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Robin"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4-24글로벌컴팩트네트워크 싱가포르(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 160 Robinson Road, #06-01 SBF Center,Singapore 068914Tel: +65 6386 9330info@unglobalcompact.sgwww.csrsingapore.org 방문연수브리핑싱가포르 □ 연수 내용◇ 여러가지 문제에 적극 대처할 것을 호소한 선언적 맹약, 글로벌 콤팩트○ 첫 번째 공식방문기관인 글로벌컴팩트네트워크 싱가포르(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 이하 GCNS)에서는 Ms. Aditi Tembe(Manager, Strategic Relations)가 브리핑을 진행해주셨다.○ 글로벌컴팩트네트워크는 국제연합(UN)이 세계 대기업에 세계경제의 국제화에 동반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호소한 선언적 맹약인 ‘글로벌컴팩트(Global Compact)’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제 7대 국제연합 사무총장인 Kofi Annan이 1999년 1월 스위스의 다보스에서 열린 다보스회의(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제창하였고, 2000년 7월에 발족하였다. 금융·경제·정보 등 국제화의 혜택을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국제연합의 활동에 민간기업이 협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글로벌컴팩트는 인권·노동·환경·반부패의 4대 분야 10대 원칙으로 이루어졌다. 다국적기업만이 아닌 국내기업도 포함한 산업 분야와 새로운 연대 형태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2년 1월 글로벌컴팩트의 자문위원회 첫 모임이 미국 뉴욕에 있는 국제연합 본부에서 열렸다.◇ 전 세계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을 장려하고 지원하는 국가선도기관○ GCNS는 지속가능 경영을 시작하고, 심화 및 확대할 수 있는 원스톱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선도기관이다. ▲ GCNS 싱가포르 본사 외관[출처=브레인파크]○ GCNS는 다양한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회원으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학교, 정부기관, 나머지 비영리단체들도 회원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GCNS는 유엔글로벌컴팩트(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이하 UNGC)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국가적 차원에서의 △환경 △부정부패방지 △인간의 권리 △노동 등의 키워드에 대해 고려하며 지속가능 운영전략을 짜는 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촉진한다.○ UNGC는 전 세계 기업들이 지속가능하고 사회적 책임을 지는 기업 운영의 정책을 채택하고, 그 실행을 국제기구에 보고하도록 장려하는 유엔(United Nations, UN)의 국제기구로서 기업체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할을 관장하며 기업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국제사무소이다.○ GCNS는 싱가포르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홍보하는 국민사회로서 기업, 정부 및 시민사회 이해관계자들간의 협력을 장려하여 지역사회에 오래 지속될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참고로 국민사회란 부분적인 다수의 여러집단을 포용·통괄하는 전체사회로서의 역사적 형태이다.○ 뿐만 아니라 GCNS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집단행동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다양한 기업들과 관계자들에게 책임감 있는 비즈니스 운영 및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으며, 좀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국가가 되기 위한 싱가포르의 목표를 지원한다.○ GCNS는 2005년 창립 이래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인식 수준을 계속해서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기업지속가능성 리더를 육성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며 커뮤니케이션 진행○ GCNS는 독립적이고 자체관리되는 단체이지만, 뉴욕의 UN Global Compact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GCNS는 Global Reporting Initiative(GRI)의 이해관계자이며, ASEAN CSR Network에 참여하는 조직이다.○ 참고로 Global Reporting Initiative(GRI)는 기업의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제기구이다. 정부, 기업, 기타 조직 등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국제적으로 독립적인 표준단체이다.○ 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 Summit, Singapore Apex Corporate Sustainability Awards, Young SDG Leaders Award를 매년 진행하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초청해 행사를 진행한다.○ 연말이 되면 GCNS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속가능성’ 관련 시상식이 있다. 기업들 중에 이러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실질적인 리더역할을 한 회사들에 대한 포상을 진행하기도 한다.○ GCNS의 주력행사인 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 Summit은 비즈니스 리더, 공무원, CSR실무자, 기업가, 학계, 노동조합 및 시민사회 지도자들을 포함하는 모임이다. 약 2일 동안 최근 기업지속가능성에 대한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대화하는 만남의 장이라고 보면 된다.○ GCNS의 목표는 단체에 가입한 회원, 미래의 비즈니스 리더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선도적인 플랫폼이 되는 것이고 그들의 미션은 지속가능한 목표 안에서의 리더십을 통해 싱가포르 경제공동체의 경제성장과 인적개발을 진전시키는 것이다.△GCNS에서 매년 진행되는 싱가포르 정상회담◇ ‘지속가능성’ 주제에 대해 선도자 역할○ ‘지속가능성’이라는 것은 위쪽에서부터 정확한 의도를 가지고 실행해야하는 중요한 정책이기 때문에 그런 길을 열어주는 선도자 역할이 중요한데, 그 역할을 GCNS가 하고 있다. ▲ 싱가포르 부총리의 지속가능성 연설[출처=브레인파크]○ 또한 가입해 있는 단체들의 대표로서, 그들의 의견을 대신해서 표출하는 역할도 한다. 사업계에 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 의견교환을 하면서 유지가능성에 대해서 조금 뒤쳐져 있는 회사에 영감을 주기도 한다.○ 최근에 GCNS의 주관으로 회의를 했는데, 당시 다국적기업, 중소기업에서 영향력있는 사람들의 강연을 통해 교육을 진행했고, 싱가폴 노동부 장관과 사업계 리더들하고 논의를 하여 기업들의 걱정거리들을 정부에 표출하는 기회를 만들기도 하였다.○ 일반 기업, 비정부기관, 사회적기업, 다국적기업 등 다양한 기관들의 중심에 GCNS가 위치하고 있다. GCNS의 장점은 이러한 조직들을 한꺼번에 모아서 대화할 수 있게 자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와 개인을 상대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꾸준한 교육을 제공○ GCNS에서 가장 추구하고 있는 기본적인 것들은 총 7가지로 나눠져 있다. △환경 △노동 △인권 △부패방지 △미래의 노동 △평등한 인권 △부패방지에 대해서 사업적인 윤리 등으로 구체화 했고, 요새 집중하고 있는 주제는 △지속가능발전 △클린에너지 등이 포함이 되어있다.○ GCNS의 전체적인 전략적인 프레임 워크는 GCNS가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춰 각기 다른 분야의 회원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책임져야 할 것들에 대해 다루고 교육한다.○ 특히 미래에 지도자인 젊은이들을 교육하고, 그 젊은이들이 소속된 기관에 환경지속성에 대해 꾸준히 질문을 하며 ‘지속가능성’에 대해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GCNS에서 각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주들을 위해서는 ‘유지가능성’과 관련한 전략을 제공하고 토론하며 전문적인 컨설팅도 제공을한다.○ 최근에 이뤄졌던 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 Summit에서는 학계, 정부 등 관련된 단체를 한꺼번에 모아서 행사를 진행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서로 논의했다.○ 뿐만아니라, ‘어떻게 하면 최선의 관행을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주제로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다. 공통적인 주제로 논의를 하기도 하지만, 한 기업이 문제가 있을때 GCNS에 찾아와서 의뢰를 하고, 그것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교육을 하기도 한다.