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배기량"으로 검색하여,
3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4-06□ 캠핑인구 증가에 따라 캠핑용트레일러도 급증○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60만 명 가량 되던 국내 캠핑인구는 2018년 약 600만 명으로 늘어났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캠핑차량*도 2010년 882대에서 2018년 1만4,491대로 급증* 차명에 ‘캠핑’이라는 용어가 들어간 자동차 등록현황이며 튜닝 차량은 제외○ 캠핑차량은 캠핑용자동차와 캠핑용트레일러(카라반)로 나눌 수 있으며 트레일러는 견인차량 뒤에 붙여 끌고 다니는 형식이고 화장실, 샤워시설, 침대 등 각종 가구까지 구비되어 있어 일반 차량에 비해 덩치가 큼※ 트레일러 중량이 750kg 이하면 일반 운전면허로 이동이 가능하나 750kg을 넘어서면 소형 견인차 면허를 취득해야 함○ 현재 캠핑용트레일러는 캠핑용자동차와 함께 「자동차관리법」 상 승합차로 분류되어 보험료와 세금을 별도로 납부해야 함※ 지난 8.27. 「자동차관리법」 개정(’20.2.28 시행)으로 캠핑카와 캠핑트레일러는 승합차에서 제외될 예정이며 향후 특수자동차로 분류될 전망< 자동차 관리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1. "자동차"란 원동기에 의하여 육상에서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 또는 이에 견인되어 육상을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이하 "피견인자동차"라 한다)를 말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은 제외한다제3조(자동차의 종류) ① 자동차는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1. 승용자동차: 10인 이하를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2. 승합자동차: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동차는 승차인원에 관계없이 이를 승합자동차로 본다.가. 내부의 특수한 설비로 인하여 승차인원이 10인 이하로 된 자동차나.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형자동차로서 승차인원이 10인 이하인 전방조종자동차다. 캠핑용자동차 또는 캠핑용트레일러3. 화물자동차: 화물을 운송하기에 적합한 화물적재공간을 갖추고, 화물적재공간의 총적재화물의 무게가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이 승차공간에 모두 탑승했을 때의 승객의 무게보다 많은 자동차4. 특수자동차: 다른 자동차를 견인하거나 구난작업 또는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로서 승용자동차ㆍ승합자동차 또는 화물자동차가 아닌 자동차5. 이륜자동차: 총배기량 또는 정격출력의 크기와 관계없이 1인 또는 2인의 사람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이륜의 자동차 및 그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차□ 캠핑용트레일러 주차공간 부족으로 인한 민원 증가○ 캠핑용트레일러 소유주는 견인용 자동차와 트레일러 등 2개의 주차공간이 필요하지만 회전반경이 크고 일반적인 트레일러 크기가 기존 주차면이 소화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주차할 곳이 여의치 않은 상황○ 트레일러 특성상 장기 주차하는 경우가 많아 겨울철에 지하주차장이나 공영주차장을 차지하고 있으면 주민들 민원이 폭주하여 트레일러 소유주들은 후미진 곳이나 유휴지 등에 불법 주차를 하거나 별도의 요금을 내고 아파트 내 주차를 하고 있는 실정※ 대구지법 포항지원 제2민사부 판시 : “자체 동력장치가 없는 트레일러는 통행‧피난‧소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입주자대표회의가 주차장에 세울 수 없도록 정한 규약은 정당하다”○ 일각에서는 일부 아파트나 공영주차장의 경우 높이제한시설 등을 통해 캠핑용트레일러의 주차를 막고 있는 조치는 법적근거 없는 사용제한 행위로 기본권 침해 소지가 있다고 지적※ 경기 수원시의 한 무료 임시주차장에서는 구청이 2.5m 높이 차량 출입을 막는 높이제한시설을 설치했으나 캠핑카 대여사업자들이 출입구 주변 흙으로 된 지면을 깊게 파내어 트레일러를 주차하고 있는 상황○ 일부 자치단체는 캠핑용자동차 및 캠핑용트레일러 전용 주차공간 등을 마련< 주요 내용 >○ 인천 남동구올해 1월부터 소래 제3공영주차장을 캠핑카‧캠핑트레일러 전용 주차장으로 조성‧운영, 기존 주차구획 192면을 늘리고 넓혀 104면으로 변경○ 경기 부천시올해 5월부터 상동 아인스월드 노외공영주차장내 69면의 캠핑카‧캠핑트레일러 전용 주차장을 조성‧운영○ 경기 안산시일부 공영주차장 내 주차공간을 할당하여 캠핑카‧캠핑트레일러 주차면으로 운영○ 경기 용인시기흥구 영덕동주민센터 옆 유휴부지를 캠핑차량 주차가 가능한 임시주차장으로 운영□ 주민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캠핑차량 주차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 일부 시민은 많은 주차면적을 차지하는 캠핑차량을 화물차 주차장이나 별도의 전용주차장에 세워야 한다고 요구하는 반면 캠핑차량 소유주들은 관련 법령 미비로 인해 불가피하게 일반 주차장을 함께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천덕꾸러기 취급은 억울하다는 