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Beer"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 가장 전통적 주류제조업체인 애드남스(Adnams)의 맥주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영국 가장 전통적 주류제조업체인 애드남스(Adnams)에 따르면 펀드를 유치하기 위해 글로벌 경영컨설팅기업인 알바레즈앤마살(A&M)과 협업하고 있다.새롭게 유치한 자금으로 은행 부채를 해결하고 향후 성장 프로젝트 추진에 활용할 방침이다. 펀드 유치 방안으로 애드남스의 부동산 자산을 일부 매각하는 것도 고려 중이다.2023년 상반기 운영 손실액은 240만 파운드로 상승했다. 동기간 매출액은 3000만 파운드로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계속되는 인플레이션 압박이 소비자 수요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펍 가게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2019년 이후 나무통에 넣은 캐스크 비어(cask beer) 시장이 25%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영국 사모펀드기업인 브리엘(Breal)은 2023년 파산한 블랙쉽(Black Sheep)을 포함해 여럿 양조장을 인수한 바 있다. 지역 양조장들의 파산 사례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 연수내용◇ 싱가포르 맥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타이거 맥주○ 타이거 맥주는 1932년 싱가포르에서 생산되었으며 하이네켄 아시아 태평양회사(Heineken Asia Pacific)인 아시아 퍼시픽 브루어리(Asia Pacific Breweries, APB)의 대표 맥주다. 이후 1939년 타이거맥주는 Commonwealth Beer Competition이라는 국제경연대회에서 은메달이라는 첫 번째 상을 받으며 성장했다.○ 싱가포르 맥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APB는 2018년 기준 시장 점유율 44%로 싱가포르 내 가장 높은 판매 비중을 차지한다. 회사는 마케팅 비용 투자를 통해 매년 젊은 층에 어필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활발한 홍보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독창적인 마케팅을 통해, 국내외 수요가 증가했고, 세계 여러 나라로 수출을 해 영향력을 세계적인 맥주 브랜드로 성장했다.◇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운영하는 아시아 퍼시픽 브루어리○ 양조장은 2014년 200만 헥토리터의 양조시설을 갖추고 2015년 지붕에 8,308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탄소 배출량을 20% 줄였다.세계 5대 태양광 발전 양조장의 모습을 갖췄다. 이후 2017년 아시아 최초로 물 보존을 위한 물 재사용 처리 공장을 설치했다.○ 연간 2,590MWh의 태양에너지를 발생시키고 66,000㎥의 물을 재사용한다.○ 맥주 제조에도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환경친화적인 공급업체로부터 고품질의 재료를 공급받는다. 인공지능, 드론을 활용해 고위험 밀폐공간을 점검하고 증강현실을 구현해 생산공장의 안전성을 높인 스마트공장을 통해 맥주를 생산하고 있다.▲ 혁신기술을 갖춘 인프라 기반의 양조장○ 아시아 퍼시픽 맥주회사의 최종 목표는 100% 순환성을 달성하고 싱가포르 최고의 폐기물 제로 양조장을 구축하는 것이다.탄소 중립을 달성하고 싱가포르의 순환 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음료 용기를 시작으로 2025년까지 플라스틱 포장을 없앨 계획이다.○ 인종, 성별과 같은 사회적 측면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근로자의 다양성을 포용하고 사내 고위 경영진의 성별 균형을 목표로 한다.2023년까지 모든 직원에게 리더십 교육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수익의 13만 불을 지역 사회에 환원해 브랜드를 성장시킨다.▲ 아시아 퍼시픽 브루어리(Asia Pacific Breweries(APB)의 지속가능성◇ 동남아시아를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타이거 맥주○ 1932년 말레이시아 일부였던 싱가포르주의 브루어리 회사로 시작된 타이거 맥주는 독립과 함께 지금까지 싱가포르의 대표 맥주회사로 자리하고 있다. 2012년 하이네켄이 인수해 하이네켄의 여러 맥주도 OEM* 방식을 통해 해당 브루어리에서 생산되고 있다.