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fresh"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홍콩대학교(University of Hongkong) ◇ 방문개요구분내용일시/장소 활동내용▪홍콩대학교 학자금제도, 선발방법 등 안내▪사전질의 답변 및 질의응답면담자▪Kitty Wong(Director, Scholarships Office)▪Henrietta Chan(Senior Manager, Scholarships Office)▪Sylvia Wong(Director of Campus Life, CEDARS)방문기관 사진 ◇ 대학개요구분내용요약▪HKU라고 부르며 홍콩 최초의 대학으로, 2012년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3년제 대학에서 4년제 대학으로 학제가 개편되었음.설립유형/연도1911년 / 국립대학학생 수총 28,000명(학부생 16,000명, 대학원생 12,000명)대학평가▪30위 (‘15∼’16 영국대학평가 기관 QS가 발표한 순위)▪44위 (‘15∼’16 The Times가 발표한 순위)특징▪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연구를 선도하는 우수대학으로 이루어진 연맹체 ‘우니베르시타스 21(Universitas 21)’ 창립회원▪HKU 출신 유명인사로는 중국의 혁명가 쑨원, 기업가 스탠리 호 등이 있음.◇ 대학 일반현황○ (대학구성) 건축학, 교육학, 경영학, 치의학, 법학, 사회과학 등 10개의 학부 안에 다양한 학부·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함○ (학생현황) 총 28,000명 중 58%가 대학생, 42%가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국인 학생의 비율도 35% 수준○ (직원현황) 직원 3,800명, 교수 7,200명(외국인 교수 59%), 교수보조 3,400명으로 재정지원 보조를 담당하는 직원은 21명 수준◇ 장학처(Scholarships Office) 역할○ 수혜자와 기증자를 한번에 연결하는 원스톱 플랫폼 역할을 하며 대학의 다양한 부서와 연계하여 일함○ 장학금과 상(Prize) 수여를 위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과 규정을 제시하며 다양한 기록물을 보관○ 학생들에게 장학금과 상 제도에 대한 홍보◇ 재정지원 현황○ HKU는 상(Award)와 재정보조(Financial Aid) 형태로 학생들의 재정을 지원함○ (Award) 성적우수자에게 장학금(Scholarship)과 상(Prize)으로 제공되며 아카데믹상이사회(Academic awards board)에서 모든 사항을 관장함○ (Financial Aid)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도와주는 프로그램(Bursary, Loan, First in the Family Education Fund)으로 학생재정 위원회에서 관장하고 있음◇ 상(Award)○ (규모) 2015년 기준 US$1,670 소요됨. 320개 이상의 상(Prize)와 380개 이상의 장학금(Scholarship) 프로그램이 있음○ 매해 600명 이상이 상(Prize), 4,000명 이상이 장학금(Scholarship)을 수여받으며 이중 혜택 가능함○ (Prizes) 에세이나 프로젝트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학생들에게 수여○ (장학금) 학업성적, 학생재정상황, 봉사성적, 리더십 및 글로벌 비전 등의 항목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홍콩 국적의 학생들은 20%정도가 받고 있음. 다양한 장학금 프로그램이 있으므로 학생 상황에 맞는 장학금을 제공함▲ 신입생 대상 장학금(좌)와 재학생 대상 장학금(우)[출처=브레인파크]• (Enrichment Scholarship) 해외 교환학생, 인턴십, 해외자원봉사를 가는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장학금으로 최근 선호도가 높음◇ 재정지원(Financial Aid)○ (First in the Family Education Fund) 가족 구성원 중 최초로 대학입학자가 있을 때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비 외에 다른 분야 교육에 사용되어야 함◇ CEDARS(Centre of Development and Resources for Students)○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재정지원역할을 하는 부서로, 대부분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재정으로 도와주며 일부 학교의 재정으로 지원하기도 함○ 학교의 재정으로 도와주는 부분은 학생들의 생활비와 관련됨Government SchemesUniversity Financial Assistance▪Tertiary Student Finance Scheme–publicly funded programme(TSFS)▪Non-means tested loan* scheme (NLS)* Non-means tested loan : 서류평가 없이 대출가능▪Extended non-means tested loan scheme(ENLS)▪Main Exercise Application▪Emergency Assistance▪HKU Fresh HK$3000▪Accommodation/Hall Fee Loan▪Student Travel Loan▪Tuition Fee Loan▪Other Loan schemes▪External Funds▪First in the Family Education Fund• HKU fresh HK$3000 : CSSA*에 해당하는 자녀들에 대한 장학금* CSSA : 최저임금을 받는 가족□ 질의응답- 홍콩에는 몇 개의 대학이 있는지."총 17개있으며 정부 보조를 받는 곳은 11개이다."- 홍콩 내 대학진학률은."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학생들 취업을 지원하는 방법은."취업특강을 제공하거나 채용을 바로 알려주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립대학의 등록금은."사립대의 경우 국립대에 비하여 3배정도 비싸다. 그 이유는 정부의 재정지원 보조금이 적기 때문에 국립대에 비하여 비쌀 수밖에 없다."- 장학처 직원 규모와 워킹시간은."3명이 주 5일 9:00~18:00까지 일한다."
