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조인트벤처"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독일의 전기자동차 혁신기업 이고모바일(e.Go Mobile GmbH) Campus-Boulevard 30, 52074 AachenTel: +49 241 47574 124www.e-go-mobile.com 기업방문독일아헨 ◇ 아헨공대의 역량을 보여주는 전기자동차 제조분야 스타트업○ e-GO사(e.Go Mobile GmbH)는 독일 아헨 도심지역의 단거리 운행에 특화된 전기자동차 제조 스타트업으로, 향후 전기차를 가솔린차 정도 성능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e-GO사 생산공장[출처=브레인파크]○ 실용적이고 재미있으며, 경제적인 전기자동차를 제작하여 시장에 선보임으로써 e-GO사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를 늘리고, 세컨드카 시장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e-GO의 전신인 StreetScooter사는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전기자동차 개발이라는 아헨공대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아헨공대 교수인 Achim Kampker와 Günther Schuh가 설립했다.◇ 단기간 높은 생산성을 확보한 StreetScooter사○ StreetScooter사는 2010년 설립 이후 전기 자동차를 주력 제품으로 개발하여 2014년 Deutsche Post DHL 그룹에 성공적으로 매각된 바 있다. 매각 당시, 70여 명의 직원이 연간 200여 대의 전기자동차를 제작하며 높은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 StreetScooter사는 2011년 최초의 소형승용 전기자동차, 2012년에는 소형 상용차의 시제품을 제작했다. 2013년부터는 제품의 소규모 계열생산(Small Series Production)(ⓛ) 을 시작했다. ⓛ 계열 생산 (Series Production): 일정한 모형에 따라 생산되어서 동일계열에서는 어디에나 사용가능한 부분품들로 조립되는 장비 생산.○ 이어 2014년에는 연간 150대의 전기차를 생산했으며, Deutsche Post DHL 그룹에 매각되는 시점에서는 연간 300대 이상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했다.2015년에는 계열생산 규모를 더욱 확장하면서 기업 설립부터 제품계열 및 전기차 생산까지 5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StreetScooter사의 소규모 계열생산[출처=브레인파크]○ StreetScooter사의 성공적 출발은 e-GO사가 전기자동차 개발과 마케팅 분야에서 증명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E-Go사의 경영진과 엔지니어들은 StreetScooter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과 기술력을 확보했다.◇ 전기차 수요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제 도입○ 독일은 유럽 최대의 자동차 시장이지만, 디젤차들의 아성이 견고해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미미했다. 하지만,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로 독일정부와 완성차 업체 모두 전기차 시장 확대에 매진하고 있다.독일 주요 완성차 업체 3사는 향후 10년 내에 10~20개 이상의 전기차 모델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정부 또한 구매보조금을 도입한데 이어 전기차 의무판매제 실시를 논의하고 있다.○ 2016년 하반기부터는 전기차 구매 인센티브제를 도입, 전기차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고 있으며, 2020년 전기차 100만 대 도입을 목표로 삼았던 독일 정부는 곧 전기차 의무판매제 도입을 공론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e-GO사는 이와 같은 시장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전기차에 대한 수요를 확대하기 위한 독일 정부의 정책을 십분 이용하여 시장점유율 확대를 꾀하고 있다.○ BMW,Audi와 같은 전통적인 자동차 완성체 업체가 목표로 하는 시장과는 조금 다르게 e-GO사는 도시환경에서 주행이 편리한 세컨드카 시장을 주목하 있으며, 이에 적합한 실용적 전기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품라인 구성○ e-GO사의 제품라인은 e.GO Life, e.GO Mover, e.GO Kart가 있으며 현재 제품개발 및 시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e.GO Life은 소형 승용 전기차로 도시주행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차량이다. 운전자가 전기차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최적화된 디자인 과 성능을 자랑하고 있다. 