○ GCNS는 단체가 아니고 개인적인 일을 처리해 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이제 막 졸업한 졸업생을 위해 GCNS에 소속된 기관에 인턴자리를 소개해준다. 뿐만아니라, 경력사원들이 이직, 휴직, 직장 복귀에 대해서 이직할 기업 혹은, 원래 있던 기업 10일 정도 동안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그 단체에 직장을 구할 수 있도록, 그리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실제적으로 사회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는 GCNS○ 국제적인 기구이기 때문에 현재 싱가폴 정부에서 필요한 것들, 특히 젊은이들에 대한 지원이 요새 가장 큰 이슈이고, 그들에게 기회를 부여하는 것들에 대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 사회적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기후변화와 관계된 것에 대해서도 기업들에게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기업 등에게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부터 시작하여, 회사들이 어떻게 하면 보다 좋은 새로운 분야에 사업을 개척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최근에 이야기가 나온 것은 탄소배출에 대한 것인데, 그것과 관련해 사업체들이 새로 나온 정책을 통해 사업에 적용을 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찾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 협의 및 실행을 진행하고 있다.○ GCNS가 계속해서 추구하는 것은 지속가능성 플랫폼의 리더로서의 명성을 만들어나가려고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심도깊은 지식,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것들에 대해 집중해야 할 분야들을 세계적인 UN의 자산, 나아가서 생태계 등을 활용해서 해결하고자 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안건을 싱가포르 정부에 펼치겠다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GCNS는 중소기업이나 소비자 등 기업과 다른 목소리들을 무시하지 않는다.○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 GCNS의 영향력으로 수동적이 아닌, 다양한 목소리를 한데모아 주도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단순한 이벤트를 만들고, 의미없는 모임을 주최하는 조직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하겠다는 것이 GCNS의 입장이다.○ 결국 GCNS에서 말하고자하는 것은 단순한 조직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사회의 변화를 이야기 하겠다는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사업의 관행에 변화를 주겠다는 것이다.□ 질의 응답- 작년에 은행에서 7400억 원, 올해는 1조 원 정도를 사회공원 비용으로 진행될 예정인데,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예산 사용이 가능할지."어떻게 하면 보다 더 체계적으로 할까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효과를 가지게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어떤 것들이 필요한 것에 대한 선행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 이후에 영향을 받기 위해서는 투자가 제대로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글로벌 컴팩트 같은 조직이 없다. 구심점되는 기관이 없고, 각 기관들이 따로 하고 있는데, 싱가폴 외에 다른 나라에서 아시아 쪽에서 이런 기관이 있는지."지금 한국에도 글로벌 컴팩트 네트워크가 있다. 최근에 싱가폴에서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에 있는 글로벌 컴팩트에 해당하는 관계자들이 와서 얘기도 하고 했다. 원하신다면, 한국에 글로벌에도 컨택을 진행할 수 있다."- 사회공헌하는 이유가 은행 이미지, 정량적인 것들, 오랜 진행된 이벤트 중에 내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가 있을 것 같은데, 그것에 대한 의미있던 행사를 꼽자면, 그리고 그게 왜 의미가 있었는지."예전에는 노력에 대한 평가를 평가할 도구가 없었는데, 현재 우리는 'Rice tool' 라고 하는 자체적이고 표준적인 지표를 만들어서 우리가 어떤 노력을 한 후에, 다음 번에 영향이 있었는가에 대한 걸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하지만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데이터는 따로 없다. 숫자도 중요하다. 몇몇을 해결한게 중요할 수도 있지만, 좀 더 깊게 보면 사회적인 변화가 더 중요하다.사회 폭력이 적어졌다던지, 인종차별이 적어졌다던지 이러한 것들을 좀 더 심층적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단순히 숫자에만 너무 급급하면 안 될 것 같다."- 하지만 그건 너무 거시적이지 않은지."이제는 이러한 한 사업에 대해 보고를 할 때, 돈을 얼마나 썼다 뿐만 아니라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창의적인 방식의 보고를 진행한다.아이스크림을 예를 들면 벤엔젤리 회사의 이야기를 들 수 있다. 이 회사는 아주 많은 부분에 대해서 그런 실천을 하고 있다. 재료를 구매할 때, 이런 분야에 책임성이 있는 회사에서 구매를 하고, 심지어 정치적으로 자기들의 의견을 표현하기도 한다.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마음에 안든다고 하면 아이스크림 맛의 이름을 정치적인 표현을 넣어서 만들기도 한다. 그런 분야에 있어서는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한국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지속가능경영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기업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기업의 성장을 가져가야 하는데,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의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지."아주 다양한 회사가 많은데, 많은 지속가능경영으로 성공을 거뒀다. 지속가능적으로 경영을 하다보면 짧게 보면 손해로 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 통계에 의하면, 길게봤을 때 지속가능경영을 한 기업이 더 큰 이익을 거두었다."□ 일일보고서○ 사회공헌 담당이 아니다 보니 이번 연수에서 나온 주제들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본 적은 없었으나 이번 연수를 통해 기업의 지속경영가능하게 하는 CSR시스템에 대해서 알려주고 교육을 하는 기관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시스템을 장려하고 알려주는 기관이 있다고는 하나 아직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은거 같아서 앞으로 우리나라에도 CSR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기에 이러한 단체 및 기관들이 활발하게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으면 좋겠다.- ㅇㅇ은행 ㅇㅇㅇ 과장○ 방문기관의 준비가 잘 되어있었고 pt 발표도 정리가 잘 되어 있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특히,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에서 공감이 많이 되었다. 질문하고 토론할 내용이 많았으나 시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많은 얘기를 나누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ㅇㅇ연합회 ㅇㅇㅇ 부부장○ NGO와 사회공헌활동 주체(기업)을 연결해준다는 측면에서 국내 모금기관(ex.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의 역할과 유사하나, 정부기관과 학계까지 포괄한다는 측면에서 그 범위가 좀 더 포괄적이다.또한 사회공헌활동 주체인 기관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customized support)는 국내 역시 수요가 많을 것인바, 국내조직 역시 활성화되어 CSR분야에서 플랫폼 역할을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국내 은행의 사회공헌활동 내실화 관련 질의(은행들이 돈만 많이 쓰고 실제로 도움은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는데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에 효과적인 투자를 위해서 연구를 선행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해주었다.