-
□ 홍콩대학교(University of Hongkong) ◇ 방문개요구분내용일시/장소 활동내용▪홍콩대학교 학자금제도, 선발방법 등 안내▪사전질의 답변 및 질의응답면담자▪Kitty Wong(Director, Scholarships Office)▪Henrietta Chan(Senior Manager, Scholarships Office)▪Sylvia Wong(Director of Campus Life, CEDARS)방문기관 사진 ◇ 대학개요구분내용요약▪HKU라고 부르며 홍콩 최초의 대학으로, 2012년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3년제 대학에서 4년제 대학으로 학제가 개편되었음.설립유형/연도1911년 / 국립대학학생 수총 28,000명(학부생 16,000명, 대학원생 12,000명)대학평가▪30위 (‘15∼’16 영국대학평가 기관 QS가 발표한 순위)▪44위 (‘15∼’16 The Times가 발표한 순위)특징▪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연구를 선도하는 우수대학으로 이루어진 연맹체 ‘우니베르시타스 21(Universitas 21)’ 창립회원▪HKU 출신 유명인사로는 중국의 혁명가 쑨원, 기업가 스탠리 호 등이 있음.◇ 대학 일반현황○ (대학구성) 건축학, 교육학, 경영학, 치의학, 법학, 사회과학 등 10개의 학부 안에 다양한 학부·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함○ (학생현황) 총 28,000명 중 58%가 대학생, 42%가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국인 학생의 비율도 35% 수준○ (직원현황) 직원 3,800명, 교수 7,200명(외국인 교수 59%), 교수보조 3,400명으로 재정지원 보조를 담당하는 직원은 21명 수준◇ 장학처(Scholarships Office) 역할○ 수혜자와 기증자를 한번에 연결하는 원스톱 플랫폼 역할을 하며 대학의 다양한 부서와 연계하여 일함○ 장학금과 상(Prize) 수여를 위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과 규정을 제시하며 다양한 기록물을 보관○ 학생들에게 장학금과 상 제도에 대한 홍보◇ 재정지원 현황○ HKU는 상(Award)와 재정보조(Financial Aid) 형태로 학생들의 재정을 지원함○ (Award) 성적우수자에게 장학금(Scholarship)과 상(Prize)으로 제공되며 아카데믹상이사회(Academic awards board)에서 모든 사항을 관장함○ (Financial Aid)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도와주는 프로그램(Bursary, Loan, First in the Family Education Fund)으로 학생재정 위원회에서 관장하고 있음◇ 상(Award)○ (규모) 2015년 기준 US$1,670 소요됨. 320개 이상의 상(Prize)와 380개 이상의 장학금(Scholarship) 프로그램이 있음○ 매해 600명 이상이 상(Prize), 4,000명 이상이 장학금(Scholarship)을 수여받으며 이중 혜택 가능함○ (Prizes) 에세이나 프로젝트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학생들에게 수여○ (장학금) 학업성적, 학생재정상황, 봉사성적, 리더십 및 글로벌 비전 등의 항목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홍콩 국적의 학생들은 20%정도가 받고 있음. 다양한 장학금 프로그램이 있으므로 학생 상황에 맞는 장학금을 제공함▲ 신입생 대상 장학금(좌)와 재학생 대상 장학금(우)[출처=브레인파크]• (Enrichment Scholarship) 해외 교환학생, 인턴십, 해외자원봉사를 가는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장학금으로 최근 선호도가 높음◇ 재정지원(Financial Aid)○ (First in the Family Education Fund) 가족 구성원 중 최초로 대학입학자가 있을 때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비 외에 다른 분야 교육에 사용되어야 함◇ CEDARS(Centre of Development and Resources for Students)○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재정지원역할을 하는 부서로, 대부분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재정으로 도와주며 일부 학교의 재정으로 지원하기도 함○ 학교의 재정으로 도와주는 부분은 학생들의 생활비와 관련됨Government SchemesUniversity Financial Assistance▪Tertiary Student Finance Scheme–publicly funded programme(TSFS)▪Non-means tested