속도에 있어서는 스포츠카만큼 성능을 내고 있으면서, 소형차의 실용성까지 겸비하고 있다.▲ e.GO Life[출처=브레인파크]▶ e.Go Life 대표 모델의 특징모델e.GO Life 20e.GO Life 40e.GO Life 60중량1,300kg배터리 종류리튬이온하중420kg400kg350kg배터리 용량14.9 ㎾h17.9 ㎾h23.9㎾h배터리 전압230V280V380V시간당 최고 속력116km/h150km/h160km/h순간가속(0-100km/h)35초12초8.6초배터리 완충 주행가능거리104km114km154km배터리 완충 소요시간6시간7.5시간9.8시간○ e.Go life는 바디를 강화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 경량화했으며, 전통적인 차량제조에 필요한 프레스와 도장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소규모 생산과 유연한 생산량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기차 한 대 당 가격은 2018년 기준 15,900유로로 책정되었다. 독일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11,900유로라는 합리적인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동급 자동차 구입비용의 40%로 세컨드카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춘 전기차를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e.GO Mover는 다목적 미니버스로 근거리 이동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9인승 기준이지만 총 13인까지 수송이 가능하다. 도시내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 장애인 수송용 차량, 놀이공원·공항 등의 승객 수송용 차량에 적합하게 제작되었다. 배달차량으로 개조가 가능하며 다목적 차량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e.GO Mover차는 개발 중이다.▲ e.Go Mover○ e.GO Mover의 파워트레인은 150㎾ ZF 드라이브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배터리 용량은 70㎾h이며 완충 후 10시간 정도 운행할 수 있다.e.GO Mover는 ZF Technology Group(②) 과 e.GO Mobile AG간의 조인트벤처인 e.GO Moove에서 현재 개발하고 있다. ② ZF는 독일의 유명 변속기 제조 업체로, 드라이브라인 및 차량 샤시기술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자동차 부품사이다.▲ 다양한 형태로 개조가 가능한 e.GO Mover[출처=브레인파크]○ e.GO Kart는 레저용으로 개발된 전기자동차로, 형태와 운전 기능으로 보면 전기자전거(pedelec)의 요소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새로운 자동차이다. 250w 모터를 사용하고 속도와 싸이클링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NuVinci hub system을 채용하고 있어 기어가 자동으로 변환된다.○ e.GO Kart는 알루미늄 프레임, 충격방지 플라스틱 전면부 커버 등 고품질 자전거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시 주행 최고속도는 시간당 25㎞이다.운전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LED 헤드라이트, 백라이트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e.GO Kart는 전기자전거 대상 법규를 적용받기 때문에 도로 주행이 가능하고, 운전자는 차량 운전면허증이 없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협업을 위한 긴밀한 네트워킹 체계 구축▲ e.Go Kart[출처=브레인파크]○ 아헨공대는 약 20억 유로를 투자하여 아헨시 외곽지역에 Campus Melaten과 Campus West 건설을 진행 중이다. 이 캠퍼스는 여러 가지 주제의 과학기술 연구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한 장점을 활용, 다제간 연구협력 및 산학협력을 촉진하고 있다.○ 총 부지면적은 2.5㎢로, 현재 생명공학, 광(Photonics), 대형 상용차, 생산기술, 지속가능에너지, 스마트 물류 연구를 위한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다.정보통신, 분자기술 및 촉매연구 클러스터가 향후 입주할 예정이다. 이외 아헨공대 스타트업 창업기업이나 아헨공대와 협력하고 있는 320개 기업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e-GO사도 다재적 연구개발 협력이 용이한 아헨공대 Melatan Campus에 위치하고 있어 아헨공대와 다른 연구소 및 산업계 파트너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e-GO사는 산업계 파트너들과 첨단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중심대학의 노하우와 산업계의 기술응용 경험을 조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전기자동차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혁신 프로젝트 다제간 컨소시엄을 통해 시제품 개발과 인증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독일의 유명 자동차 부품 개발사인 보쉬와 네트워크 및 애프터서비스 업무제휴도 체결했다. 