사회공헌사업을 위한 출연 규모를 부각시키고 이후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종전 관행에서 벗어나 어떤 사회공헌사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업계획과 예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뒤에 은행연합회가 세부적인 사업안과 투자계획을 발표한다면 조금 더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ㅇㅇ은행 ㅇㅇㅇ 차장○ 글로벌 컴팩트 네트워크 싱가포르(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 GCNS)는 지속가능 경영을 시작하고, 심화 및 확대할 수 있는 원스톱컨시어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선도기관이다.GCNS는 싱가포르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홍보하는 국민사회로서 기업, 정부 및 시민사회 이해관계자들간의 협력을 장려하여 지역사회에 오래 지속될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참고로 국민사회란 부분적인 다수의 여러 집단을 포용·통괄하는 전체사회로서의 역사적 형태이다. GCNS의 비전은 단체에 가입한 회원, 미래의 비즈니스 리더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선도적인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그들의 미션은 지속가능한 목표 안에서의 리더십을 통해 싱가포르경제공동체의 경제성장과 인적개발을 진전시키는 것이다. 금융공기업인 기술보증기금도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을 위해 핵심역량과 연계된 사회공헌 실시, 임직원 참여형 사회공헌 운영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겠다.- ㅇㅇㅇㅇ기금 ㅇㅇㅇ 차장○ GCNS는 지구온난화, 빈곤 등이 세계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환경·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국가 차원의 노력 요구 증대됨에 따라 사회·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범세계적인 노력에 부응하고 있다.노동환경, 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 등 숫자 보다는 다른 요인들의 변화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싱가폴 정부의 전략적 비전 또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단체이다.- ㅇㅇ은행 ㅇㅇㅇ 부부장○ 임직원이 직접 나서 연탈 배달 봉사활동 진행경영을 위한 CSR시스템 홍보 및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 기업의 진정한 변화(real change)를 강조하는 게 인상 깊었다.‘CEO 라운드 테이블’ 행사는 각 회사 경영진의 고민과 기업 경영 방향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한편 인터넷 전문은행이라는 당행 특성상 대면 점포가 아닌 모바일로 고객을 접하는 터라 ‘비대면 은행’으로의 고민이 어떻게 사회적 책임과 발전적 모습을 함께 가져갈 수 있는 지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가 궁금해졌다. 다양한 형태의 만남의 장은 각 사 중심의 국내 문화에도 시사하는 점이 크다.- ㅇㅇㅇ뱅크 ㅇㅇㅇ 매니저○ 지속가능경영의 개괄적인 내용을 들을 수 있는 기회였다. 다만, 기업 입장이 아닌 공공기관의 입장만을 말씀해 주셔서 현실에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지속가능경영을 통한 기업의 성공사례에 대해 질문했지만, 수치화하여 성공 요인으로 삼을 수 있는 시스템은 없는 듯 느껴졌다.- ㅇㅇ은행 ㅇㅇㅇ 차장○ ‘체계적인 시스템과 글로벌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어떤 조직이나 기업들도 CSR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했다. 또한 단순지원사업을 떠나 교육 및 연수를 통해 지속적인 CSR사업을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부분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했다.- ㅇㅇ은행 ㅇㅇㅇ 과장○ UN 산하 기관으로서 가질 수 있는 폭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아우르며, 기업들의 자생적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활동에 대해 인상 깊었다.한국에서도 동일 국내 기관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소셜벤처 섹터에 대한 지원책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소셜벤처는 사회적 기업과 영리기업의 사각지대에 있어 관심도에 비해 각종 지원에 있어 배제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컴팩트 및 각종 기관들에서 해결책을 강구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 다만 여러 단체에서 우후죽순 비슷한 컨셉으로 지원 플랫폼 또는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다 보니 일부 유명 소셜벤처에 집중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각 기관들의 강점을 활용한 프로젝트 진행은 서로 선의의 경쟁을 펼쳐 긍정적 성과물을 만들어 낼 수도 있으나 컨트롤 타워의 부재로 인해 자원의 비효율적인 배분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해주는 시간이었다.- ㅇㅇ은행 ㅇㅇㅇ 대리○ 글로벌컴팩트네트워크 싱가포르는 정부에 의견을 표출하는 싱가포르 정부기관이다. 국제기구이지만 젊은이들의 대학지원, 디젤차량에 환경세 부과, 탄소배출건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등 지역 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ㅇㅇ은행 ㅇㅇㅇ 과장님○ 한국에서의 Sustainability는 CSR Activities와 Donations에 국한되어, 전략이나 미션을 수행하고자 방향성을 갖고 움직이기보다 ‘좋은 이벤트’를 만드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현실이다.Global Compact Network Singapore은 UN Global Compact Network의 일환인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의 거시적 관점의 Sustainbaility(환경, 인간의 권리, 노동, 부정부패 등)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여실이 느껴졌다.GCNS 전략 수립과 미션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보며, 실무자로서 선진화된 Sustainability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부분은 보완해야할지 깨달을 수 있던 계기가 됐다.- ㅇㅇ은행 ㅇㅇㅇ 과장○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홍보해주는 국제기구가 있음으로해서, 대외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진행되는것 같았다.- ㅇㅇ은행 ㅇㅇㅇ 차장○ GCNS는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을 오래 해나갈 수 있도록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학계, 정부, 기업체 등 무두 초청한 Summit을 개최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듣고 하모니를 이룰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는 것이 좋았다.우리나라도 은행들이 개별적으로 잘 하고는 있지만 지속가능경영 또한 CSR에 대한 전문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연수원 등에 금융 인력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여러 교육은 마련되어 있지만 은행이 사회공헌활동, 지속가능경영을 잘 하기 위한 교육은 전무한 상황) GCNS처럼 in-depth knowledge of sustainability 에 대한 컨설팅이나 교육이 필요하다.아울러 sustainability나 csr은 은행의 주요 사업/서비스가 아닌만큼 경영진에서 큰 관심을 두는 편은 아니다.(아마 한국 은행은 은행장 임기가 3년 정도로 다소 짧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보일 수 있는 성과에만 집중하는 편) 이에 지속가능경영은 top driven subject인 만큼 GCNS에서 진행하고 있는 CEO round table meeting을 통해 경영진들의 인식 변화를 주도하는 활동이 있으면 좋겠다.가령 국내 정부/언론 등도 무조건 숫자 중심(몇건의 행사를 했는지, 얼마를 썼는지) 보다는 어떠한 사회현상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다가 중요하다는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소셜스타터스(Social Starters) Allia Future Business Centre18-20 London LaneHackney, London E8 3PRwww.socialstarters.org 방문연수영국런던 □ 연수내용◇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등장한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은 1980년대 이후 유럽에서는 사회통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요한 정책수단이자, 비영리 민간부문의 발전 방향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조직 형태로 등장 했다.○ 최근 들어 사회 양극화가 화두가 된 한국사회에서도 종종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사회 양극화 해소의 방안으로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 사회적기업은 주로 정책 담당자들을 중심으로 소개되는 단계로 국민들이 느끼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사회적 경제를 자원부문(Voluntary sector) 개념으로 접근하는 영국○ 유럽에서 사용되는 사회적기업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사회적기업은 1980~90년대 이후에 등장한 매우 새로운 개념인 반면, 사회적 경제는 산업혁명 이후, 200여 년 동안 사용되었던 개념으로서 사회적기업의 이론적, 조직적 토양이 되어왔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경제의 새로운 활로, 변형된 형태로 여겨지기도 하며, 가끔은 분명한 구분이 없이 동일한 실체로 불리기도 한다.