loan* scheme (NLS)* Non-means tested loan : 서류평가 없이 대출가능▪Extended non-means tested loan scheme(ENLS)▪Main Exercise Application▪Emergency Assistance▪HKU Fresh HK$3000▪Accommodation/Hall Fee Loan▪Student Travel Loan▪Tuition Fee Loan▪Other Loan schemes▪External Funds▪First in the Family Education Fund• HKU fresh HK$3000 : CSSA*에 해당하는 자녀들에 대한 장학금* CSSA : 최저임금을 받는 가족□ 질의응답- 홍콩에는 몇 개의 대학이 있는지."총 17개있으며 정부 보조를 받는 곳은 11개이다."- 홍콩 내 대학진학률은."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학생들 취업을 지원하는 방법은."취업특강을 제공하거나 채용을 바로 알려주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립대학의 등록금은."사립대의 경우 국립대에 비하여 3배정도 비싸다. 그 이유는 정부의 재정지원 보조금이 적기 때문에 국립대에 비하여 비쌀 수밖에 없다."- 장학처 직원 규모와 워킹시간은."3명이 주 5일 9:00~18:00까지 일한다."
-
뉴욕시의회(New York City Hall) 민주당 케이스 파워 의원(Council Member, Mr. Keith Powers) 뉴욕시의회, 경제개발위원회 소속4선거구(코리안타운지역) 방문연수미국뉴욕 □ 연수내용◇ 뉴욕시의회 법제사업위원장으로 활동중인 케이스 파워 의원◯ 뉴욕시의회 제4지구의 민주당 소속 의원인 케이스 파워 의원은 데이턴대학과 뉴욕시립대에서 정치학을 전공했으며 뉴욕주 하원의원의 참모장, 뉴욕주 상원의원의 캠페인 관리자 등을 거쳐 2017년 지명, 시의회에서 2년째 활동중이다. 현재는 법제 사법위원회 위원장이다.◯ 제4지구는 어퍼이스트사이드, 센트럴파크, 한인타운이 속해있는 지역으로 케이스 파워 의원은 최근 K타운상인번영회의 요청을 받아 한인타운의 낙후된 도로 재포장과 배수구 개선을 하기도 했다.◯ 주로 저렴한 주택, 정부개혁, 사회문제에 대해 활동하면서 2018년 성희롱 보호 법안의 확대를 이끌었고 뉴욕시 주택보존개발부와의 협상을 통해 임차인 보호 및 임차료 구제를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시의회에서는 시의 경제발전과 지역발전에 관련된 법안을 입법하고 있고 1조 정도의 시 예산을 수립하고 관리한다.◯ 케이스 파워 의원의 지역구인 4지구는 인구가 17만이며 맨해튼 동쪽 지역으로 경제 허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대기업의 본부가 위치하고 있다.◇ 낮은 시민참여와 중앙집권화가 특징이었던 과거 뉴욕의 도시계획◯ 과거 뉴욕의 도시계획은 투명성의 부족, 낮은 시민 참여 및 중앙 집권화를 특징으로 했었다. 하지만 1940년대 중반, 도시계획에서 대중의 역할을 강조하여 정부와 시민 사이의 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한 시민단체들이 결성된다.◯ 곧 도시계획을 전문가들에게만 맡기는 것이 현명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많은 사람들이 도시계획에서 의사결정의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민주적 의사결정이 결국 부와 빈곤, 사회적 평등과 불평등, 도시의 활력과 실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시민의 참여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방향을 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뉴욕 도시재생, 시민 참여의 시작◯ 뉴욕의 도시계획에서 시민들의 참여가 확대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부터였다. 당시에도 도시 재개발은 빈민가를 없애고 효율적인 고층 아파트로 대체하는 것이었다.당시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에 포함된 지역 중 하나가 쿠퍼 광장이었다. 당시 가장 영향력 있는 단체였던 쿠퍼 광장 위원회는 이를 강력하게 반대했고, 시청에 자체 계획을 최초로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제출한 대체 계획은 철거 지역을 줄이고 보존 가능한 구역을 보존, 복구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의 주요 메시지는 도시 재개발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그로 인한 희생자가 아닌 수혜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970년 1월 7일, 시는 그 계획의 수정본을 승인했고 쿠퍼 광장 위원회와 시의 협력이 알려지자, 많은 사람들이 도시계획에 참여하기를 원했고 도시 계획의 변화를 주장하는 단체를 지지하게 된다.