chloride monomer)등을 운반하고 있다. 2010년까지 메이어사는 8척의 가스 운반선을 건조해서 ‘솔방&하페인(Solvang and Harpain)’사에 인도할 예정이다.메이어사는 1961년부터 액화가스 운반을 위한 55척의 가스 운반선과 화학제품 운반선을 건조했다. 초기부터 이러한 특수 선박건조가 특화되어 있었으며 그 명성은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축적된 경험과 생산 설비 덕분에 메이어사는 모든 종류와 크기의 가스 운반선을 건조할 수 있다고 한다. 메이어사에서 건조할 수 있는 가스 운반선의 최대 크기는 10만㎡다.[메이어사가 건조한 55척의 가스 운반선 현황]선명선주탱크(㎡)인도 년도N.N.Harpain Reederei, GER17,0002010N.N.Harpain Reederei, GER17,0002010N.N.Harpain Reederei, GER17,0002009N.N.Harpain Reederei, GER17,0002009Clipper HermondSolvang ASA, N17,0002008Clipper HermesSolvang ASA, N17,0002008Clipper HelenSolvang ASA, N17,0002007Clipper HebeSolvang ASA, N17,0002007Clipper HaraldSolvang ASA12,5001999Clipper VikingSolvang ASA12,5001998DonauF.A. Detjen, GER30,2001985Tycho BraheF.A. Detjen, GER15,4001982Immanuel KantB. Schulte, GER15,4001983SalacgrivaSovcomflot, USSR15,0001991SaulkrastiSovcomflot, USSR15,0001991SkulteSovcomflot, USSR15,0001991SkriveriSovcomflot, USSR15,0001990SlokaSovcomflot, USSR15,0001990SiguldaSovcomflot, USSR15,0001989LielupeLatvian Shipping, USSR12,0001978MayoriLatvian Shipping, USSR12,0001977DubultyLatvian Shipping, USSR12,0001977DzintariLatvian Shipping, USSR12,0001976BolduriLatvian Shipping, USSR12,0001976YurmalaLatvian Shipping, USSR12,0001975GurupiPetrobras, BR8,1001987GurupaPetrobras, BR8,1001987GrajauPetrobras, BR8,1001987ZetagaSloman Neptun, GER6,6001982Kurt IlliesB. Schulte, GER6,5001982SMB IIP.T. PUSRI, Indonesia5,7001984Hermann SchulteB. Schulte, GER5,7001980Dorothea SchulteB. Schulte, GER5,7001981Gaz NordseeF.A. Detjen, GER5,7001982Gaz pacificF.A. Detjen, GER5,7001981Epsilon GasSloman Neptun, GER5,7001977BengghaziCaltram, Algerien5,6001978Coral IsisCoral Shipping Co. CU5,6001976DeltagasSloman Neptun, GER5,5001974GammagasSloman Neptun, GER5,2001972IreneTransmarin, GER5,2001971NicoleAB Transmarin, S3,0001967Kap RolandB. Schulte, GER2,1001968Tine TholstrupI/S Transkosan, DK1,6001968LigurPartederiet, S1,5001970LibraRederiet MT "Libra", S1,5001968ClaudeAB Transmarin, S1,5001967Gaston MicardSigS Arstad, N1,4001964Lisbeth TholstrupI/S Transkosan, DK9231963Ulla TholstrupA/S Kosangas, DK9171961Kirsten TholstrupI/S Transkosan, DK9071961Hanne TholstrupA/S Kosangas, DK8951962Mary Else TholstrupI/S Transkosan, DK6281965Ninja TholstrupA/S Kosangas, DK5971964Ann Lise TholstrupA/S Kosangas, DK5971963메이어사가 그동안 제작한 특수선박 중에 연수단의 흥미를 끌었던 것은 가축 운반선이었다. 메이어사는 1970년대 초반부터 유조선과 화물선을 가축 운반선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펼쳐 현재까지 27척의 선박을 개조하는 성과를 거둬 이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 있다.살아있는 동물을 해상으로 수송하려면 매우 엄격한 국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나라는 가축의 해상 수송에 있어 엄격한 동물 보호규정을 요구하고 있다.