○ 사회적 경제는 △협동조합(cooperative) △상호공제조합 △민간단체(association) △재단(foundation)으로 구성된 비영리적인 경제조직 부문을 가리킨다. 비영리라는 의미는 경제활동을 하고 이익을 창출하지만 그 이익이 조직 소유자 및 자본 투자자에게 배타적으로 보상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 자체의 발전에 재투자되거나, 공익적인 목적에 쓰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 타 국가와 달리 영국은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보다는 자원부문 (voluntary sector)이라는 개념을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자원부문은 사회적 경제에서 포괄하는 조직뿐만 아니라, 자선 단체와 자조조직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목표를 기반으로 사회적기업 대상 컨설팅 제공○ 연수단이 네 번째로 방문한 소셜스타터스(Social Starters)에서는 공동 창립자 안드레아씨 그리고 런던에서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씨티매스(City Maas) 창립자 레나씨, 반조 로빈슨(Banjo Robinson) 창립자 케이트씨가 연수단을 반갑게 맞이해 주었다. 브리핑은 소셜스타터스, 씨티매스, 반조 로빈스 각 기업의 주요 활동에 대한 소개로 시작했다.▲ 소셜스타터스 공동창립자 안드레아씨[출처=브레인파크]○ 소셜스타터스는 지속 가능한 개발목표(SDGs)를 기반으로 난민ㆍ청소년ㆍ쓰레기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기업을 지원하는 컨설팅기관으로 사회적기업을 위한 △컨설팅 제공 △사회적기업의 설립 △웹사이트 설립 △파트너쉽 연결 △자금 전략 교육 등을 지원한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기술이전은 물론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예비 사회적 기업가를 위한 12주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4개 분야 6개국에서 소셜 스타터드를 통해 지원받은 기업가 및 사회적기업 : 201개• 사회적기업, 비영리 단체, NGO 등과 협력 구축 : 189개• 사회적기업을 위해 제공한 컨설팅 시간 : 10,893시간• 사회적기업 지원을 통해 창출한 사회적 가치 : $1,089,300▶ 소셜스타터스의 비즈니스 분야 주요 통계◇ 4단계로 구분되는 사회적기업 컨설팅 프로그램○ 소셜스타터스에서 사회적기업을 위해 제공하는 컨설팅 프로그램은 예비 사회적기업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사업 개발 △영업 △운영 △재무 등 분야로 구성되며 평균 3개월 기간 동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컨설팅 서비스는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9,600유로의 비용이 발생한다.○ 전략, 운영, 마케팅 분야 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에 의해 컨설팅 서비스가 제공되며, 프로그램은 4개의 단계로 나뉜다.1단계에서는 소셜 목표 및 과제 파악(1~3주), 2단계에서는 프로젝트 범위 정의 및 목표 달성을 위한 아이디어를 논의한다.(3~4주). 3단계에서는 지정 목표를 수행하는 기간이며,(4~8주) 핵심 쟁점 파악 및 피드백 4단계로 마무리 된다.(8~12주)▲ 2018년~2019년 소셜스타터스로부터 컨설팅을 받은 기업[출처=브레인파크]◇ 자원봉사자를 위한 해외 파견 프로그램 지원○ 위 내용에서 볼 수 있듯이 소셜스타터스는 사회적기업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자원봉사자를 위한 특별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이 자원봉사자는 비즈니스를 하는 전문가들이 자신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려는 예비 창업가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이들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소셜스타터스에서는 28세 이상의 자원봉사자를 선발하여 해외에 파견하고 해당 국가 사회적기업 및 기관에서 근무하도록 돕고 있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신청한 봉사자는 봉사자 매칭 서비스를 통해 각자에게 맞는 곳으로 배정되며 브랜드 전략, 비즈니스 개발 등 다양한 업무를 다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는다.▲ 리우데자네이루 지역신문에 난 봉사자[출처=브레인파크]○ 1년에 3번 봄, 여름, 가을 프로젝트를 통해 해외 봉사자를 파견하고 있으며 봉사자를 위한 교육을 함께 병행한다. 1인 신청비는 £ 980이다.○ 자원봉사자들이 돈을 지불하고 해외에서 인큐베이팅을 받는 서비스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곳에서 활동을 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일반 기업 출신이 대부분이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본인의 커리어를 바꾸거나 새로운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장애인의 거동을 지원하는 사회적기업 ‘씨티매스’○ 영국 씨티매스(City Mass)는 휠체어 사용자 뿐만 아니라 노약자, 유모차를 끌고 다니는 부모 등을 대상으로 어떤 조건에서도 쉽고 편하게 길을 갈 수 있도록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회적기업이다.▲ 씨티매스 창립자 레나씨의 브리핑 장면[출처=브레인파크]○ 씨티매스 창립자 레나씨는 전 세계 인구의 15%가 장애인으로 등록 되어 있고 고령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 등의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사회적기업 설립을 결심했다.무엇보다 씨티매스는 사회적기업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스스로 무언가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행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 봤을 때, 영국에서 1년 동안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원금은 250억 파운드에 달한다는 점에서 공공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으로 충분히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 씨티매스 어플리케이션 사용 방법[출처=브레인파크]◇ 어린아이의 글 공부와 상상력을 지원하는 사회적기업 ‘반조 로빈슨’○ 영국 반조 로빈슨(Banjo Robinson)은 4~8세 아동을 대상으로 글쓰기을 즐거움을 알려주기 위해 설립된 사회적기업이다. 서양에서는 보통 크리스마스나 특별한 날에 아이들이 편지를 쓰는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일상에서 손글씨로 편지를 쓰는 일이 없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창업을 하게 되었다. ▲ 반조 로빈슨 가상 고양이 캐릭터[출처=브레인파크]○ 따라서 가상 고양이 캐릭터를 활용하여 이메일이나 문자가 아닌 손편지를 주고 받는 시스템을 구축했고, 세계 여러 나라에 있는 가상 고양이 캐릭터에세 편지를 보내면 그 나라에서 편지를 다시 되돌려 주도록 했다.○ 통계 결과 이 서비스를 이용한 아이들의 90%가 만족했다고 응답했으며, 현재 반조 로빈슨사는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단계로 아이들이 외국어를 배울 때 그 나라 언어로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물론 반조 로빈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미 시작하고 있는 기업이 있지만 이곳에서는 개별화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들의 상상력을 제고한다는 부분에서 차별성을 추구하고 있다.최근 영국 웹사이트 ‘맘스넷’에서는 반조 로빈슨 서비스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으며 4일 만에 500명의 참여를 이끌면서 많은 인기를 끌기도 했다.○ 한 달에 편지 두 개를 받는 비용은 5.65파운드이고 종이를 베이스로하여 아이들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하고 있다. 또한 반조 로빈슨은 정부에서 글 공부가 어려운 아이들을 위한 1천만 파운드 자금을 제공했고 일부 정부 지원 자금으로 아이들을 돕기도 했다.□ 질의응답- 씨티매스에서 수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대중교통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택시를 부를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즉 대중교통과 택시와 같은 개별 교통수단 모두 지원한다."- 씨티매스에서 수익구조는."대중교통 티켓 예약시 발생하는 수수료와 사용자 데이터, 그리고 광고 수익으로 발생한다."- 반로 로빈슨의 캐릭터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서비스를 받는 아동들에 따라 캐릭터 목소리를 바꿀수 있으며 국가별로 다른 모양의 캐릭터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반로 로빈슨에서 4-8세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을 실제 한국에서 부모들이 해석하고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모국어가 영어가 아니기 때문에)"서비스를 제공 받는 아이의 환경이나 언어 사용 수준에 따라 조정된다."