보쉬는 48V 드라이브 트레인을 공급하고 있다.보쉬와 e-GO사는 EV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2015년 e-GO사 설립 초기부터 상호 연계를 강화해왔다. 이와 같은 협력을 통해 보쉬는 향후 차량 진단, 정비 공장 설비, 보쉬 정비 네트워크를 통한 정비 서비스 등 AS와 관련된 서비스를 e-GO사 고객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e.Go Mover를 개발하기 위해 NVIDIA사(③)와 ZF사와 협력을 이어오고 있으며, 프라운호퍼연구소, 아헨공대, Continental, BMZ 등 다양한 기업 및 연구소와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다. ③ NVIDIA는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인공지능 컴퓨팅 및 비주얼 컴퓨팅 분야 기술 선두기업으로 컴퓨터용 그래픽 처리 장치와 멀티미디어 장치를 개발, 제조하는 회사이다.▲ e-GO사의 협력네트워크[출처=브레인파크]□ 질의응답◇ 자동차 디지털 트윈은 완성, 공장 디지털 트윈은 구축 중- 디지털 트윈과 관련된 데이터를 다 모은 것 같은데 이 공장안에 디지털 트윈을 실행하는지."디지털 트윈을 목표로 하고 구축하고 있는 단계이고 완전히 끝나지는 않았지만 공장 설립이 완료되면 함께 완성될 것이다. 자동차에 대한 디지털 트윈은 다 완성되어 있지만 공장의 디지털 트윈은 아직 구축중이다."- 차종별로 공장을 별도로 설립한 이유가 스마트공장이 혼용생산이 어렵기 때문인지."지금은 혼용생산을 계획하고 있지 않다. 현재 생산은 29개 가량의 단계로 구성되는데 혼용생산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굳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모델 하나만 해도 컬러, 스펙 등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모델을 한 공장에 넣을 필요가 없다. 물론 신규모델이 개발되면 한 공장에서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곳 공장에서 몇 대를 생산하는지."두 달마다 프로토타입을 생산하고 점검하고 피드백한다. 상용화는 2019년 3월에 이루어질 전망이고 현재 직원 수는 80명이다."- 프로토타입 한 대 만드는데 두 달이 걸리는 것인지."아직까지는 계속 개선해나가는 과정이며 정상적으로 공장이 가동되면 차량 한 대 만드는데 17시간이 걸릴 것이다."- 배터리를 교체한다고 하는데 배터리의 종류는."리튬이온배터리이고 전체를 꺼내어 교체하는 방식이다."◇ 경제성이 있을 때 자동화 도입 예정- 완전 자동화되는데 얼마나 걸릴 것이라고 보는가? 유연생산체제를 갖추면 더 이상 고용을 안할 것인지."현 상황에서 자동화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 매 단계마다 두 사람이 일하게 될 것이다. 전 자동화는 로봇의 가격과 생산대수를 고려하여 경제성이 있을 때 도입을 결정할 것이다."□ 참가자 코멘트○ 아헨공과대학의 귄터교수의 주도로 설립된 학교 기반의 전기 자동차 스타트업 기업으로 프레임 및 샤시 이외에 부분을 ABS로 개발하여 가격 절감을 추진했다.○ 세컨드 카 및 도심의 Sharing 카 개념을 기반으로 개발된 클리셰 시장 타겟형 제품을 개발하였고 Life와 Move 등 승용 및 버스 제품도 개발했다.○ 2019년부터 기존의 공장을 인수하여 양산을 추진했는데 무인화의 경우 경제성이 맞지 않아 3,000여명의 자동차 조립 라인 인력과 기술 인력 고용 계획을 가지고 있다. 결국 기업의 성장이 고용 창출 효과 창출로 이어진다.○ 기획, 설계, 생산, 판매, 운행 정보, 및 사후 서비스 등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블록체인과 결합하여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공장 최고 정점의 고도화 수준의 공장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술 보유가 가능한 기업이다.○ 대학의 연구결과물이 사업화된 케이스로 수직적인 사고를 가진 기업에서는 도저히 시행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제품화하여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인 부분이다.○ 대학의 연구자들의 아이디어들이 제품에 잘 반영되어 실제 사업화에 성공한다면 대학뿐 아니라 지역(아헨시)과 국가에 엄청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특히 전기자동차를 하는 모바일 통신수단처럼 다양한 앱 사용,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e-Go 전기차의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수준 제고를 위해 자동차 관련 모든 정보를 실시간 수집(블록체인 기술 활용)하여 차량점검, 관리 등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은 매우 신선하게 느껴진다. 