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US Navy"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6-24미국 해군(U.S. Navy)에 따르면 최근 보잉 인시츄(Boeing Insitu)에 저고도 정찰용 무인기 공급을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보잉 인시츄는 우주항공전문회사 보잉(Boeing)에서 100% 출자한 정찰용 무인기 제조업체다. 대표적으로 블랙잭, 스캔이글 등의 정찰용 드론을 생산하고 있다.미해군은 자국 및 군사 동맹국의 정찰 및 감시체제를 지원하기 위해 정찰용 무인기를 증강할 계획이다. 현재 보잉 인시츄의 두 모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먼저 24시간 임무가 가능한 RQ-21A 블랙잭이다. 적외선 카메라, 가시광선 이미저, 레이저 거리측정기, 통신 및 자동 탐지 시스템 등이 내장돼 있다.다음은 스캔이글(ScanEagle)로 블랙잭과 마찬가지로 24시간 임무가 가능하다. 단, 가솔린 등 연료로 엔진을 가동하며 무게도 비교적 가볍다. 블랙잭 대비 가성비 좋은 정찰 무인기로 손꼽힌다.이미 메릴랜드주 패턱센트 공군기지는 보잉 인시츄에 US$ 1250만달러 상당의 정찰용 무인기를 주문했다. 추후 미국 전역에서 추가 주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미해군의 이번 정찰용 무인기 증강 및 배치 계획은 2022년 6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보잉 인시츄도 정찰용 드론 생산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블랙잭을 발사대에 장착하고 있는 모습(출처 : 보잉 인시츄)
-
2021-05-03미국 해군(US Navy)이 2021년 4월 26일 공개한 훈련 보고서에 따르면 군집 드론(Drone Swarm)이 공격 목표물인 수상함을 파괴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드러났다.본 훈련의 공식 명칭은 ‘무인 시스템 통합 대응(Unmanned Systems Integrated Battle Problem 21)’으로 캘리포니아 인근 해역에서 수행됐다.군집 드론의 공격 훈련은 계획된 여러 작전 중 하나였다. 훈련 상황은 유도미사일 구축함 USS John Finn과 교전 중인 수상함을 타격하는 것으로 구성됐다.훈련 시 USS 함대와 군집 드론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연합작전을 펼쳤고 수상함을 파괴하는데 성공했다. 피격된 수상함은 단순 목표물이 아닌 대드론 방공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타겟이었다.다만 이번 무인시스템 훈련에 대한 미해군의 설명이 반쪽짜리에 그쳤다는 평가가 많았다. 군집 드론의 크기나 유형, 규모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군사 전문가들은 미국이 남중국해 분쟁 대상국인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군집드론 훈련을 수행했고, 이를 비공개에 부쳤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현재 중국은 남중국해를 거점으로 미국 함대 및 항공기에 대응할 미사일 방어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은 그 대응책으로 군집 드론을 내세웠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참고로 2020년 8월경 남중국해에서 훈련 중인 중국군 작전 지역에 미군 고고도 정찰기 U-2가 출현했다. 당시 중국군은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하며 응수한 바 있다.▲록히드사에서 설계한 고고도 정찰기 U-2(출처 : wikipedia)
-
2021-04-27미국 해군(US NAVY)에 따르면 항공모함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소형 드론의 배치가 필요하다. ScanEagle, Blackjack 같은 소형 드론이 해상감시 및 정찰 업무를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소형 드론을 전함에 배치할 경우 작전의 수행과 복귀가 기존 유인기보다 훨씬 용이하고 감시 업무에 소요되는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단, 최대한 기체가 작은 드론을 해군 함대에 배치해야 최소 유지가 필요한 유인 헬리콥터와의 전술 공간을 공유하며 상호 작전이 가능하다.반면 해군 감시정찰용으로 개발된 MQ-4C Triton과 같은 대형 무인기는 항공모함이나 대형 전함 갑판에만 제한적으로 배치돼 비효율적이다.이처럼 갑판 공간의 한계성을 극복하려는 해군용 드론은 이제 장시간 정찰비행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소형 선박에 설치한 발사대에서 이륙 중인 ScanEagle(출처 : wikipedia)
-
2021-04-27미해군연구소(NRL)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드론 ‘Hybrid Tiger’가 태양광 패널과 수소전지만으로 24시간 비행을 유지했다.Hybrid Tiger는 양 날개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다. 기체 중앙부에 50리터 상당의 극저온 액체수소 연료탱크가 탑재했다.또한 내장된 시스템은 온보드 컴퓨팅으로 태양광과 수소연료를 번갈아가며 적절하게 소비해 전력량을 균형 있게 유지한다.주목할 기능은 기상학적 데이터를 사용해 상승기류를 활용했다는 점이다. 이로써 프로펠러 작동없이 110km을 비행할 수 있었다.Hybrid Tiger 연구팀의 향후 과제는 1회 충전만으로 48시간 이상, 1800km를 비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참고로 Hybrid Tiger는 수소연료전지 드론 Ion Tiger의 후속 모델이다. Ion Tiger는 48시간 비행을 완수한 바 있다.▲태양광 패널과 수소연료로 운행하는 Hybrid Tiger(출처 : US Navy)
-
2020-08-24미국 기술기업인 엘쓰리해리스테크놀로지(L3Harris Technologies)에 따르면 해군(U.S. Nav)과 중형 무인 수상차량 프로그램(Medium Unmanned Surface Vehicle program) 계약을 체결했다.해군의 분산 해양작전전략( Navy’s Distributed Maritime Operations strategy)을 지원하기 위한 무인 수상차량에 대한 해군의 첫 번째 프로그램이다.이 프로그램은 총 9대의 중형 무인 지상차량들에 대한 프로토타입과 옵션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비용 $2억8000만달러 중 3500만달러가 초기에 지급됐다.회사의 SView 자율성기술을 195피트 상업용 차량에 통합할 벙참이다. 중형 무인 수상 차량들은 국제 충돌 규정(international Collision Regulations)을 준수하도록 루이지애나의 걸프연안(Gulf Coast of Louisiana)에 있는 시설에서 제작될 예정이다.