-
2024-04-09□ 연수내용◇ 사회적기업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 ‘옥스퍼드셔주’○ 옥스포드셔주는 영국 잉글랜드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605km2, 인구는 65만4,800명(2014년 기준)이다. 옥스퍼드셔 주는 교육과 관광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모터스포츠 기업과 시설이 집중된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옥스퍼드셔 주의 가장 큰 도시는 옥스퍼드이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학인 옥스퍼드 대학교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옥스퍼드셔주는 2014년 영국사회적기업연합에서 첫 번째 '사회적기업을 위한 공간(Social Enterprise Place, 이하 SEP)'으로 선정한 지역으로 사회적기업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사회적기업연합이 지정한 26개 사회적기업 공간[출처=브레인파크]◇ 지역 차원에서 사회적기업 인식 증대를 위해 활동○ 옥스퍼드셔주와 같이, SEP로 인정을 받은 지역은 △지역 협의회 △기업 △자선 단체 △소비자 △예비 사회적기업가 등과 소통할 수 있는 네트워킹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지역들이 국가 혹은 지역 차원에서 사회적기업 인식 증대와 홍보 활동 관련 다양한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EP의 네트워킹 이벤트[출처=브레인파크]○ 사회적기업연합에서는 현재 26개 지역을 SEP로 인정하고 있으며 옥스퍼드셔주는 26개 가운데 제일 첫 번째로 인정받은 지역이기도 하다.따라서 옥스퍼드셔주는 영국 타 도시의 사회적기업이 지역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잘 보여주는 예로써 실업 문제부터 환경문제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SEP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연합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 신청은 마을, 도시, 자치구 등 지리적 영역 차원에서 가능하며 사회적기업이 활동하는 이해관계자그룹을 보유해야하며 다른 사회적기업을 위한 모범 사례를 적극 공유해야한다.◇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파트너십 구축○ 옥스퍼드 지역의 옥스퍼드 대학, 옥스퍼드브룩스대학, 학생허브(Students Hubs)가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쉽인 옥스퍼드셔 샤회적기업 파트너십(Oxfordshire Social Entrepreneurship Partnership,OSEP)을 2014년 설립했다.▲ OSEP 파트너십 운영 조직[출처=브레인파크]○ OSEP는 자금 지원, 컨설팅 등 '원 스톱 숍 (One Stop Shop)'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19년 3월에 공동체이익회사(Community Interest Company)로 법적 형태를 전환했다.OSEP는 옥스퍼드셔 지역사회와 옥스퍼드대학 그리고 옥스퍼드브룩스 대학 내의 활동을 연결하고 대학 자체에서 느끼는 사회적기업 지원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지방정부와 연결된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되었다.○ OSEP에서는 사회적기업가 혹은 혁신가를 지원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자금 조달 프로젝트를 2015년 실시했다.[표 1] OSEP 자금 지원 프로그램프로젝트명Try it AwardsDo it Awards지원 대상소규모 프로젝트 개발 초기 단계비즈니스 아이디어 보유 단계지원 금액최대 500 파운드최대 5,000 파운드특징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조사, 시장 조사, 파일럿 프로젝트 운영 지원대학의 후원으로 실시되며 학생, 교직원으로 제한됨◇ 사회적기업을 위한 네트워크 전문가 ‘그랜트 하워드 대표’○ 간담회 일정에서 연수단이 만난 그랜트하워드(Grant Hayward)씨는 옥스퍼드셔 지역에서 국가·지역 기업 간 네트워크를 조성하여 사회적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그는 현재 △Collaborent사의 대표 △OSEP의 이사 △OxLEP의 사회적기업 네트워킹 네비게이터 △ROBIN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30년간 개인 사업을 해왔었는데 2011년 옥스퍼드주로 이주하면서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했고 인생의 의미가 무엇인지,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갈까라는 고민에 자원 봉사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당시 그의 첫 번째 역할이 자선 단체(Charity)와 개인 사업(Business) 2가지 형태의 가교역할이었는데, 그 역할을 통해서 사회적기업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Collaborent라는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이 회사는 개인회사, 공공기관, 자선 단체, 사회적기업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부와 자선 단체에서 자금이 부족하여 어떻게 하면 자금을 만들것인가에, 반대로 기업에서는 소셜 임팩트 부분에서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자금이 부족한 정부와 자선 단체에서는 기업의 사회적공헌에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고 기업에서는 정부와 자선 단체에서 부족한 자금을 지원하여 중간 공통분모가 생기고 있기 때문에 그랜트씨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보면서 중간에 가교역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옥스퍼드셔주를 대표하여 다양한 네트워킹 행사 참여○ 그랜트 하워드씨는 영국사회적기업연합에서 지정한 SEP 지역 대표로써 다른 지역 대표와 일 년에 두 번씩 모여 네트워킹과 정보교환도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또한 작은 사회적기업 스타트업이 있으면 회사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자금을 받을 수 있게 노력하며 ‘Buy social’ 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기업 판매 상품을 홍보 하기도 한다.○ ‘Social Saturday’라는 일 년에 한 번 하는 행사에 참여하여 옥스퍼드셔주를 대표하여 참석하고 사회적기업에 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별화되는 비즈니스 구축을 위한 지원 실시○ 그랜트 하워드씨가 대표직을 맡고 있는 Collaborent사는 지역사회 내 기업, 기관,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통해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조직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기관은 차별화되는 비즈니스를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공 분야의 자금 조달과 지역 사회 수요에 대한 매칭 서비스 및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자선 단체와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요 제공 서비스는 △협력 컨설팅 △워크샵 및 트레이닝 지원 △보고서 발간 △네트워킹 개발 △사회적기업 가치 평가 등으로 볼 수 있다.○ OxLEP Oxfordshire Business Support는 옥스포드셔 경제적 성장을 주관하는 기관으로 사회적기업 외에도 옥스퍼드의 경제적 성장과 투자유치를 활성화하는 기관이다 그랜트 하워드씨는 OxLEP에서 사회적기업 부문 전문가로 네트워크 네비게이터로 활동 중이다.◇ 자금이 아닌 기술과 자원을 지원하는 이벤트 개최○ 그랜트 하워드씨가 이사직을 담당하고 있는 Responsible Oxfordshire Business Involvement Network(ROBIN)은 지역사회, 기업, 자선 단체 등의 네트워크로 △비즈니스 △자선 단체 △지역 사회 단체 △교육 기관 △공공 기관의 회원들은 분기 별 네트워킹 행사에서 서로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소식을 접하게 한다.○ 1년에 4회 정도 네트워킹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 이벤트는 투자기업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것이 아니라 기술과 자원을 지원받는 이벤트이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필요하지 않는 가구들을 자선 단체에 제공하고 있다.◇ 정부, 기업, 지역의 공통 분모를 찾아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 그랜트 하워드씨의 역할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옥스퍼드셔주 지역 이슈, 정부차원의 사회적기업 지원 목표, 사회적기업의 니즈를 파악하고 그들의 목표와 니즈가 만나는 공통분모를 찾아 협업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옥스퍼드셔주는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정부·지역사회·기업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최근 옥스퍼트셔주의 협업 사례로 지방정부의 자금으로 큰 쇼핑센터를 지었는데 쇼핑센터를 건설하도록 수주를 받은 회사는 쇼핑센터를 지을 때 지역사회의 사회적기업이나 자선 단체를 연결하여 수주받은 일정 부분을 지역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치도록 하기도 했다.