효과적인 환기 시스템, 선박 데크의 특수 외피 코팅, 가축들을 위한 경사로 설치 등 승선과 하선을 비롯해 해상 수송 전 기간에 걸쳐 동물 보호를 보장해야 한다.2000년 4월 메이어사는 ‘알 슈바흐(Al Shuwaikh’)호를 쿠웨이트의 KLTT선박회사(KLTT Shipping Company)에 인도했다. 알 슈바흐호는 최대 가축 80,000두를 수송할 수 있는 개조한 가축 운반선이다.이 선박은 메이어 베르프트의 감독 아래 자회사인 ‘넵툰 베르프트(NEPTUN Werft)’에서 개조했다. 선박 개조는 사료, 음용수 운반장치와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데크에 특수 코팅을 하는 것으로 완료되었다.쿠웨이트의 KLTT는 메이어사의 오래된 고객이다. 1980년에는 12만5600두의 양을 수송할 수 있는 ‘알 쿠웨이트(Al Kuwait)’호를 인도했다. 1997년에는 최대 8만두의 양을 수송할 수 있는 또 다른 가축 운반선 ‘알 메시라(Al Messilah)호’가 건조되었다.[Al Shumaikh의 기술적인 제원]구분Al Shumaikh전장186미터형폭32미터등급40,500톤엔진 출력114,500kw최대 속력19.5Kn수송 능력양 80,000두 또는 양 75,000두와 소 500두[메이어사가 건조한 27척의 가축 운반선]년도선명선주총 수송능력2000Al ShuwaikhKLTT, Kuwait양 88,000두1997Al MessilahKLTT< Kuwait양 80,000두1989Cormo ExpressVroon B.V., NL양 70,000두1987Angus ExpressVroon B.V., NL소 650두1985BenwalidTurkish-Libyan, TR양 21,300두1983Rabunion XIXRabunion, Lebanon양 15,300두1982Corriedale ExpressVroon B.V., NL양 55,000두1982Rabunion XVIIRabunion, Lebanon양 27,300두1981Sahiwal ExpressVroon B.V., NL소 800두1981Guernsey ExpressVroon B.V., NL소 1,400두1980Kerry ExpressVroon B.V., Nl소 2,225두1980Al KuwaitKLTT, Kuwait양 125,600두1980AvaloVroon B.V., NL소 1,400두1979Rabunion XVIIRabunion, Lebanon양 16,500두1978Rabunion XIIRabunion, Lebanon양 8,000두1977Galloway ExpressVroon B.V., NL소 1,500두1977Car ExpressVroon B.V.소 600두1977Hereford ExpressVroon B.V.소 615두1976Merino ExpressVroon B.V.양 17,330두1976Normand ExpressVroon B.V.양 4,390두1975Devon ExpressVroon B.V.소 755두1974Limousin ExpressVroon B.V.소 625두1973Capo San MarcoDreyfus양 15,000두1972Charolais ExpressVroon B.V., NL양 10,325두1972Jersey ExpressVroon B.V.소 302두1972Holstein ExpressVroon B.V.양 6,050두1970Angus ExpressVroon B.V.소 330두○ 하천 유람선에 특화된 자회사베르네 뮌데(Warnemuende)지역 로스톡(Rostock)에 있는 베이어 베르프트의 자회사 ‘넵툰 베르프트(Neptun Werft)’는 동독지역의 오래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조선소였는데 1997년 메이어사에 인수되어 메이어-넵툰(Meyer-Neptun)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넵툰 베르프트에서는 지난 150여 년간 1500척의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고 수천 척의 개조와 수리가 이루어졌다. 각자의 특화된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파펜부르크와 로스톡에 위치한 두 회사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서로의 기술을 결합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기도 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조선소 견학을 마친 연수단은 조선소의 대형 실내 도크 앞에서 안내원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파펜부르크시 경제과장이 추천해 준 식당으로 향했다.경제과장이 추천해 준 식당은 다름 아닌 옛 파펜부르크 조선소 건물에 있었다. 식당이 있는 지역은 ‘구베르프트 광장(Forum Alte Werft’이라 부르고 있었다. 이곳에 1970년대까지 메이어 베르프트 조선소가 있었다.옛 조선소 건물을 허물지 않고 개조해 호텔과 레스토랑, 관광안내소, 놀이시설, 시민회관, 요트 계류장 등을 만들어 놓았다. 조선소가 있던 항구와 건물, 오래된 기계 설비 등을 보전하고 이용함으로써 지역 산업의 역사를 후대에 전하는 한편 지역 문화의 중심이 되고 있다. - 끝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