또한 운영 환경에서도 자율적으로 조종되고 함대에 정보, 감시 및 정찰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회사는 프로그램의 주 계약자로서 시스템을 통합하고 임무 자율성과 인식 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무인 수상차량이 본격적으로 보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미국 국방부는 육상, 해상, 공중 등에서 무인기술을 활용해 전투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USA-L3HARRISTechnology-autonomousVehicle▲ 엘쓰리해리스테크놀로지(L3Harris Technologie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2-20프랑스 자율주행차량 제조업체인 나브야(NAVYA)에 따르면 2019년 12월 31일 기준 연간매출액이 €1,500만유로를 달성했다. 나브야는 2019년 43대, 2018년에는 63대의 AUTONOM® SHUTTLE을 판매했다.2019년 차량 판매 수익은 총 €1,110만유로로 2018년 대비 28% 감소했다. 미국 시장은 2019 년 22대의 차량이 판매돼 가장 큰 시장이다.자율주행차량 시장은 단기적으로 실험시장으로 남아 있다. 2020년 나브야가 셔틀 및 TRACT 차량을 풀 레벨 4 자율로, 즉 탑승중인 안전 운전자없이 실험을 시작할 수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특히 2020년 나브야는 전문 차량을 위한 레벨 4 자율주행 시스템 공급 분야의 선두주자가 되기를 희망한다.이를 위해 나브야는 R&D 팀을 강화하고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지리적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France-Navya-autonomousCar▲ 나브야(NAVY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5-31프랑스 자율주행차량 개발업체인 나브야(NAVYA)에 따르면 연례 주총 준비문서를 공개했다. 스마트 공유 이동성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주주총회는 2019년 6월 19일 오후 2시 40 rue de Courcelles, 75008 Paris에 위치한 라신(Racine) 변호사사무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나브야는 프랑스(파리, 리용) 및 미국(미시간)에 27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로봇, 디지털 및 주행기술을 최고 수준으로 결합한 자율주행 무인 전기자동차를 개발, 제조 및 상용화하고 있다.2015년부터 업계 최초로 자율 이동솔루션을 제공해왔다. 2015년 9월에 이후 2018년 12월 31일까지 미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 일본 등에서 115대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 셔틀이 판매됐다.나브야의 이번 연례 주주총회의 준비문서는 프랑스어로만 제공되며 나브야의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이 준비문서에는 미래 예측정보를 구성하는 추정치, 예측치 및 기대치를 포함하고 있다.▲ France-Navya-autonomousCar▲ 나브야(NAVYA)의 자율주행 차량 셔틀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3-27오스트레일리아 조선업체인 오스탈(Austal)에 따르면 $A 3억6900만달러에 미 해군(US Navy)으로부터 2척의 군수송선 건조를 추가로 주문받았다.이번에 주문 받은 탐사고속수송(EPF)선박은 미 해군을 위한 13번째, 14번째 선박이 될 것으로 전망된이다. 탐사고속수송(EPF)선박프로그램의 가치는 $US 20억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계약으로 탐사고속수송(EPF)선박프로그램은 2022년까지 연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연말에 시작될 13번째 선박건조 덕분이다. ▲오스탈(Austal)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선박제조업체인 오스탈(Austal)에 따르면 2025년까지 미국 해군(US Navy)에 2척의 전투함정을 추가로 납품할 예정이다.최근까지 9척의 함정은 인도했으며 10척의 함정이 건조 중이거나 건조 대기 상태이다. 지난 3년 동안 매년 2척의 연안전투함(LCS)를 수주했다.미국 해군은 이번 계약에 대한 정확한 전투 함정의 가격은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척당 US$ 5억8400만달러의 의회의 비용제한을 고려하면 가격이 어느 정도인지는 분석은 가능하다.최근에 상업용 페리선 계약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의 군함건조를 수주함으로써 2018년 8월 기준 연간이익은 3900만달러로 2배 확대됐다.▲오스탈(Austal)의 홈페이지
-
2018-11-07프랑스 스타트업 기업인 Navya에 따르면 자율주행 자동차에 앞서 자율주행 공공 셔틀을 운행할 계획이다. 2019년까지 프랑스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할 방침이다버스, 트럭에서부터 승용차 및 오토바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의 차량을 위한 자율주행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사람들이 자율주행 자동차보다 자율주행 공공 셔틀을 먼저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자율주행 공공 셔틀이 안전하면서 접근성이 좋고 적은 비용으로 다수의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Navya는 자율주행 공공 셔틀에 대한 전문기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도시에 소형, 충전식 무인 셔틀을 제공하며 1대 당 가격은 $US 30만달러로 예상된다. 무인 셔틀은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된 도로를 따라 설정된 승차 위치로 사전 프로그래밍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무수한 도로, 무작위적인 장애물 및 노선이 있는 도시에서 우버와 같은 자가승차 서비스와 비교할 때 설치가 쉬울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비용을 상각할 수 있다. 도시의 예산을 늘리지 않고 기존 대중교통 수단과 원활하게 통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Navya는 전세계 18개국 이상에서 파일럿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 최근에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근처에 새로운 생산공장을 오픈했다.참고로 Navya는 2018년말까지 89대를 판매해 3450만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자율 주행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상승해 향후 매출전망은 더욱 긍정적이다.▲ France-Navya-AutonomousCar-homepage▲ Navya의 자율주행 공공 셔틀(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