◇ 21세기 도시 숲을 만드는 계획에서 활발한 도시재생 사업 포함◯ 21세기 들어서 뉴욕의 블룸버그 시장이 뉴욕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2개의 장기적인 공원 계획이 시작됐는데, 뉴욕에 도시 숲을 만드는 계획으로 10년에 걸쳐 도시 전역에 100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2008년, 미국 최대 매립지로 알려진 프레쉬킬스 파크(Freshkills Park)를 건설하기 시작, 스테이튼 아일랜드(Staten Island) 공원은 센트럴 파크의 3배로, 한 세기 이상 뉴욕에서 가장 큰 공원의 위치를 유지했다.또 올림픽 크기의 실내 수영장과 NHL(북미 아이스하키 리그) 규모의 스케이트 링크를 갖춘 플러싱 메도코로나 공원(Flushing Meadows Coron"Park and Rink)과 아이스링크가 들어서면서 뉴욕의 공원 중에서 가장 큰 레크리에이션 단지가 된다.◯ 2009년에는 화물철도 교통 고가 시설물을 개조한 첫 하이라인(high line)이 공개되고 수백만의 방문객들이 한때 버려졌던 철도 고가를 찾았고, 지금은 토착 식물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으로 완전히 복원되었다.◯ 2010년에는 브루클린 브릿지 공원 부두 1의 제1구간이 대중에게 개방됐으며, 2012년에는 1984년 이후 폐쇄됐던 맥 캐런 공원의 야외 수영장을 대중에게 개방했다. 또, 2014년에는 하이라인의 3단계가 공원 북쪽 허드슨 철도까지를 포함하게 된다.◇ 기업의 요구와 지역이 원하는 바를 매칭할 때 성공적 도시개발 가능◯ 최근 몇 년 간 경제 중심으로서의 지역 경쟁력이 떨어져 있었다. 시설들이 노후화 됐고, 고도 제한 때문에 새로운 건물을 짓는 과정이 복잡했다.본사 건물이 너무 오래돼서 다시 지으려고 할 때 다른 지역으로 가려고 했다. 이 지역에서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고도 제한을 바꿀 방법을 찾았지만, 건물의 높이를 높이게 되면 반대하는 사람들도 많아서 찬성과 반대가 첨예하게 부딪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이 프로세스는 대기업에서 큰 건물을 지으려면 건물의 크기에 비례해서 자금을 조성해서 대중교통에 투자하는 것이다.이를 통해 지하철 등 노후화된 대중교통 시설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했고 그랜드 센트럴 스테이션에 이러한 민간 자금 2억 달러가 투자되어 개선된 사례가 있다.반대로 아마존이 뉴욕 퀸즈에 본사를 지으려던 계획이 무산된 사례는 필요로 하는 인프라와 기업유치가 성사되지 않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도시에 기업을 유치할 때, 보통은 혜택을 주는데 그보다 기업이 원하는 것과 기업을 유치하려는 도시의 사람들이 원하는 바를 잘 매칭한다면 돈을 들이지 않고도 성공적으로 기업을 유치하고 도시를 개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도 제한과 같은 규제를 풀어서 기업들을 유치할 수 있고 유치한 기업으로 하여금 지역 경제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질의응답- 블룸버그 시장은 민주당 소속이었다가 공화당 소속으로 옮기셨다. 당을 옮겨갔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가? 민주당에서 오신 분이 대표가 됐을 때와 공화당에서 오신 분이 대표가 됐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정당을 바꾸는 것이 흔한 일은 아니다. 블룸버그 시장은 자체가 정당과는 별개의 신념을 가지신 분이기 때문에 민주당의 의견 중 일부를 수용하시고, 공화당의 의견 중 일부를 수용하신다.기본적으로 정치가 아니라 비즈니스 백그라운드를 가지신 분이다. 뉴욕시의 정치적 지향은 민주당이 굉장히 우세하고 공화당은 3석뿐이다. 그런데 후보 지명을 받는 시점에서는 공화당으로 출마하는 것이 훨씬 유리한 입장이었다.""또한 전통을 깨뜨리고 새로운 정책을 수행하는 역할을 많이 하셨기 때문에 민주당이 당선되는 것이 너무 당연한 곳에서 공화당에서 대표가 나와야 공화당의 의견도 더 수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블룸버그 시장 전에는 줄리안 시장이었는데, 굉장히 강한 힘을 가지고 계셨다. 그분이 임기를 끝내고 후보를 선출할 때 공화당 쪽에서 출마를 해야 그 힘을 이어받을 수 있었다. 블룸버그 시장이 비즈니스맨 출신이기 때문에 선거에 쓸 수 있는 자금도 충분하셨다.""