이는 제품의 상품가치 제고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2022-04-09필리핀 전기통신기업인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Inc)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 시장 진출을 위해 조인트벤처 파트너쉽을 체결했다. 파트너쉽을 체결한 기업은 글로브 텔레콤의 모회사인 아얄라 코퍼레이션(Ayala Corp)과 데이터 서비스 업체인 STT GDC(ST Telemedia Global Data Centres)이다. 데이터 센터 운영을 시작할 글로브 텔레콤의 자회사인 KarmanEdge Inc의 신규 주식을 아얄라와 STT GDC에서 매입한다.조인트벤처의 지분 보유율은 글로브가 50%로 가장 높으며 STT GDC는 40%, 아얄라는 10%를 각각 보유한다. 글로브는 향후 데이터 센터 운영 지역을 전국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Inc) 로고
-
필리핀 에너지 회사인 ACEN(AC Energy)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의 대규모 태양열 발전소 건설에 US$ 2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지분투자 형식으로 진행한다. 청정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하기 위함이다. 프로젝트 달성을 위해 ACEN은 독일 태양열 프로젝트 기업인 ib vogt와 협업해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조인트벤처의 플랫폼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프로젝트에 집중할 예정이다. 조인트벤처에 모든 지분 투자와 추가적인 투자도 진행할 방침이다. ACEN은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규모 5000메가와트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현재 확보한 재생에너지 규모는 3800메가와트 이상이다. ▲ACEN(AC Energy) 로고
-
2022-02-09인도 아다니코넥스(AdaniConnex Private Ltd)에 따르면 뭄바이(Mumbai)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자회사 MDCL(Mumbai Data Center Limited)을 설립했다.아다니코넥스는 복합기업인 아다니 그룹(Adani Group)의 조인트벤처(JV)이다. 자회사는 데이터 센터, 정보 기술, 클라우드 제공 기술의 개발과 운영, 유지, 계약 체결을 주도할 계획이다. 인프라시설 개발 관련 작업에도 참여할 방침이다. 아다니 그룹은 2021년 2월 데이터 센터 운영기업인 EdgeConneX와 파트너쉽을 체결했다. 향후 10년 내에 데이터 센터 수용량 1기가와트(GW) 개발을 목표로 정했다. 국내에 하이퍼 스케일의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에 집중할 방침이다. 국내 디지털 경제 규모는 2025년 US$ 1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다니코넥스(AdaniConnex Private Ltd) 로고
-
2022-01-26인도 국영 석유 및 가스 기업인 BPCL(Bharat Petroleum Corporation)에 따르면 19개 구역에 대한 GA(Geographical Areas) 6곳의 도시 가스 배분(CGD) 네트워크 입찰에 성공했다. 해당 입찰은 관공서인 PNGRB(Petroleum and Natural Gas Regulatory Board)의 주도로 진행됐다. 이번 입찰 라운드는 11번째였다. 이번 입찰 성공으로 BPCL의 도시 가스 배분 실적은 조인트벤처(JV)를 포함해 국내 18개주의 94개 구역에 대한 GA 48곳으로 확장하게 된다. 현재 63개 구역의 도시 가스 배분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조인트벤처와 함께 국내 도시 가스 배분 부문의 시장을 33% 점유하고 있다. ▲BPCL(Bharat Petroleum Corporation) 로고
-
2021-10-25인도 철강기업인 JSW스틸(JSW Steel)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3분기 순수익은 719억7000만루피로 집계됐다. 매출 향상으로 인해 2020 회계연도 동기간 대비 350% 급증했다.3분기 매출액은 3250.3억루피로 분기 매출액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3분기 순 판매액은 3190.9억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다.3분기 판매가능한 철강제품의 판매량은 383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확대됐다. 3분기 수출물량은 국내 수요를 차감하고도 22% 늘어났다.BPSL(Bhushan Power & Steel Ltd.)의 판매성과가 두드러졌더. 3분기 조인트벤처의 수익은 60.3억루피로 전분기 32.3억루피에 비해 86%,증가했다. ▲JSW스틸(JSW Steel) 로고
-