입장○ 전문가들은 공영주차장 설립 및 운영은 자치사무이지만 캠핑차량 증가로 인한 주차분쟁 문제가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만큼 국가 차원에서 제도 개선이나 정책적인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따라서 △국공유지를 활용한 별도의 캠핑차량 전용주차장 설치 △공영주차장의 일부를 캠핑차량 전용주차면으로 하되 영업용 대형차의 사용 제한을 위해 간단한 등록제를 시행 △캠핑차량에 대한 별도의 주차비 징수 △민간주차장업 허가 확대 △차고지 증명제 시행 등 가능한 대안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 서울(금천구, 1인 가구 고독사 예방 스마트플러그 서비스 실시)○ 서울 금천구가 1인 가구 고독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IoT 기술을 활용한 ‘1인 가구 고독사 예방 스마트플러그 서비스’를 10월부터 실시○ 區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65세 이상 홀몸 어르신 가구에 집중되던 IoT 고독사 예방 사업대상을 중장년 1인 가구까지 확대하여 40대 이상 고위험군 1인 가구 500세대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실시* ’16〜’18년 관내 고독사 현황을 보면 전체 48명 중 남자가 41명으로 여자(7명)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연령별로는 40〜60대(33명)에 집중된 경향이 있음○ ’18년 말 기준 총 복지대상자 2만7,800명 중 1인 가구는 1만5,794명으로 56%를 차지○ ‘스마트플러그’는 가정용 전자제품의 전력사용량과 조도센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洞 복지플래너에게 문자메시지가 발송되어 전화나 방문을 통해 안부를 확인할 수 있음○ 區 관계자는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공공 복지서비스를 통해 고독사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 인천(수도권매립지 주변 지역 주민에 대한 ‘가구별 현물지원’ 확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인천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주변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가구별 현물지원 사업’을 확대‧추진할 것이라고 10.11일 발표○ 기존 공동 지원사업은 주민복지센터, 마을회관 등 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짓거나 아파트 관리비, 개보수비 등을 지원하는 내용이었으나 주민이 공동사업보다 개인별로 현물 지원받는 것이 투명하다고 판단하여 가구별 현물지원해 줄 것을 공사에 요구※ 일부 주민은 공동지원사업이 統‧里 일부 주민들로 구성된 사업추진위원회에 의해 ‘깜깜이’로 추진된다는 민원을 제기하기도 함○ 제2매립장 주변 영향권 지역에 포함되는 535개 統‧里 가운데 기존 현물지원 사업을 하던 24개 統‧里 외에도 18곳을 추가하여 총 42개 統‧里 대상 가구별 현물지원 사업을 추진○ 공사는 18개 統‧里를 대상으로 이달 말까지 가구별 신청을 접수받아 현재 남아있는 지원 사업비 66억원을 현물지원할 방침으로, 주민들이 상점 등에서 원하는 물건을 사면 이를 결제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고, 지원금은 쓰레기매립지와 거주지 간 거리, 주민 수, 환경상 영향 정도 등을 따져 각 統‧里로 분배※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공동사업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같은 법 시행령 제27조에 지역 여건과 주민지원기금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가구별 현물지원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고 규정함□ 충북(청주 구룡공원 토지소유주, 공원이용객 대상 출입제한 동향)○ 내년 7월 도시공원 일몰제 대상이 되는 구룡공원의 토지소유주들이 10.10일 오전부터 공원 입‧출구 등 30곳에 철선과 현수막을 설치하고 시민들의 공원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 토지소유주들은 안내문을 통해 “도시공원 운영으로 35년간 재산권 행사가 제한되었다”며 “’20. 6.30일까지 공원 전체를 매입하거나 등산로 위주로라도 즉각 매입해 달라“고 요구하며 공원이 자연녹지로 해제될 때까지 등산로 폐쇄를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 지난 7월 민간개발을 반대하는 시민단체에서 도로 인접지 등 개발이 용이한 공원 구역을 우선 매입하고 나머지를 맹지로 만들어 낮은 보상가로 매입하자고 주장하면서 토지소유자들은 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등산로 폐쇄를 예고한바 있음○ 구룡공원(128만9000여㎡) 일부구역(1구역 1지구, 5만3000여㎡)은 도시공원 개발‧보전 민‧관 거버넌스의 결정에 따라 아파트 등 비공원 시설을 조성키로 하는 민간개발방안을 확정하고 민간사업자 측에 최종안을 전달한 상황○ 市 관계자는 “생태가치 등을 판단하여 민간개발 대상에서 제외되는 구역은 임차 후 점진적으로 매입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나 토지소유주들은 ‘즉각 보상’을 요구하며 임차안에 반대하는 상황”이라며 “거버넌스에서 폭넓은 협의를 지속하겠다”라는 입장□ 경남(통영시, 폐교된 소매물도 분교를 ‘철새학교’로 활용)○ 경남 통영시는 장기간 폐교로 방치된 통영 소매물도 분교를 철새 연구와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위한 ‘철새학교’로 운영하기 위해 지난 10. 