○ 사회적가치법(Social value act)라는 강제조항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누구든지 영국에서 공공기관의 정책수행 과정에서 노동·환경·복지·윤리적 생산 등 사회적가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하는 법률안이다.□ 질의응답- ‘Buy social’ 캠페인의 대상은."영국사회적기업연합을 후원해주는 큰 기업뿐 아니라 모든 사기업들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하고 있다."- Social Enterprise Place 프로그램에서 지정받은 지역들은 어떤 이유로 지정을 받은 것인지."지역 파트너십 프로그램, 사회적기업 지원 프로그램, 사회적기업이 잘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지역이 인정받게 된다."- 지정받은 지역들에 대한 혜택은."옥스퍼드는 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기초가 되어 중앙정부에서 많은 투자를 받았고 사회적기업이 성장하기 좋은 지역이라고 지정되면 중앙정부에서 추가 펀딩까지 받게 되었다.OxLEP같은 경우 비즈니스, 병원, 자선 단체, 정부, 학교, 연구소와 서로 협업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함께 찾을 수 있는 파트너십 구축 선진사례로 인정받아 최근 40만 파운드 정도 입찰을 받을 예정이다. 40만 파운드는 사회적기업 지원 용도로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기업 활성화 보편화에 기여하는 회사의 대표직에 계시는데 같은 근무하는 직원들도 대표의 생각에 공감을 하고 있는지? 실제로 관련된 교육집행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의식에 대한 확산을 어떤 수단으로 하는지."Collaborent엔 직원이 한 명도 없다. Collaborent는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인 셈이다. Collaborent는 펀딩을 받는 경우 트레이닝 교육에 대부분 투자하고 있다."- CIO는 어떤 형태의 법적 구조를 가진 조직인지."CIO는 Charitable incorporated organisation로 이윤을 추구하는 자선 단체로 볼 수 있다."- CIO 자원지금이나 기부금을 받을 수 있는지."가능하다."- 대표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성공이란."궁극적으로 다른 조직이 사회정의 구현을 하면서 자체 자생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
□ 네트워킹에 기반한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 비즈니스 모델 개발◇ 자원부문(Voluntary sector) 개념이 보편적으로 적용된 영국○ 영국은 사회적기업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로 특히 공동체 주도의 지역개발, 사회적 금융 지원기구, 농촌형 사회적경제 기업 등이 활성화된 곳이다.○ 영국의 사회적기업에서 정부의 접근 방식도 10년 전보다 많이 변화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인큐베이터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사회적 투자에 대한 강조 및 사회적 임팩트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연수단이 방문한 영국은 유럽 타 국가와 달리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보다는 자원부문(voluntary sector)이라는 개념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자원부문은 사회적 경제에서 포괄하는 조직뿐만 아니라 자선 단체와 자조조직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연수단이 방문한 소셜스타터스의 브리핑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아닌 기업 스스로 사명감을 가지고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고 자원봉사자가 직접 시간과 비용을 지불하여 사회적 경제를 이해하고자 하는 능동적 자세를 쉽게 볼 수 있었다.○ 영국 사회적 경제 관련 기관 브리핑을 통해 한국의 비즈니스 커뮤니티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역 단위의 커뮤니티 활동 지원을 위한 전문가 양성 필요○ 연수단이 방문한 영국 옥스퍼드셔주의 경우 영국사회적기업연합으로부터 ‘사회적기업을 위한 지역’의 인증을 부여 받고 정부·지역 사회·기업 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커뮤니티비즈니스 사업은 단순 산업 육성이 아닌 지역 발전에 고민하고 사회적 경제를 지역사회를 살릴 하나의 잠재적 산업군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사회적 경제 기업의 성장(scale-up)을 위해 기술혁신과 사업화 역량을 지원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역 내 사회적 경제의 인지도, 사업성, 실행력 등 부분에서 제약을 가진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위한 지원이 중요하며 소도시 지역의 커뮤니티 활동지원과 기금, 금융 등 부족한 점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 전문가와 지원 그룹을 발굴하여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지역주민과 기업의 주도하는 커뮤니티비즈니스 구축◇ 지역 공동체 활성화는 지역주민의 주도로 이루어져야○ 브릭스톤 상인회는 1960년대 시작하여 지금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상인들과 상생하며 꾸준히 성장해 왔다. 마켓의 이익은 브릭스톤 지역에 환원하는 등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어 한국의 시장도 지역사회에 일자리 제공, 환원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국 해크니지역은 40년 전만 해도 실업률과 범죄 발생률이 높은 빈민가였으며 현재는 낡은 공간들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이 탄생하면서 도시재생의 모범 사례로 알려지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해크니 지역의 도시재생의 붐을 주도한 것은 지방정부 차원이 아닌 지역주민들이 주도로 이루어 진 것이 특징이다.○ 위 사례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커뮤니티비즈니스의 기반이 될 지역 공동체 활성화의 주도는 정부 차원이 아닌 지역주민의 주도로 이루질 때 진정한 의미와 지속가능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 한다.◇ 기업 스스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 영국과 한국의 사회적기업 선정 조건에 대해 비교해 보면 두 국가 간의 선정조건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사회적기업은 지원을 받기 위해 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 또는 인증 받는 경우가 많은데 영국의 경우 그들이 스스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사회적기업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다.○ 옥스퍼드목재재활용사의 경우에도 기업 스스로 변화를 선도함으로서 작은 변화를 만든다는 기치 아래에 유기적인 풀뿌리에서보다 정당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빈곤층,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직원으로 고용하여 차별에 의한 고용 불평등 해소와 지속 가능한 환경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기업 운영해나가는 사회적기업 설립이 아니라 사회적 가치 실현, 이윤창출 등 자생적 순환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 경제에 대한 시민의식 확대를 위한 홍보 방안 마련◇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민의식 개선 활동이 우선○ 영국의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었던 주요한 이유는 영국 국민들이 자선(charity)이라는 가치를 내재화하여 사회적기업을 설립하고 운영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기업, 사람에 대한 존중과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의식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따르면 영국에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도는 2009년만 해도 국민의 10% 정도였지만 현재는 약 50% 정도로 증가한 상황이다.○ 한국에서도 시민의식을 확대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시민의식 개선,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확대를 위한 보다 다양한 홍보, 캠페인 등의 활동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시민의식의 개선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경제 육성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자원봉사자 스스로 전문성 제고를 위해 노력○ 소셜스타터스는 사회적기업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자원봉사자를 위한 독특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곳에 속하는 자원봉사자는 비즈니스를 하는 전문가들이 자신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려는 예비 창업가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원봉사자들은 직접 비용을 지불하고 해외에서 인큐베이팅을 받는 서비스를 받기도 한다. 