공공 정부의 역할 범위, 경제발전을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적 약자 보호를 어떤 형태로 접근할 것인가에 대해서 민주당과 공화당의 시점이 다르다. 따라서 어떤 정당에서 시장이 나오느냐에 따라서 정책이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줄리안 시장과 블룸버그 시장의 경우 ‘깨진 유리창 이론’을 적용하여 시의 범죄율을 줄이는 정책을 펼쳤지만 지금은 민주당에서 오신 분이 시장을 하시기 때문에 경범죄에 대해서까지 강력하게 처벌하지 않는다."- 임차인 보호를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재 뉴욕시의 도시 개발 발전 과정 속에서 임차인을 보호하는 제도가 어떻게 되는지."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 개발에 관해서 심각한 문제이다. 뉴욕시에서 임차인 보호를 위해서 하는 정책은 2가지이다. 첫 번째는 임차인의 지대가 높아지는 것은 공급과 수요가 맞지 않는 문제이기 때문에 주택에 공급을 늘려주는 차원으로 해결한다.""두번째는 공공자금을 통해서 사람들이 집을 잃거나 지대가 높아주는 것을 막는 형태이다. 임대료가 높아지면 사람들이 포기하고 떠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높아진 집값의 일부는 정부가 보조한다.도시의 크기는 정해져있기 때문에 높은 건물을 지을 수 밖에 없어서 고도 제한을 푸는 일을 한다. 개발 허가를 내줄 것인가 말 것인가에 대해서 분석하게 절차를 꼼꼼하게 검토한다."- 임대료가 오를 때 정부에서 지원하는 보조금의 재원은 어디서 오는 것인지."세금이다."- 재개발을 위해 재원이 들어가면 부정부패가 생길 수도 있는데, 공무원들이 일하는 중간 과정을 투명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는지."재개발은 부가 가치가 많이 창출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부정부패의 가능성이 있다. 우선으로, 부패하지 않을 사람을 뽑는 것이 중요하다.한 사람에게 큰 형태의 정치 자금을 받으면 부패할 수 있으니까 한 사람이 정치인에게 보조할 수 있는 후원금의 정도가 제한되어있다."- 인구 대비 정치적인 영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타운에 비해서 한인타운이 몇 년간 변화가 없다. 향후 한인타운을 어떻게 발전시킬 계획인지."차이나타운에 비해서 한인타운을 확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부동산 가격이 너무 비싼 지역이기 때문이다. 한인타운 내에서 확장을 해달라는 요청이 많이 있지는 않았다."- 20-30대 청년들의 정치 참여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많지 않다. 점점 나아지고는 있다. 18-34세의 정치 참여가 늘어나고 있는데, SNS를 통해 정치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정치적인 무관심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서 선거를 하는 등 좀 더 쉽게 선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가 358석의 대의원 선거로, ‘Winner takes it all‘이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데, 힐러리가 전체적으로 투표율이 2%가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승자가 독점하는 이 제도로 인해 트럼프가 대선에서 이겼다. 이 제도가 정확한 민주주의를 대변할 수 있는지."민의를 잘 반영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가장 많은 투표를 얻은 사람이 이기는 시스템이 아니라, 각 주별로 이기는 사람을 정하고 그 주에서 이기는 사람이 대선에서 이기기 때문에 민의를 잘 반영하지는 않지만, 이 시스템이 생긴 시작은 개척시대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바뀌기는 쉽지 않다."- 정권이 바뀌면 그 아래로 싹 다 바뀌는지 혹은 하부조직은 그대로 있고 위에만 바뀌는지."행정부에서 큰 결정을 하는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바뀌지만 그 아래의 사람들은 바뀌지 않는다."- 임차인 시민단체나 주거단체는 어떤 단체이며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그런 단체는 많다. 주택에 관련돼서 임대인이 돈이 없어서 쫓겨나는 상황을 막기 위한 법이 있다. 워터프론트 플라자는 임대료가 너무 높아져서 사람들이 쫓겨날 상황이 닥치자 임차인들을 다 모아서 하나의 조직을 만들어 뉴욕시를 대상으로 하여 협상을 했다. 따라서 임대료를 다른 데에 비해 훨씬 낮게 측정해서 사람들이 쫓겨나는 것을 막았다."
