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monitoring"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핀란드여성협회연합(Nytkis) Bulevardi 11 A 100120 Helsinki, Finlandwww.nytkis.org 방문연수핀란드 헬싱키 □ 연수내용◇ 핀란드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한 지원 수행○ 핀란드여성협회연합(Nytkis)는 여성의 사회 진출을 독려하고, 여성 관점에서 정치적 의사 결정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1988년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주로 남녀평등의 실현과 여성 차별 철폐,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협회에는 현재 11개 기관, 8개 정당, 3개 NGO가 회원으로 가입했으며, 총 회원 수는 약 47만 명이다. 이 협회는 핀란드 교육·문화부(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로부터 기금을 지원받고 있다.자체 규정에 따라 위원장은 회원 간 순환으로 선출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의장은 핀란드 사회민주당 오울루(Oulu) 시의원인 Tytti Tuppurainen이 역임하고 있다.○ 회원기관은 △핀란드 젠더연구 협회(The Association for Gender Studies in Finland) △유니오니 페미니스트 협회(The Feminist Association Unioni) △핀란드여성협회의(The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Finland) △핀란드 중앙당 여성조직(The Women’s Organisation of the Centre Party) 등 다양하다.▲ 핀란드여성협회연합의 회원기관 리스트[출처=브레인파크]◇ 1901년부터 여성 권리 회복 위해 노력○ 핀란드 여성은 1901년부터 여성으로써 권리를 조금씩 찾아나갔다. 1901년 남성과 동등하게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했으며, 1906년에는 유럽에서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확보하며 남성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 핀란드 최초 여성 대통령 타르야 할로넨[출처=브레인파크]○ 또한 1937년에 육아수당 지급에 대한 법이 통과되었으며, 1962년 성차별 없이 노동시장에서 동일한 임금을 주는 법이 통과되었다.1978년에는 아빠를 위한 육아휴직제도(12일)를 도입했으며, 1986년 핀란드가 여성차별철폐협약에 서명하면서 1987년에 남녀평등법이 통과되었다.◇ 2000년 핀란드 최초 여성대통령 탄생○ 핀란드는 1906년 여성의 참정권이 보장되면서 여성의 정치적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1995년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고위직에 여성을 40% 임명하는 할당제가 도입되었다.핀란드의 여성권익 향상에 이정표가 된 것은 1996년 에바 리또 씨또넨(Eva-Riitta Siitonen) 여성시장의 선출과 2000년 타르야 할로넨(Tarja Halonen) 여성 대통령의 선출 사건이다.○ 타르야 할로넨 대통령은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2000년 12대 대통령에 최초 당선된 이후 2006년 13대 대통령으로 재선에 성공함으로써 12년간 대통령을 역임한 유럽 최초의 여성 재임 대통령이 되었다. 또한 소수의 권익 증진과 동성애자들의 성행위 금지법을 폐지하기도 했다.◇ 연합의 대표적인 협력기관『유니오니』○ 이 협회의 대표적인 회원은 유니오니 페미니스트 협회(The Feminist Association Unioni)이다. 유니오니는 1892년 설립되었으며, 여성의 인권향상과 여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을 목표로 창립되었다.현재 약 20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핀란드의 대표적인 페미니스트 및 반 인종차별주의 단체로서 정치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유니오니 로고[출처=브레인파크]○ 주요 활동으로는 △강연 △유아 대상 평등교육 △여성 대상 무료 법률사무소 운영 △페미니즘 연구자 및 예술가 지원 등 다양하다.특히 여성을 위한 무료 법률사무소에서는 이혼을 포함하여 여성이 겪을 수 있는 광범위한 분야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7~2018년 사이에는 핀란드의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등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핀란드 교육·문화부에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페미니스트 협회연합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이다.○ 이 프로젝트가 실시되기 위해 2014~2016년 사이 작성된 논문으로는 △Åker-Harju, Sara(2016) : 동등한 유아 케어 △Alasaari, Nea & Katainen, Reija(2016) : 유아교육의 양성평등 촉진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여성을 위한 보호소 추가 설립 필요○ 핀란드에 여성을 위한 보호소를 설립하기 위한 활동에는 유니오니 페미니스트협회의 영향력이 컸다. 1980년에 첫 보호소를 설립했으며, 현재는 핀란드 정부가 기금을 제공하고 있다.○ 핀란드에는 20여 개의 보호소가 있는데, EU 규정을 지키기 위해서는 보호소 수를 5배 이상 늘려야 하는 상황이라 이 부분에 대해서는 꾸준히 논의 중인 부분이라고 한다.