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18
" invest"으로 검색하여,
17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오스트레일리아 CPE 캐피탈(CPE Capital)에 따르면 BCSF를 미국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 Infrastructure Partners)에 $US 5억달러에 매각하기로 했다.BCSF(Bluebridge Cook Strait Ferries)는 29년의 역사를 가진 여객선 페리 및 화물 기업이다. 2017년 CPE 캐피탈이 BCSF의 모기업 Strait Shipping과 뉴질랜드 Jim Barker의 Freight Lines를 인수했다.같은 해 StraitNZ를 설립하기 위해 화물 운송회사 Streamline을 인수했다. 또한 투자은행 맥쿼리(Macquarie)는 2018년 중반 StraitNZ의 지분 25%를 인수했으나 이번에 모건 스탠리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StraitNZ는 매출액 1억7500만달러, 이익 450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2대의 페리와 150대의 차량, 5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CPE 캐피탈(CPE Capital) 홈페이지
-
미국 스페이셜(Spatial)에 따르면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협업에서 NFT 미술 전시회와 메타버스(Metaverse) 이벤트로 전환하면서 $US 2500만달러의 자금을 모금했다.투자 자금은 NFT 제작자와 커뮤니티 및 수집가를 연결하는 3D 허브가 되겠다는 회사의 비전을 가속화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 스페이셜은 창작자를 위한 최초의 개방형 및 무료형 메타버스를 구축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다.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 iNovia, Whitestar, Lerer Hippeau뿐만 아니라 Pine Venture Partners, Maven Growth Partners, Korea Investment Partners, KB Investment, Mirae, Balaji Srinvasan 등이 참여했다.지금까지 투자받은 금액은 총 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스페이셜은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를 위한 메타버스 구축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한 후 2달만에 사용자가 4배로 증가했다.스페이셜은 2016년 3D 협업을 쉽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설립됐다. 사용자들은 협업을 위해 3D 온라인 공간에 참여하며 애니메이션 캐릭터 도구를 활용해 아바타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스페이셜(Spatial) 홈페이지
-
2021-12-03미국 블록체인 투자기업 블록체인 코인베스터(Blockchain Coinvestors)에 따르면 2022년 블록체인에 대한 예측을 발표했다. 2022년 예측 10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미국, 유럽, 영국에서 파일럿(pilots) 발표 ▲은행 생태계 플레이어들이 암호화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하이브리드형 전자지갑의 트렌드 가속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글로벌 투자활동 가속화▲NFT가 사업의 핵심으로 성장하게 된다.▲10개 이상의 유니콘 블록체인 기업 탄생 ▲100개 이상의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10억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10개 이상의 블록체인 기업 상장 ▲가장 높은 수익은 초기 단계에서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블록체인 코인베스터가 2020년 발표한 2021년 예측 중 2개 외에는 모두 적중했다는 사실들에 유념해 2022년 블록체인 투자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 블록체인 코인베스터(Blockchain Coinvestors) 홈페이지
-
영화관 대기업 소니 픽처스(Sony Pictures)에 따르면 12월 영화 티켓을 주문하는 AMC Stubs Premiere, AMC Stubs A-List and AMC Investor Connect 회원들에게 8만6000개의 NFT 토큰을 제공할 계획이다.대상 영화는 12월 16일 상영하는 스파이더맨(Spider-Man: No Way Home)이다. 영화 티켓은 11월 29일 판매를 시작하며 NFT 자격이 있는 고객은 12월 22일 교환 관련 이메일을 받게 된다.100개 이상의 NFT 디자인을 사용할 예정이며 토큰은 2022년 3월 1일까지 교환해야 된다. 최근 들어 암호화 수집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구매자들이 차세대 디지털 물결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다.소비자와의 연결과 잠재적인 매출 확대를 위해 새로운 방법으로 NFT가 각광을 받으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NFT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소니 픽처스(Sony Pictures) 홈페이지
-
영국 시장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에 따르면 2025년 블록체인 기술 시장 규모가 $US 62억5000만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2020년~2025년 연평균 성장율은 32%로 예상된다. 2021년 평균 성장율은 2020년 대비 약 19.0%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특히 북미 지역은 블록체인 기술의 최대 시장으로 향후 시장의 약 43% 선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록체인 기술 주요 핵심국가는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독일 등으로 조사됐다.블록체인 기술 관련 주요 기업들은 Accenture Plc, Amazon.com Inc., Huawei Investment & Holding Co. Ltd., Infosys Ltd., Intel Corp.,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icrosoft Corp., Oracle Corp., SAP SE,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등이다.▲ 테크나비오(technavio) 홈페이지