나이지리아 핀테크 스타트업인 오크라(Okra)에 따르면 미국 기반의 투자기업인 Susa Ventures 주도로 초기 단계에서 US$ 350만달러를 모금했다.이번 투자금은 국내 전역으로 데이터 인프라를 확장하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다른 투자업체들로는 TLcom Capital, Accenture Ventures 등이 있으며 일부 엔젤 투자자들도 있다. 나이지리아 은행인 UBA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순이자 이익은 N744억나이라로 전년 동기 654억나이라 대비 2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순이자 이익과 비이자 이익 둘 다 확대됐기 때문이다. 특히 수수료 이익이 23.8% 상승해 350억나이라를 기록했다. 이와 같은 수치는 전자금융 이익의 3분의 1이 넘는 것이다.나이지리아 이동통신사인 MTN에 따르면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및 오디오 검색 플랫폼 운영기업인 오디오맥(Audiomack)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이로서 MTN은 'Audiomack+MTN 데이터 번들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MTN 7600만명 이상의 가입자에게 음악을 무제한 스트리밍하고 오디오맥에서 콘텐츠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오디오맥(Audiomack) 홈페이지
-
2021-02-02싱가포르 항공사인 싱가포르 항공(SIA)에 따르면 인도 복합기업인 타타 그룹(Tata Group)과의 항공사 에어 인디아(Air India) 입찰 참여를 거절했다.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실적 악화와 더불어 일자리 삭감도 이뤄지고 있기에 대규모 투자를 꺼린 것으로 판단된다.해당사와 타타 그룹은 현재 항공사 비스트라(Vistara)와 조인트벤처(JV)를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 항공이 입찰을 포기함에 따라 타타 그룹의 에어 인디아 입찰은 유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싱가포르 항공(SIA)의 여객기(출처 : 홈페이지)
-
2019-04-16일본 최대의 엔지니어링회사인인 니폰코에이(Nippon Koei)에 따르면 영국의 배터리 스토리지 회사와 합작해 조인트벤처를 설립했다. 영국에서 2개의 50MW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를 건설하기 위한 목적이다.니폰코에이는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니폰코에이에너지유럽(Nippon Koei Energy Europe, 이하 NKEE) 자회사가 RNA 에너지와 제휴했다고 발표했다. 총 £2500만 파운드 이상인 2건의 특정 투자를 위해 2개의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기 위한 목적이다.조인트벤처의 지분을 NKEE가 80 %, RNA 에너지가 20% 각각 보유할 예정이다. NKEE는 2개 프로젝트의 개발 및 지속적인 상업적 수익과 관련해 EPC 서비스 자금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를 통해 니폰코에이는 유틸리티 규모의 배터리 스토리지시장에서 잠재적인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연합은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UK-NipponKoeiEnergyEurope-energystorage▲ 니폰코에이(Nippon Koei)에 의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관계(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싱크탱크 캘러한이노베이션(Callaghan Innovation)에 따르면 국내 대부분의 기업들은 4차산업혁명의 사업계획이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동남아시아나 중국 기업과 비교해도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도입은 뒤떨어져 있다.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기는 하지만 젊은이들도 마찬가지 상황이라는데 심각성이 있다.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나 로봇에 관해 이해하고 있는 기업이 매우 적다. 특히 인공지능(AI)도 향후 10년 이내에 농업, 낙농업, 헬스케어, 에너지산업 등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비가 부족하다.현재 로펌인 Minter Ellison Rudd Watts와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하는 기업인 Goat Ventures는 법률서비스에 인공지능을 도입하기 위해 $US 200만달러를 투입해 조인트벤처를 설립했다.▲캘러한이노베이션(Callaghan Innovation)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