-
2021-11-18미국 글로벌 전자상거래 대기업인 아마존(Amazon)에 따르면 향후 3년 동안 영국 전역에 260개의 계산대 없는 하이테크 슈퍼마켓인 '아마존 프레쉬(Amazon Fresh)'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아마존은 아마존 프레쉬의 빠른 출범으로 하이테크 매장 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마존 프레쉬는 편의점에 대항하는 식료품 및 잡화를 주로 취급한다. 2021년 3월 아마존 프레쉬는 런던 서부 에일링(Ealing)에 첫 번째 문을 열었다. 아마존 프레시 매장 6곳을 이미 영국에서 운영하고 있다.고객들은 아마존 프레시에 들어갈 때 빠른 응답 코드를 1회 스캔한 후 가방에 구매한 여러가지 물건들을 넣는다.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는 고객들이 고른 다양한 물건들을 감지한다.고객들은 단순히 구매한 제품들을 가지고 매장을 나가면 된다. 이후 고객들의 계좌로 물건 값이 청구된다. 2022년 아마존은 60개의 아마존 프레쉬를 추가로 오픈할 예정이다.2023년 100개, 2024년 100개 각각 오픈할 계획이다. 2022년 아마존은 아마존 프레쉬를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에도 오픈할 예정이다. ▲아마존 프레쉬(Amazon Fresh) 영국 홈페이지
-
2021-06-22영국 수퍼마켓 체인운영기업인 테스코(Tesco)에 따르면 국내에 계산대 없는 비접촉식 매장인 체크아웃 프리 매장을 처음 오픈할 예정이다. 미국의 거대 소매업체인 아마존(Amazon)의 체크아웃 프리 매장인 아마존 프레쉬(Amazon Fresh) 매장이 국내에서는 런던 서부지역에 처음 오픈한 바 있다. 이제 테스코가 계산대없는 제로 틸스(ZERO tills) 매장을 국내 수퍼마켓으로는 처음 열려는 것이다. 테스코는 아마존이 도입한 스캔앤 고 아웃렛 매장의 매력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지난 1년 동안 테스코는 제로 틸스 매장 시스템 운영 실험을 본사가 있는 Welwyn Garden City의 매장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트래픽이 더 높은 다른 매장에도 제로 틸스 시스템을 넣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향후 도시 지역에 제로 틸스 매장을 확대할 예정이다.▲테스코(Tesco) 홈페이지
-
2020-12-09미국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포드자동차(Ford Motor)에 따르면 마이애미에서 자율주행차량을 투입해 신선한 농산물을 배달하는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이 프로그램은 자동차 스타트업 기업인 아르고(Argo AI)와 교육펀드(Education Fund)에 의해 진행되는 8주 프로그램이다. 과일과 채소가 자율주행 테스트 차량에 실려져 약 50세대의 집에 제공된다.더욱 건강한 식생활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이다. 2명의 전문가가 각 차량에 앉아 테스트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인수해 비접촉 최종배송을 수행한다.이와 같은 신선한 농산물의 배송은 다양한 실제 상황에서 자율주행 인공지능을 테스트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파트단지부터 주차장이 없는 장소를 포함하는 진입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제 상황이 적용될 수 있다.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커뮤니티를 도우면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포드자동차는 마이애미 지역 서비스의 성공에 따라 2021년 유사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USA-Ford-AutonomousCar▲ 포드자동차(Ford Motor)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5-28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0년 4월 20일 기준 본사 및 전국의 모든 자회사 등에서 총 직원 6621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했다.정부의 산업별 투명성정책 차원에서 정보 요구사항을 준수해 공개된 사항이다. 2020년 2월 채용한 신입사원 1050명도 포함됐다.국영석유공사는 전국에 13개의 전략 사업부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직원 분포는 다음과 같다. 