-
인도 금융기관인 PNB 하우징 파이낸스(PNB Housing Finance Ltd)에 따르면 투자자로부터 Rs 400억루피 규모의 투자협상을 종료했다. 관련 투자계약은 Carlyle Group이 주도했으며 관계사인 Pluto Investments, General Atlantic, Salisbury Investments Private Ltd, Alpha Investments도 참여했다. 투자금은 우선주를 1주당 390루피에 인수하는 조건으로 종료됐다. 해당 투자를 주도한 Aditya Puri는 인도 은행에서 가장 오랫동안 CEO를 지낸 인물로 2020년 11월 Carlyle Group에 입사했다.이번 투자 성사로 Aditya Puri는 Carlyle Group의 이사회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PNB 하우징 파이낸스의 최대 주주인 펀잡 내셔널 은행은 투자 유치를 반대했다. ▲PNB 하우징 파이낸스(PNB Housing Finance Ltd) 로고민서연 기자
-
2021-10-12인도 온라인 육류배달업체인 리셔스(Licious)에 따르면 2021년 10월 5일 US$ 52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기업가치는 10억달러로 평가받았다.이로써 리셔스는 2021년 인도에서 29번째 유니콘으로 등극했다. 인도의 급성장하고 있는 D2C(direct-to-consumer) 시장에서 첫 번째 유니콘이 되었다.현재 D2C는 농장과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면서 중간 상인이나 냉동창고가 필요없는 사업 모델이다. 육류뿐만 아니라 해산물, 농산물까지 포함한다면 인도에서만 400억달러 시장 규모로 커졌다.2021년 초 기준 리셔스는 블루칼라 노동자를 포함해 1000명의 직원으로 고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 14개 도시에서 영업하고 있으며 2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했다.2021년 7월 시리즈 F 펀딩에서 1억9200만달러를 확보했다.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 멀티플스 등이 투자를 주도했다.기존 투자자들은 3one4 Capital, Bertelsmann India Investments, Vertex Growth Fund, Vertex Ventures Southeast Asia and India 등이다.▲리셔스(Licious) 로고
-
2021-09-14나이지리아 인프라크레딧(InfraCredit)에 따르면 보험사인 리드웨이(Leadway Assurance)가 첫 번째 자사의 민간투자자가 되면서 자사 지분액이 N753억나이라(US$1억8300만달러) 증가했다. 현재 신용평가기관이 허용하는 최대 자본 레버리지 비율을 기준으로 인프라크레딧은 최대 3764억나이라(9억1500만달러)의 총 보증 발행능력을 갖게 됐다.국내 최대 보험사인 리드웨이는 투자 측면에서 인프라크레딧이 민간 자본의 동원을 통해 국내에서 상당한 인프라 격차를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양사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국내 인프라 금융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민간 자본에 대한 활용에 집중할 계획이다. 인프라크레딧은 지역 통화 보증 제공 등의 인프라 신용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기업이다. 나이지리아 국부펀드를 관리하는 투자청인 Nigerian Sovereign Investment Authority와 보증회사인 GuarantCo 등에 의해 설립됐다. ▲인프라크레딧(InfraCredit) 홈페이지
-
2021-08-31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업 XREX에 따르면 pre-Series A에서 US$ 17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주관사는 CDIB Capital Group으로 SBI Investment, Global Founders Capital, ThreeD Capital, E.Sun Venture Capital, Systex Corporation, MetaPlanet Holdings, AppWorks, BlackMarble, New Economy Ventures, Seraph Group 등이 참여했다.투자금액 중 일부는 싱가포르, 홍콩, 사우스아프리카, 은행 파트너, 금융기관 등의 지불 결제(PG)와 같은 금융 라이센스 신청에 사용될 예정이다. XREX는 지난 2019년 시드라운드(seed round)에서 7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업 XREX는 신흥시장국경 간 비지니스를 돕기 위해 지불 에스크로 서비스 및 암호화폐-법정화폐 간 교환 플랫폼 등을 갖춘 가장 빠른 거래 플랫폼을 출시했다.▲ XREX 홈페이지
-
미국 머신러닝 솔루션 업체인 페로 랩스(Fero Labs)에 따르면 설명가능 머신 러닝(Explainable Machine Learning)을 제조업에 도입하기 위해 US$ 9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노베이션 인데버스(Innovation Endeavors)가 주도하고 더치 인베스트 벤쳐캐피탈(Deutsche Invest VC)이 이번 시리즈에 참여했다. 에너지, 제조, 중공업, 인프라 및 운송 부문을 포함한 산업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 및 머신 러닝의 채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특히 제조 및 유틸리티 부문의 리더 중 절반 이상에서 인공지능이 향후 5년 동안 고부가가치 자산을 제어할 것으로 예측한다. 포괄적인 설명이 가능한 머신 러닝 소프트웨어는 공장 운영자에게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여 탐색 중인 모든 문제의 근본 원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페로 랩스의 소프트웨어는 헨켈(Henkel), 볼보트럭(Volvo Trucks), 게르다우(Gerdau), 코베스트로(Covestro) 등의 고객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고객들은 평균 10%의 수익성 증가와 배출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장점 덕분에 페로 랩스의 소프트웨어는 소비재, 자동차, 철강 및 화학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 더욱 더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페로 랩스(Fero Lab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