2일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 통영 한산권에 속하는 소매물도는 한반도 남동해안의 철새 중간기착지며 연간 10만 명 이상이 찾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핵심 구간○ 소매물도 분교는 토지면적 3천 153㎡규모로 1961년 개교하여 1996년 폐교한 뒤 방치된 상태로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강의실 및 연구실 등 시설 리모델링을 한 후 ‘철새학교’로 조성할 계획○ △탐방객 대상 철새 연구체험‧해설 프로그램 진행 △소매물도 스토리 발굴 및 과거 학교 활동사진 수집을 통한 옛 소매물도 사진전 개최 △철새학교와 정상부를 잇는 탐방로 및 포토존 운영 등 다양한 생태체험을 오는 11월부터 시범적으로 추진할 방침○ 市 관계자는 “철새 체험프로그램과 생태탐방이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조류연구 분야의 대중화와 관광화를 통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더할 것”이라고 강조
-
▲ 일본 수소 연료 엔진차인 HySE-X1 이미지 [출처=도요타자동차 홈페이지]일본 기술연구조합인 수소소형모빌리티·엔진연구조합(HySE)에 따르면 개발한 수소 연료 엔진차인 'HySE-X1'를 '다카르 랠리 2004'에 투입할 계획이다.'다카르 랠리 2004'는 2024년 1월5일~19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된다. 특히 '미션 1000'은 자동차 제조업체에 수소 엔진, 전동 및 바이오연료와 하이브리드 등 차세대 파워 트레인 기술을 개발하도록 촉구한다.'미션 1000'은 타카르 퓨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4년에 처음 도입됐다. 다카르 랠리에 투입할 HySE-X1은 총배기량 998cc의 직렬 4기통 슈퍼차지드 엔진을 장착했다.수소 엔진은 소형 모빌리티에 도입된 사례가 적어 기술력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참여를 결정했다. 연구 성과를 쉽게 드러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자동차 경주에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HySE-X1은 벨기에 오버 드러이브 레이상사의 자체 프레임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수소 연료탱크나 연료공급계통을 설치하기 위해 일부 구조는 변경했다.2023년 10월25일~11퉐5일 도쿄 빅 사이트에서 개최되는 '재팬 모빌리티 쇼'에도 출품된다. 제원은 3530mm×2070mm×1700mm, 무게 약 1500kg, 엔진 종류/밸브 방식은 수냉 4스트로크 직렬 4기통 슈퍼 충전 엔진/DOHC4 밸브 등이다.
-
아랍에미리트 자동차제조회사 Zarooq Motors에 따르면 160만디르함 상당의 럭셔리 슈퍼카를 생산한다. 지난 18개월간 'SandRacer 500 GT'의 개발을 마치고 생산에 들어갈 준비가 완료됐다.이 자동차는 레이싱 트랙뿐만 아니라 도시의 도로 및 사막에서도 운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처음으로 생산된 자동차는 2017년 4분기부터 판매될 예정이다.목표로 잡고 있는 고객은 대부분 VIP 및 자동차 수집가 등이다. 이 차량은 525마력의 높은 출력, 6200cc의 높은 배기량, 8기통 엔진, 1200kg의 가벼운 중량 등 고사양 차량이다.▲SandRacer 500 GT 이미지(출처 : Zarooq Motors 홈페이지)
-
일본 야마하발동기(ヤマハ発動機)에 따르면 2017년 내에 인도네시아에서 오토바이에 탑재하는 대형 엔진의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대형엔진을 동남아시아에서 생산하는 것은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 엔진을 프랑스, 말레이시아로 수출할 예정이다.당사는 자회사 야마하 인도네시아 모터 매뉴팩처링(YIMM)에 엔진의 제조라인을 신설하고 배기량 700cc 클래스 2기통 엔진을 생산해 인기 모델인 'MT'와 ‘XSR' 시리즈에 탑재할 계획이다.▲MT시리즈 이미지(출처 : 야마하발동기)
-
2017-04-21▲ 일본 야마하(YAMAHA)가 제조한 오토바이 [출처=홈페이지]일본 오토바이 제조업체 야마하 인도네시아법인(YIMM)에 따르면 2017년 오토바이 수출량 목표치를 20만대로 정했다. 참고로 수출량은 완제품(CBU) 기준이다.지난 2016년 연간 오토바이 수출량은 16만7266대로 집계됐다. 아세안(Asean) 국가 위주로 수출마케팅을 전개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배기량(cc), 가격 등 기준에 따라 제조방식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일부 국가에는 야마하 브랜드의 오토바이 부품도 수출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야마하 엔진만을 원하는 기업도 많기 때문에 굳이 완제품으로 시장에 진입할 필요가 없다.참고로 야마하는 1955년 7월 1일에 설립된 일본 기업이다. 본사는 일본 시즈오카에 소재하고 있으며 직원수는 2014년 기준 5만2664명이다. 오토바이뿐만 아니라 선박, 항공기, 트랙터 등도 생산하고 있다.