◇ 정기적으로 여성 폭력 예방 캠페인 수행○ 현재 핀란드는 다른 북유럽 국가에 비해서 가정폭력이나 성폭력 지수가 높은 편이다. 그 이유는 사회적으로 문제를 외부에 알리지 않는 분위기가 오래 동안 이어져왔다. 특히 가정폭력이 피해자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했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여성 폭력 예방 캠페인[출처=브레인파크]○ 핀란드여성협회연합은 이러한 폭력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매년 캠페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017년 11월 25일에는 ‘폭력이 아닌 빛'이라는 주제로 핀란드 원로광장에서 캠페인을 진행했다.핀란드에서는 매년 20명의 여성이 가정폭력으로 사망한다. 이런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여 여성폭력을 근절하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가정폭력 뿐만 아니라 인신매매, 성희롱, 성매매 등 다양한 문제를 포함하여 다루고 있다. 2014년에는 ‘여성폭력 예방’, 2015년에는 ‘정신적 폭력 예방’, 2017년에는 ‘아동보호’ 관련 캠페인을 수행했다.◇ 협력을 통한 다양한 활동 수행○ 핀란드여성협회연합은 유니오니 페미니스트협회뿐만 아니라, 핀란드의회여성네트워크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여성의 날(Women’s day) △폭력근절의 날 △동일임금의 날(Equal Pay day) 등 공공이벤트를 주최할 때 관련 기관과 협력한다.○ 그 외 △의회,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한 로비 활동 △NGO와의 협력 △청문회 참석을 위한 성명서 및 제안서 초안 작성 △15개 Nykis 지역위원회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국제 활동으로는 △유엔세계여성회의(Women 's Status and Monitoring Meetings) 참여 △북유럽 페미니스트 노르딕 네트워크(Nordic Feminist Nordic Network) 회원 활동 △유럽 조직 Brussel‘s Call의 네트워킹 기관 활동 등이 있다.□ 질의응답◇ 여성만이 아니 양성을 위한 활동 수행- 정당이나 의회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여성의 권리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NGO가 핀란드에 있는지."핀란드의 기구들은 대부분 여성만이 아닌 양성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여성만을 위해 활동하는 기구는 없다."- 핀란드 성평등협의회가 평등옴부즈맨 기구와 수행하는 연계활동은."핀란드여성협회연합 사무국은 2명이 일하는 작은 조직이라 다른 기관과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다른 정당 여성단체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세미나와 이벤트를 함께 주최하기도 한다.특정 기구에 주력하여 협력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젝트마다 협력기구가 다르다. 예를 들어 동일임금에 대해서는 노조와 협력하고, 정치에서는 성평등협의회와 논의를 많이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성평등을 추구하는데 진보․보수 성향에 따라 조직이 나누어지기도 한다. 여성협회연합의 회원은 성평등에 대한 가치, 생각, 관념이 같은 기관만 가입할 수 있는지."성평등 가치나 관념에 상관없이 회원이 될 수 있다. 각기 추구하는 생각이 다르고 방법은 다르지만 토론도 많이 하고 그 중 합의가 된 안건에 대해서 공동 추진하는 편이다."◇ 설문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폭력 문제 조사 실시- 여성폭력 수치가 높은 원인은 무엇인가? 문제해결을 위한 여성단체의 활동은."여성폭력 수치가 높은 이유 중 하나는 핀란드가 속국으로 살면서 많은 전쟁을 겪어왔다는 영향이 있다. 또한 폭력이 오랫동안 침묵되어 왔고 지금은 이러한 문제를 오픈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설문조사에서 핀란드 여성들은 폭력에 대한 개념을 잘 알고 폭력에 대한 경험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부끄러워하거나 의식하지 않는 편이라며 응답률도 자연스럽게 높게 나온 것 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국가에서는 여성들이 폭력 경험의 응답에 대해서 소심하게 행동하는 부분이 있다."- 가정폭력이나 성폭력 피해자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지원을 하고 있는지."예를 들어, 헬싱키 대학병원에는 위기센터가 있다. 성폭력, 가정폭력, 강간 피해자에게 도움을 주고 정신적․신체적 상담과 치료를 제공한다.위기센터는 2017년에 설립되었는데 그 전부터 센터의 필요성을 정부에 강조해왔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센터 설립에 중요한 계기는 작년의 이스탄불 협약의 역할이 컸다. 또한 핫라인(도움을 청하는)도 있으며 인터넷 메신저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도 Me too 운동이 뜨거운데, 핀란드는 어떤가? 이와 관련하여 협회에서 하고 있는 활동은."핀란드에서도 큰 이슈인데, Me too 운동에 대한 법적 조치가 아직 마련되지는 않았다. 최근 일어난 부분이기 때문이다. 현재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등 일부 기관에서 Me too 운동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또한 성폭력 연구 활동을 하는 기관에서도 Me too 운동과 관련하여 새로운 통계조사를 발표할 예정이며 청소년 대상 성폭력 교육을 확대고자 한다."