이에 대해 아마 일부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경우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은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소셜스타터스에서 활동을 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일반 기업 출신이 대부분이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본인의 커리어를 바꾸거나 새로운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 제고 활동이 우선이 되어야 하지만, 더욱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의식 제고를 위한 단순 홍보 활동을 넘어 기업과 시민 스스로 소셜 임팩트에 대한 고민을 할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사례는 사회적기업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네트워킹 하는 부분에서 참고할 만 할 것으로 보인다.□ 단계별 밸류체인 구축을 통한 비즈니스 커뮤니티 방향성 설정◇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다각화 측면에서 민간 기관 적극 활용○ 한국의 정부 차원에서 사회적기업을 인증하고 있지만 영국의 경우 민간조직의 차원에서 인증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곳의 멤버가 된다면 세재 혜택과 비즈니스 활동에서 이점을 볼 수 있으며 영국 사회적경제 연합 차원에서 이 기업들의 목소리를 담아 사회적기업이 성장하기 좋은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목소리를 정부로 전달하기도 한다.○ 한국과 달리 민간 기관 인증을 통한 멤버십 운영으로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다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부분에서 한국 사회적기업 인증 제도에 대한 고민과 방향성에 참고할 만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유연성 확대를 위한 사회적기업 특화 법인격 신설 필요○ 영국 해크니 협력개발 CIC는 한해 약 30개 기업의 자금 확보 및 각종 지원을 해주고 있으며 300~400여명의 서비스 대상자에게 취업지원, 영어교육을 제공하고 있다.2006년부터는 달스턴 지역의 중심인 질레트스퀘어의 활성화를 맡아 다양한 문화행사와 프로그램 기획을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에도 노력을 쏟고 있다.○ UBS 은행으로 단순하게 자금 지원을 받는 것에 그치지 않고 UBS 은행과 해크니 CIC 입주 사회적기업과 연관된 프로젝트를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즉 UBS 은행측에 해크니 CIC 입주 기업의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UBS 은행과 사회적기업이 직접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해크니 협력개발의 경우 단순 민간 사회적기업 지원 기관이 아닌 CIC의 형태로 공동체 이익에 기여를 해야하지만 지역 커뮤니티 전체에 이익이 되는 활동이라면 영리 활동을 할 수도 있다.○ 사회적 경제의 활성화라는 관점에서 전 사회적인 참여와 성장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유형에 대한 유연성을 확대하고 사회적기업에 특화된 법인격 신설과 운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실효성있는 지원 확산을 위한 밸류체인에 대한 고민 필요○ 영국사회적기업연합은 사회적기업 지원 중간 조직의 중요한 벤치마킹 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한국의 대부분의 자율조직은 정부 자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보니, 일부 업무의 제약이 있는 편이다.○ 한국 일부 기업은 사회적 경제 물품 확산 구매 업무에 있어 데이터 베이스 구축 부분에 많이 고려하고 있었는데 해크니 협력개발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보다 직원의 역량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킹 강활 활동에 집중하고 있는 것을 보았을 때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출발점이 아니라 소통이라는 수단이 먼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중간지원조직에서는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지원조직 입장에서의 밸류체인에 대한 고민을 통해 전체 지원 사업의 밸류체인의 방향성 설정에 대한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기업의 입장에서 필요한 부분을 정부에 전달하고 직면한 문제점을 가치 중심으로 호소하면서 자생적 사회 정의 구현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간지원조직의 중요한 역할로 볼 수 있다.□ 각 센터간 협업을 기반으로 소셜 임팩트 투자 지원◇ 장기적 관점에서 공익 목적의 사회적 투자 확대 추진○ 영국 정부가 사회적 투자 시장을 육성시킨 가장 대표적인 방안은 Big Society Capital을 출범시킨 것이다. Big Society Capital은 영국 사회적 투자 시장의 성장을 위해 정부가 만든 독립적인 금융기관이다.○ Big Society Capital의 자금 원천은 두 종류로 휴면예금 계좌를 통해 4억 파운드가 조성되었고 영국 4대 은행에서 사업초기 5년간 5000만 파운드를 투자받았다.○ 이 기관은 ‘사회적 투자 도매상’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에 직접 투자하지는 않지만, 사회적 대출기관 간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분야 고객의 다양하고 복잡한 수요를 파악한다. 또한 사회적 대출기관에게 지원과 정책조언을 실시한다.○ 섹터 간 협업이 시장 인프라와 전체 생태계를 조성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 투자’란 단순한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익적 목적의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소셜 임팩트에 대한 투자와 지원 기준 전환 필요○ 브리짓 벤처스는 다양한 전략을 통해 사회 및 환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솔루션에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보건·복지, 교육·기술, 지속가능한 삶, 열악한 시장 등 네 가지 영역에서의 솔루션을 지원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투자자 및 자산 소유자가 되기 위해 어떠한 결정에서든, 관련된 모든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고려한다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에 대한 학계의 논의가 정량적 측정에서 가치추구 그 자체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정부도 투자와 지원의 기준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견고한 네트워킹과 협력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 운영 추진◇ 금융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한 지원 자금 확보 고려○ 해크니 협력개발의 경우 지역 내 금융기관과의 연계로 재정지원을 일부 받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운영은 지방정부로부터 위탁받은 공간의 임대료로 충당하고 있어 자립적 경영구조를 달성하고 있다.○ 금융기관 연계 재정지원의 경우 은행의 CSR차원인 것으로 파악되나 한국의 경우에도 사회적 경제 특화 지원자금 등을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사회적 경제기업이 추구하고 실현하는 사회적 가치는 그 자체로 인정하고, 오히려 투자회수가능성과 장기적 성장 가능성 등을 중점적으로 봐야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기업도 기업가적 마인드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산·학·연의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네트워킹 구축○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본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주변 환경에 따라 많은 변화를 맞기도 한다. 따라서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한데 이를 전담하는 곳이 있다면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취득과 투자를 통한 성공적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제품, 좋은 비즈니스 모델이 있더라도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재원이 없다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문제점을 해결해줄 네트워크 시스템이 있다면 보다 많은 스타트업과 기업이 성공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한국에도 다양한 네트워크가 구축되도록 산·학·연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에서 아직은 사회적 경제 분야 문제 중 하나가 그들만의 리그 성격이 강하다. 