○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 주문자의 의뢰에 따라 주문자의 상표를 부착하여 판매할 상품을 제작하는 업체○ 타이거 맥주의 브루어리는 투어를 제공해 자신들이 세계적인 맥주 브랜드가 될 수 있었던 약 90년의 역사를 투어 참여자들과 공유하고 있다.BREW House에서는 맥주를 만들기 위한 재료 및 과정을 참여자들과 공유함으로써 맥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있다.Packaging Gallery에서는 맥주병의 생산-포장-유통의 과정을 참여자들에게 공개하고 최종 제품의 시음 기회를 제공해 참여자들에게 맥주에 대한 친근감을 심어주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타이거 맥주는 투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들의 생산 과정을 소비자들과 공개함으로써 유대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성장한 자신들의 이야기를 공유함으로써 꿈을 가진 많은 사람에게 본보기가 되는 역할이 되어 주고 있다.□ 참여자 소감○ 세계적인 맥주회사로 발돋움하기 위한 장인들의 노력과 고민을 듣게 되었고 제조업 분야에서의 △장인정신의 필요성 △체계화된 시스템 구축 △장인들에 대한 존경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맛의 맥주를 생산하는 것이 흥미로웠고 소주를 섞은 맥주 상품이 출시된 것으로 보면 한국문화의 위상이 상당히 올랐음을 알 수 있어서 자랑스러웠다. 다만 함량이 매우 소량이라는 점은 아쉬웠다.○ 싱가포르에서 유명한 타이거 맥주 생산공장을 견학할 수 있어서 아주 새로운 경험이 되었다.생산공정을 마치 자랑하듯이 설명하는 모습과 발전사를 자세하게 기록해 관리하는 모습에서 타이거 맥주의 상당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시음회를 통해 맛과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는 듯했지만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정과 따듯함은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것도 싱가포르 문화의 일부분이라는 생각하며 한국문화와 차이점을 느낄 수 있었다.○ 자동화 시스템이 인상적이었으나 이는 국내 주류 생산회사 등에도 있어 보편적인 것으로 보인다. 홍보방식이 매우 유용했으나 이동 경로의 비 가림 시설 부족, 시음 장소에서의 안주류 미제공과 같은 점에서 일본의 기린 맥주나 삿포로 맥주보다는 비교되는 측면이 있었다. 다만 자신들의 성장 과정에 자부심 느끼고 스토리텔링 하는 방식은 본받을 만하다.○ 오랜 전통을 이어 세계적 맥주 공장으로 성장한 기업일지라도 마케팅 투자에 그치지 않고 세계적인 친환경 기조에 발맞춰 △에너지 절약, △자원재활용, △폐기물 제로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발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또한 싱가포르 특징에 걸맞은 △다양한 인종의 고용 △회사수익의 사회 환원의 행동은 회사의 브랜드가치를 실현하며, 바람직한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한다.○ 워낙 큰 회사이기 때문에 즐기는 시간이 될 수 있었다.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곳에서 지속 가능성을 위해 노력하며,스마트 공장을 통한 생산능력과 안전성을 향상하는 모습은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매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였다.○ 맥주 생산공정을 이번 타이거 맥주 생산공장 답사를 통해 배울 수 있었고 다양한 산업의 생산 현장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어서 좋았다.
-
2022-10-23▲ 2012~2018년 그리스 맥주 생산량과 소비량 표[출처=헬레닉 양조업자 연맹(Ελληνική Ένωση Ζυθοποιών) 홈페이지]그리스 양조업자 연맹인 헬레닉 양조업자 연맹(Ελληνική Ένωση Ζυθοποιών)에 따르면 국내 맥주 가격이 50% 상승에도 상향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맹 회장인 소포클레스 파나지오투(Σοφοκλ?ς Παναγι?του)씨는 현지 매체인 Free Sunday Press(Ελε?θερο Τ?πο της Κυριακ?ς)와 인터뷰에서 에너지 위기와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국내 맥주 가격이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통합 정보분석기업인 닐슨(Nielsen)에 따르면 여름 동안 그리스 국내 맥주가격은 5.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맥주의 주요 원재료인 몰트의 가격은 2021년 1t당 450~500유로에서 2022년 750유로로 상승했다. 이는 운송 비용을 포함하지 않은 금액이다. 파나지오투씨는 몰트 외에도 유리병 가격이 60% 급등했으면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리스 양조장 대부분이 우크라이나에서 유리병을 수입해 쓰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에서 운영된 대규모 유리공장 10곳은 전쟁이 시작된 이후 가동을 중단했다. 유리병 가격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0.19유로였지만 10월13일 기준 0.40유로로 2배 올랐다.