-
나이지리아 정부 산하 나이지리아 콘텐츠 개발 및 모니터링 위원회인 NCDMB에 따르면 US$ 37억달러의 프로젝트를 유치하기 위해 3억3200만달러를 투자했다. NCDMB의 상업 벤처 기업 협력 프로그램에 따라 석유와 가스 사업 기회를 실현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NCDMB의 자금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번 투자가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평가한다.연간 총 처리 용량120만 실린더의 복합 LPG 실린더 제품 제조 공장을 준공하고 위탁할 계획이다. 또한 가스 처리, LPG 보틀링, 베이스 오일 생산 등 3개의 가스 관련 사업을 추가로 위탁할 방침이다.최소 1개의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상업화할 계획이다. 특히 수중 용접의 기술 격차 및 기타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정부 또한 2021년~2030년 기간을 가스 사업 발전 10년으로 선언한 것은 국내 가스 매장량을 수익화할 수 있는 사업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려는 것이다. ▲NCDMB(Nigerian Content Development and Monitoring Board) 홈페이지
-
2021-05-28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등 10개 업체를 소개했다.다음으로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에 이어 소개하려는 기업은 BSTARCOM(이하 비스타컴)이다.비스타컴은 무선통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지난 2012년에 설립했다. 주요 제품에는 Anti-Drone, 증강현실(AR), 열화상 체온 감시 시스템(IR Camera), SI 솔루션 등이 있다.안티드론에는 Spoofing System, 돔타입 지역 방어시스템, Anti Drone Total Solution 등이다. Spoofing System은 유도 및 포획 시스템으로 탐지장비 Radar, 무력화장비(유도) Spoofing Controller 및 Antenna, 무력화장비(포획) RF 재머 등으로 구성돼 있다.♦ Spoofing System(출처 : 홈페이지)주로 GPS와 GLONASS 위성 신호를 받아 위성항법 비행 무인기 및 드론의 위도·경도·고도 등 3차원 위치, 속도 파악, 추적을 통해 탐지된 드론을 보호지역 밖으로 유도 착륙시키는 시스템이다.돔타입 지역 방어시스템은 드론돔, RF 스캐너, EOIR Camera로 구성돼 있다. 드론의 위성항법을 기만해 보호지역 밖으로 드론을 추방하는 최첨단 드론 방어 시스템이다.♦ 드론돔 개념도(출처 : 홈페이지)또한 Anti Drone Total Solution은 국가 주요시설 드론 침투 방어에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탐지 및 식별을 통해 1차 방어선에서 유도 및 포획을 하고 최종방어선에서는 추방하는 형태이다.♦ Anti Drone Total Solution(출처 : 홈페이지)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관련 AR 이용 스마트한 장비운용(AR Tutorial), 증강현실 이용 모니터링 시스템(AR Monitoring System) 구현, IoT기술·AR기술·제어기술의 융합을 통한 첨단 스마트 팩토리를 완성하는 기술이다. SI 솔루션 분야는 제어(Control), 계측(Measurement), 자동화(Automation), IT융합(IT Convergence)과 관련된 모든 솔루션, 각종 프로토콜의 분석 및 개발을 하고 있다.자동화 통합 솔루션, 측정 Istrument의 IT 융합,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반 기술, 신뢰성 시험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최단기일 납품 서비스, 유지보수 및 컨설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비스타컴은 통신시장 전문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의 만족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끊임 없는 기술개발과 제품개발에 매진할 계획이다.