전체 인력의 28.7%인 1898명은 3곳의 정유공장 직원이다.전체 인력의 28.2%인 1869명은 모든 부서 및 전략 사업부의 운영 엔지니어링에 관여하고 있다. 12.35%인 818명은 인적자원부, 10.3%인 684명은 보건·안전·환경 담당부, 301명은 정보기술 인력 등이다. ▲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2019-06-17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즈주 식품청(NSW Food Authority)에 따르면 콜스(Coles)의 우유, 계란 등의 제품에 대한 리콜조치를 결정했다.일부 브랜드의 우유제품은 우유병이 세척액으로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리콜 대상 우유는 누런황색으로 착색되었고 금속과 화학제품 맛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리콜 대상인 우유제품과 유통기한을 살펴보면 ▲Coles Lite Milk, 1 litre bottle, 25-JUN, 26-JUN ▲Coles Skim Milk, 1 litre bottle, 25-JUN ▲Coles Full Cream Milk, 1 litre bottle, 25-JUN, 26-JUN 등이다.여러 종류 계란 브랜드의 계란에도 장염균인 살모넬라(Salmonella Enteritidis)가 잠복해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리콜 대상 계란 브랜드는 The Egg Basket, Country fresh eggs, Just Eggs, Chefs Choice free range, Chefs Choice cage free eggs 등이다.리콜 대상 계란 브랜드의 유통기한은 14th June 2019, 20th June 2019, 24th June 2019, 29th June 2019, 5th July 2019, 9th July 2019 등이다. 리콜 대상 계란에는 코드 eb24449가 찍혀 있다.▲뉴사우스웨일즈주 식품당국(NSW Food Authority) 홈페이지
-
2019-04-24오스트레일리아 슈퍼마켓체인운영기업인 콜스(Coles)에 따르면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Fresh Food Container 프로그램으로 콜스에서 $A 20달러를 구매하면 음식 및 식자재를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무료로 준다.행사기간 동안 용기를 수집해 잘 이용하면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고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데 동참하게 되는 것이다.용기의 크기는 5가지로 1.5L, 1.4L, 1.2L, 1L , 600mL이며 진공 펌프도 포함된다. 밀폐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냉동실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행사기간은 4월 24일부터 7월 2일까지이다.한편 10개의 용기를 무료로 받기 위해서는 콜스 매장에서 200달러를 지출해야 한다며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단체들은 사은품에 유혹되지 말라고 하며 현명한 소비를 촉구했다. ▲콜스(Coles)의 Fresh Food Container프로그램 홍보(출처 : 홈페이지)
-
2019-03-25오스트레일리아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전국에 걸쳐 막대한 양의 달걀이 회수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달걀에서 살모넬라균이 발생한 이후 공식적인 첫 조치이다. 살모넬라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15만~20만마리의 닭도 살처분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양계산업계의 막대한 손실이 전망되며 시중에서의 달걀 판매가격 상승도 불가피한 실정이다. 회수되는 달걀 브랜드는 Woolworths 12 Cage Free Eggs 700g, Victorian Fresh Barn Laid Eggs 600g, 700g, 800g, Loddon Valley Barn Laid 600g 등이다.회수되는 달걀의 유통기한 별 목록은 다음과 같다. 2019년 3월(March) 20일, 3월 23일, 3월 27일, 3월 30일, 4월(April) 3일, 4월 6일, 4월 10일, 4월 14일, 4월 17일, 4월 20일, 4월 24일, 4월 27일, 4월 29일 등이다. ▲Victorian Fresh Barn Laid Eggs 600g(출처 : 콜스(Coles)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