-
2017-03-17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2020년까지 저연료화 대책의 일환으로써 3기통 가솔린 엔진을 투입할 계획이다.새로운 엔진의 배기량은 1500cc로 ‘TNGA'을 기반으로 개발한 것이다. 소형차에 탑재한 동일한 종류의 직렬 4기통 엔진의 후속기종이다.당사는 기통수를 줄여 저연비화를 실현하고 출력과 연비성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엔진을 소형차에도 탑재해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도요타자동차 로고
-
일본 야마하발동기(ヤマハ発動機)에 따르면 2017년 2월 아프리카지역에 배기량 110cc의 소형 오토바이 ‘CRUX Rev'를 발매할 예정이다.해당 모델은 아프리카지역을 대상으로 개발한 최초 기종으로 올해 4월부터 출시한다. 향후 중미, 카리브제도에 순차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CRUX Rev'는 차세대 저연비 엔진을 탑재해 연비를 기존 대비 약 18% 향상시켰다. 또한 2인이 탑승해도 편안하며 넓은 발판 부품을 사용해 짐을 넣을 수 있도록 실용성을 높였다.참고로 아프리카, 중미, 카리브제도의 오토바이시장은 2016년 약 360만대를 기록했다. 이중 약 절반은 배기량 100~150cc의 오토바이택시로 활용되고 있다.▲CRUX Rev 이미지(출처 : 야마하발동기)
-
일본 오토바이회사 가와사키(Kawasaki)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중대형 오토바이 'Z650'과 'Z900' 모델을 출시했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대형 오토바이 시장에서 취미로 오토바이를 구매하는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판매에 주력한다.새로운 모델인 Z650은 649cc의 배기량의 수냉식 병렬 2기통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가격은 2억1800만동이다. 같은 시리즈인 Z900은 948cc의 수냉식 병렬 4기통 엔진을 탑재했으며 가격은 2억8800만동이다.판매목표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 모델은 태국에서 생산되고 있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관세인하 혜택을 받아 가격 경쟁력으로 어필할 계획이다.▲가와사키(Kawasaki)의 베트남 홈페이지
-
일본 닛산자동차 중국법인 닛산차이나에 따르면 2016년 중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135만4600대로 전년 대비 8.4% 증가해 과거 최고치를 기록 했다. 상용차, 수입차, 현지합작 동풍닛산차량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감세 대상 차량 닛산 실피(Sylphy)의 판매량이 증가했으며 SUV 캐시카이(QASHQAI), 엑스트레일(X-Trail)의 판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다.또한 2016년 판매 목표량 2015년 대비 4% 증가한 130만대를 초과 달성했다. 중국정부가 2015년 10월 부터 배기량 1.6리터 이하 소형차에 대한 감세정책 영향으로 판매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China_Nissan China_Homepage 2.▲닛산차이나(日产中国, Nissan China) 홈페이지
-
필리핀 이륜차개발계획참여회사협회(MDPPA)에 따르면 2016년 연간 신차판매량은 114만338대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MDPPA는 일본계 4개사와 대만계 1개사가 참여한 협회다.업체별 시장점유율은 일본계 ▲혼다 43% ▲야마하 26% ▲가와사키 17% ▲스즈키 13% 등을 기록했다. 대만계는 킴코가 1%였다.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혼다의 판매량은 48만5015대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이어서 야마하는 30만472대로 59% 증가했으며 모든 회원사가 2자리수의 성장율을 기록했다.2016년 12월 1개월간 판매량은 9만1486대로 전년 동월 대비 19% 증가했다. 18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를 달성했다.배기량별 판매량은 51~125cc가 7만5950대로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126~250cc는 1만5386대, 251cc이상은 150대였다. 필리핀 소비자들은 실용성을 보다 중요시 하는 것으로 보인다.▲필리핀 이륜차개발계획참여회사협회(MDPPA)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