-
2021-05-26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에 이어 소개하려는 기업은 이노뎁(주)(이하, 이노뎁)이다.이노뎁은 국내 최초 VMS(Video Management Solution) 전문기업으로 Total Security Platfrom을 개발하고 있는 IT 기업이다. 지난 2008년 1월 설립해 클라우드, 스마트시티, 영상관제, 지능형영상분석, 주차관제, 출입통제 등 다양한 사업 분야로 확장했다.보유 기술은 VMS와 TMS/DMS(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뷰릭스(VURIX) VMS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통합영상관제 솔루션이다.♦ 통합영상관제 솔루션 개념도(출처 : 홍보자료)무한대의 카메라 확장성, 체계화된 API를 통해 수백종의 이기종 카메라, 타사 소프트웨어와의 연동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사업 확장이 용이한 오픈 플랫폼이다.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클라우드와 On-premise의 하이브리드 형식 플랫폼으로 실시간 의사결정과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플랫폼이다.주요 제품으로 빅데이터 기반 DMS(Data Management Solution), 클라우드 서비스(VSaas On Azyrem Anazon web servicem G-Cloud, Cloud Z), 통합관제플랫폼(API 기반 Open Platform) 등이 있다.또한 All-in-one Application(가상화 IP-Matrix, 1000ch NVR), 주차관리 시스템/도로방범 시스템/출입통제시스템, Smart AI Monitoring, 영상 압축 및 빅데이터 분석 도구 등도 포함된다.특히 이노뎁의 e-DaaS Platform은 5GX Drone Live 비행 관제 시스템, D-NVR(e-Daas NVR(Network Video Recorder)), D-VAS(d-DaaS VAS(Video Analytics System)) 등에 적용된다.♦ e-DaaS Platform 적용분야(출처 : 홍보자료)이노뎁은 국산 VMS 제공을 목표로 오픈 플랫폼 정책 도입 , 다양한 CCTV 제조회사, 솔루션 개발 업체와 협업하고 있다.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시티,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파킹 등 다양한 산업군에 디지털 시큐리티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
2021-01-10미국 적층가공업체인 시그마 랩스(Sigma Labs)에 따르면 디엠지 모리(DMG Mori)와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디엠지모리 고객에게 Lasertec SLM 기계에 대한 업계 최고의 품질 보증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이를 위해 양사는 통합 솔루션을 광범위하게 테스트했다. 디엠지 모리의 금속 3D 프린터 제품군을 활용하는 산업 제조업체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했다.프린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시스템이 Printer3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고객에게 통합된 최첨단 용융 풀 모니터링 솔루션(advanced melt pool monitoring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와 같이 양사는 통합을 계속 강화해 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3D 프린터의 산업활용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USA-SigmaLabs-3Dprint▲ 시그마 랩스(Sigma Lab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12-16나이지리아 정부 산하 기관인 콘텐츠 개발 및 감시위원회(NCDMB)에 따르면 국민들의 석유 및 가스 공급과 관련된 콘텐츠 참여는 2010년 5% 미만에서 2020년 32%로 증가했다.2027년까지 7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개인, 기업, 지역사회 등에서 국민들에게 참여 기회를 독려하면서 국내 주요 산업인 석유 및 가스 공급과 관련된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다.국가의 산유 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주들의 석유 및 가스 운영에 지역사회인들이 주최적으로 더 많이 참여하도록 독려해왔다. 상기 주로는 바엘사, 악와, 이봄, 리버스, 크로스 리버, 아비아, 이모, 에도, 델타 등이 있다.산업표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석유 및 가스 산업에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 공급망의 역량개발이 목표다.▲콘텐츠 개발 및 감시위원회(NCDMB) 홈페이지
-