-
2022-02-14영국 맥주 제조사인 코브라 비어(Cobra Beer)에 따르면 국내 맥주 소비자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맥주 업계가 비용 급등의 악순환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제조 비용 및 에너지 요금 측면에서부터 화물 및 인력 공급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치솟는 비용은 맥주 가격 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물가상승률은 30년 만에 최고치인 5.4%에 달한다. 2022년 4월부터 새로운 가격 상한 규정에 따라 에너지 요금도 치솟을 예정이다. 세금 인상도 전망되고 있다.2021년 12월 크리스마스 축제 기간 동안 펍, 바, 레스토랑 등의 주류 매출은 코로나-19 사태로 2년 연속 어려움을 겪으며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수준 대비 60%나 감소했다. 2021년 11월 와인 및 스피릿 무역협회(Wine and Spirit Trade Association)에 따르면 대형트럭(HGV) 운전자 부족으로 인한 공급망 사태로 인해 주류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코브라 비어(Cobra Beer) 홈페이지
-
2021-11-18인도계 미국인 사업가인 사비어 바티아(Sabeer Bhatia)에 따르면 고용 목적 동영상 벤처기업인 ShowReel을 창업했다. 짧은 시간의 동영상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고용 부문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로운 직장을 찾을 때 자신을 어필하거나 기업 측에서 원하는 인재를 탐색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베타폼에서 해당사가 녹음한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개인이 쉽게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향후 질문 언어를 기존의 영어에서 기타 언어로 확장할 계획이다. 2021년 11월 기준 ShowReel의 직원들은 미국과 인도를 포함해서 약 15명이다. 연구개발센터는 코치에 위치해 있다.▲사비어 바티아(Sabeer Bhatia) 사진(출처 : 트위터)
-
2021-06-21보츠와나 다이아몬드 채광기업인 데브스와나(Debswana)에 따르면 2021년 6월 초 1098캐럿의 다이아몬드 원석을 발굴했다. 6월 중순 세계에서 3번째로 큰 다이아몬드로 평가받았다.2021년 6월 16일 수도인 가보로네(Gaborone)에서 국내 및 해외에 공개됐다. 정부는 1098캐럿의 다이아몬드는 매우 희귀하고 특이하기 때문에 국가에 큰 의미가 있으며 국난 극복에 희망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 및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거대기업인 드 비어스(De Beers)는 합작 사업의 결과로 세계 3위 다이아몬드 발견을 기뻐하고 있다. 2021년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1위 다이아몬드는 1905년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에서 발견된 3106캐럿의 다이아몬드 원석으로 일명 컬리넌(Cullinan)이라고 불린다.2위는 2015년 역시 보츠와나(Botswana)에서 발견된 1109캐럿의 다이아몬드 원석으로 레세디 라 로나(Lesedi La Rona) 이다. ▲데브스와나(Debswana) 홈페이지
-
2021-06-15이탈리아 맥주 브랜드인 비라 페로니(Birra Peroni)에 따르면 공급망 일괄 추적을 위해 EY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공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언스트앤영(EY)의 옵스체인(opschain) 추적 기능을 사용할 예정이다. 각 배치(batch)는 고유한 디지털 소유권 인증서인 대체 불가능 토큰(NFT)을 가지게 된다. 각 NFT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디지털 원장은 중앙에 보관되지 않고 여러 사용자에게 분산된다. 각 트랜잭션을 통해 변조를 방지하도록 타임 스탬프 및 암호화된다. NFT는 물리적·가상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고 '토큰화'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를 위한 추적 도구로도 배치되고 있다. 즉, 소비자는 블록체인 파일럿을 실행해 포장에 있는 QR 코드를 통해 보리 공급망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공급망 추적은 미국의 버드와이저( Budweiser) 및 벨기에의 스텔라 아르투아(tella Artois)에서도 실행되고 있다. 향후에는 더욱 더 많은 브랜드에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라 페로니(Birra Peroni)의 로고(출처 : 홈페이지)
-
2021-01-11남아프리카공화국 맥주협회(BASA)에 따르면 정부가 주류 판매 금지를 해제해 줄 것을 간청하고 있다. 2021년 1월 15일 이후 정부는 술을 마시지 말라고 조치했다.국내 소규모 주류업계는 이제 더 이상 사업을 계속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사업주, 직원 및 가족 등이 당장 이번 달부터 살아갈 소득이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2020년 12월 정부는 중국발 코로나-19로 인한 3단계 경제봉쇄 조치로 주류의 판매, 운송, 유통 등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봉쇄때부터 국내 주류의 판매 및 운송이 금지됐다. 진정되지 않는 코로나-19 사태로 주류업계는 거의 고사 직전인데 다시 주류 판매 금지가 시행될 예정이다.▲남아프리카공화국맥주협회(Beer Association of South Africa, BASA) 홈페이지
-
2019-04-18영국 주류업체인 디아지오(Diageo)에 따르면 2020년까지 맥주 포장재를 플라스틱에서 종이로 전부 교체할 계획이다.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맥주 포장재를 전부 종이로 바꿀 경우에 플라스틱 400톤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8월부터 아일랜드 소비자들은 기네스 포장재가 종이로 바뀐 것을 알아챌 것으로 보인다.현재 기네스 4캔을 하나의 플라스틱 포장재로 묶어 판매 중이다. 종이포장재는 재활용도 가능하고 소각할 경우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된다.참고로 디아지오는 기네스라는 유명한 맥주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환경친화적인 정책으로 인해 기업 브랜드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디아지오(Diageo) 제품(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