일반 시민이나 사기업에서도 사회 공헌&사회 가치에 대한 중요성은 공감하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 창업기업 ROBIN사의 사례를 보더라도 한국의 사회적 경제 분야의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틀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해 보이며, 지역 사회, 기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섹터와의 교류가 사회적 경제 발전에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에 따르면 최신 기술의 활용도를 확장하는 양자 컴퓨터 프로젝트의 2단계에 총 $92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했다.더 많은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양자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추가 실험을 실행하기 위한 목적이다. 최적화 문제를 해결할 때 양자 정보 처리의 양적 이점을 입증할 수 있다.이 프로젝트는 조지아연구소(Georgia Tech Research Institute)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양자 컴퓨팅 시스템은 자기 트랩(magnetic trap)을 사용해 이온을 분리한다.페닝 트랩(Penning trap)이라고 하는 트래핑 프로세스는 자기장과 전기장의 조합을 사용하여 양자 작업을 수행하는 2차원 이온 결정을 제한한다. 트랩은 부피가 크고 극저온으로 냉각되는 초전도 자석 대신 희토류 금속을 사용한다. 연구원들은 이미 18개월 동안 시행착오를 격으면서 10큐비트 길이의 이온 체인을 만들었다.이와 같은 체인에 양자 시스템을 수천 개 더 추가하면 컴퓨터가 더 정확한 솔루션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지금까지 유망한 것으로 입증됐지만 연구원들은 어려운 기술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예를 들어, 양자 시스템이 복잡할수록 "노이즈"로 인한 상당한 오류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양자 시스템에서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최선의 경로를 매핑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더욱 더 향상된 양자 컴퓨터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2-04나이지리아 100% 디지털 보험 스타트업인 카사바(Casava)에 따르면 시드 라운드에서 아프리카 보험기술 회사로는 최대 규모인 US$ 400만달러를 모금했다.또한 국내 스타트업으로는 2번째로 큰 모금액이다. 이번 카사바의 시드 라운드는 독일 베를린 본사의 기업인 타겟 글로벌(Target Global)이 주도했다.엔젤 투자자들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벤처 투자자들이 참가했다. Entrée Capital, Oliver Jung, Tom Blomfield, Ed Robinson, Brandon Krieg 등이다.또한 이번 라운드에 참여한 국내 출신 투자자는 다음과 같다. Uche Pedro(BellaNaija), Babs Ogundeyi(Kuda), Musty Mustapha(Kuda), Shola Akinlade(Paystack), Olugbenga “GB” Agboola(Flutterwave), Honey Ogundeyi(Edukoya), Tosin Eniolorunda(TeamApt), Opeyemi Awoyemi(Moneymie) 등이다.카사바는 2019년 소액 보험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2021년 4월 정식 출시됐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일반 및 생명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2022년 2월 현재 기준 카사바는 1600만달러의 보험 혜택을 받고 있는 6만6000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카사바의 건강보험 상품은 가입자가 나이지리아 전역의 900개 병원뿐만 아니라 1000명 이상의 의사를 통해 원격의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카사바(Casava) 홈페이지
-
2022-01-08베트남 솔라나 기반 최초 전투 NFT 게임 스타봇(Starbots)에 따르면 최근 종료된 비공개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240만달러를 모금했다.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Impossible Finance, Defi Alliance, Solar Eco Fund, Parsiq, OKEx Blockdream Ventures, TomoChain, Game Studio, LuaVentures, Kyber Network, Solscan, Kyros Ventures, BigCoin Capital, Good Game Guilds, TK Ventures,Quadhorn Guild, Real Deal Guild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스타봇은 메타마스(MetaMars)의 창업자 엘론(Bored Elon), Impossible Finance의 핵심 설립자 캘빈 추(Calvin Chu), Calvin Chu의 핵심 공급자 윌리엄(William Robinson), TomoChain 창업자 롱 붱(Long Vuong) 등 영향력 있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스타봇은 배틀봇(Battebots)에서 영감을 받아 솔라나 기반으로 블록체인 자동 배틀봇 게임을 출시했다. 사용자는 새로운 로봇 부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거나 게임 내 전투를 위해 교체할 수 있으며 시장에서 팔 수도 있다.또한 스타봇은 예측할 수 없는 전투 결과로 인한 재미 요소도 가미돼 있다. DeFi Alliance의 Gaming Cohort에 포함된 10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시작했으며 암호화 게임 커뮤니티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스타봇(Starbots) 홈페이지
-
2021-07-13캐나다 드론개발업체 드론 딜리버리 캐나다(Drone Delivery Canada, 이하 DDC)에 따르면 에드먼턴국제공항(EIA)에서 배송용 드론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이번 실험은 다양한 형태의 드론 배송과 비가시권(BLVOS) 원격 조종을 테스트하기 위한 목적이다. DDC는 제원이 각기 다른 3대의 드론을 모두 투입해 효용성을 평가할 계획이다.DDC는 에드먼턴 국제공항은 물론 물류업체 애플 익스프레스 커리어(Apple Express Courier) 및 징 파이널 마일(Ziing Final Mile)과 파트너쉽을 체결했다. 물류업체의 경우 기존 물류망을 활용하기 위함이다.테스트에 투입될 드론은 스패로우(Sparrow), 로빈(Robin), 콘돌(Condor)이다. 비행거리부터 적재용량까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실험 후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스패로우는 비행거리 30km에 적재용량은 4.5kg으로 소형 드론에 속한다. 로빈은 60km까지 비행 가능하며 11.3kg의 물건을 실을 수 있다.콘돌은 DDC에서 가장 큰 배송용 드론으로 200km 거리를 이동하며 최대 180kg을 적재할 수 있다. 배송 경로는 미정이지만 앨버타 내에서 이뤄질 예정이다.현재 비행경로를 에드먼턴 국제공항에서 니스쿠의 한 지점으로 프로그래밍하고 있다. 배송 모니터링은 온타리오주 반에 소재한 DDC의 통제센터에서 수행된다.▲드론 딜리버리 캐나다의 배송용 드론 로빈(출처 : 홈페이지)
-
2021-04-10미국 핀테크 스타트업인 플레이드(Plaid)에 따르면 비자카드(Visa Card)로의 매각이 무산된 이후 투자자들은 1차 모금에서 기업가치를 US$ 134억달러로 평가했다. 새로 조성된 자본금을 포함한 플레이드의 기업가치 평가액은 49억달러의 거의 3배로 증가한 것이다.상기 49억달러는 비자카드가 2020년 1월 플레이드 인수를 위해 지불하기로 합의한 현금 구매가격이다. 이번 플레이드의 기업가치 급증은 투자자들이 기업들의 데이터 및 재무 관계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인프라 소프트웨어 제공업체를 절실하게 필요로 해왔는지 보여준다. 플레이드는 Robinhood, Venmo와 같은 핀테크 그룹이 고객은행 계좌에 연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 2020년 11월 법무부(DoJ)는 양사의 거래가 온라인 직불 결제에서 독점권 경쟁 위협이 제거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2021년 1월 양사는 복잡한 소송 가능성으로 인해 계약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플레이드(Plaid) 홈페이지
-
캐나다 드론배송업체인 드론 딜리버리 캐나다(Drone Delivery Canada)에 따르면 화물운송업체인 오버씨 익스프레스 콘솔리데이터(Overseas Express Consolidators)와 2020년 12월 9일부터 구속력이 없는 의향서(Letter of Intent)를 제안했다.의향서의 조건에 따라 양사는 구속력있는 최종 계약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계약을 통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모델에서 드론딜리버리캐나다의 드론, 특허 및 독점 FLYTE 시스템을 사용하는 회사의 드론 배송 솔루션에 관한 약관을 설정하게 된다.드론에는 Sparrow, Robin XL 및 Condor 드론이 포함된다. 드론 딜리버리 캐나다는 운영 제어 센터에서 시스템, 교육, 기술 지원, 지속적인 관리 서비스 및 원격 모니터링의 구현 및 시운전을 제공할 예정이다.센터는 온타리오주 본(Vaughan, Ontario)에 위치한다. 양사는 캐나다 전역의 원주민 커뮤니티, 항구, 공항을 연결하는 거래 경로와 같은 프로젝트를 기대하고 있다.모든 작업은 항공 규정(Canadian Aviation Regulations) 및 교통부 비행 허가(Transport Canada flight authorizations)에 따라 수행될 예정이다.▲ Canada-DroneDeliveryCanada-Drone▲ 드론딜리버리캐나다(Drone Delivery Canad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