영국 글로벌 전자부품제조업체인 티티일렉트로닉스(TT Electronics)에 따르면 신속한 IoT 개발을 위해 S-2CONNECT Pro 추적 및 모니터링 키트를 출시했다.이 키트는 온도, 조명, 습도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S-2CONNECT 허브, S-2CONNECT 센스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을 연결, 감지, 추적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포될 수 있다.자산 추적(asset tracking), 스마트 홈(smart home), 콜드 체인(cold chain) 및 광범위한 산업 IoT 시나리오 등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시킬 방침이다.키트에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제공된다. 데이터베이스, MQTT 브로커, 마이크로 서비스 및 펌웨어 호스팅이 포함될 수 있다.프로비저닝( provisioning), 장치 구성 및 모니터링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는 S-2CONNECT 포털에서 독점적으로 제공된다.이와 같이 개발된 키트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즉시 사용 가능한 접근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더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K-TTelectronics-IoT▲ 티티일렉트로닉스(TT Electronic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6-19중국과학원(中国科学院)에 따르면 드론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중계시스템을 통해 "세계의 지붕(roof of the world)" 지역에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을 달성했다.드론을 모바일 중계기로 사용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했다. 이 시스템은 환경 모니터링 및 데이터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드론 기반 릴레이 장비와 지상의 사물인터넷(IoT) 터미널로 구성된다.중국의 감숙성(甘粛省) 북서부에서 여러 실험 비행을 수행했으며, 시스템의 높은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드론을 이용한 사물인터넷(IoT) 중계시스템은 네트워크 결함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후 연구팀은 야생 동물 모니터링에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드론을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해 성공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China-ChineseScienceAcademy-IoT▲ 중국과학원(中国科学院)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5-15미국 고성능 반도체 및 알고리즘 공급업체인 셈텍(Semtech Corporation)에 따르면 비전미터링(Vision Metering, LLC)의 미터링 인프라(AMI) 기반 스마트 라인에 셈텍의 LoRa® 장치 및 LoRaWAN® 프로토콜이 통합됐다.비전미터링은 유틸리티 미터링(metering) 솔루션의 선도적 개발업체이다. 비전미터링의 LoRa 기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기존의 미터링 솔루션을 장거리 AMI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LoRaWAN 네트워크를 통해 시간별 또는 일별 데이터를 전송해 효율적인 유틸리티 관리 및 청구를 처리하기 위한 목적이다.또한 비전미터링은 최근 미주리주 마운틴뷰시를 위한 새로운 LoRa 기반 계량 프로젝트의 완료했다. $8200달러 미만의 인프라 비용으로 LoRaWAN 기반 게이트웨이를 설치하고 전기계량기를 개조했다.그 결과, 도시는 15분 간격으로 모든 미터에서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폐기물 감소로 상당한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이와 같이 셈텍과 비전미터링의 협력을 통해 공공 및 협동 유틸리티에 유연한 배치 옵션 및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해 효율성을 향상시킬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LoRa 디바이스와 LoRaWAN 프로토콜을 통해 지속가능 에너지 그리드를 구동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거리 데이터 기반 계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USA-VisionMetering-IoT▲ 비전미터링(Vision Metering, LLC)의 홍보자료(출처: 홈페이지)
-
영국 기술엔지니어링 컨설팅기업인 42테크놀로지(42 Technology)에 따르면 웨스턴파워디스트리뷰선과(Western Power Distribution: WPD)과 공동으로 사물인터넷(IoT)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현장 테스트를 완료했다.사물인터넷(IoT) 모니터링 시스템은 퓨즈오옴(FuseOhm)으로 저전압 전기 변전소내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모니터링 시스템이다.특히 퓨즈오옴은 DNO(Distribution Network Operators)에게 네트워크 내 모든 변전소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및 원격 진단을 위한 고유한 접근 방식을 제공하도록 특별히 설계됐다.6개월의 테스트 결과는 퓨즈오옴이 전압, 온도 및 위상각과 같은 변전소 내에서 중요한 매개 변수를 빠르고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증했다.42테크놀로지는 현재 퓨즈오옴을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기존의 장비 및 통신 제공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이번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42테크놀로지의 매출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K-42technology-IoT▲ 42테크놀로지(42 Technolog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