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
" Philippine"으로 검색하여,
4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3-25필리핀 유니버설 은행인 유니온 은행(UnionBank of the Philippines Inc)에 따르면 전기통신 제공기업인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Inc)과 개인정보 공유 계약을 체결했다. 금융 고객을 노리는 사기꾼 검거 조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사기 사건 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성명,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통신사와 은행이 서로 교환하는 것은 법으로 허용된다. 계약에 따라 양사는 사기꾼 용의자의 전화번호, 이름, 주소 등을 포함한 세부 사항을 공유하게 된다. 선불된 전화번호로 신변을 숨기는 사기 용의자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약속하는 스펨 메일이 급증했다. 의심되는 사람의 정보를 분석해 초기에 사기꾼을 검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니온 은행(UnionBank of the Philippines Inc) 로고
-
2022-02-24필리핀 농업부(DA) 연계 연구소인 PhilMech(Philippine Center for Postharvest Development and Mechanization)에 따르면 2022년 내에 유동층건조기 개발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2개의 프로토타입은 현재 테스트를 통해 평가하고 수정하고 있다. 점차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 국내 농가들의 껍질을 벗기지 않은 벼의 일정한 수분 함유량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다. 대부분의 농가들이 도로에서 건조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우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현재 연구하고 있는 프로토타입은 건조 수용량을 늘렸으므로 상업화되면 국내 농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벼의 수분 함유량은 품질을 좌우하며 이상적인 수분 함유량은 14%로 조사됐다. 해당 연구소는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0년부터 유동층건조기 기술 향상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PhilMech(Philippine Center for Postharvest Development and Mechanization) 로고
-
필리핀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온라인 금융플랫폼기업인 인베스트리(Investree Philippines Inc)에게 영구 크라우드펀딩을 승인했다. 기업 운영을 재고한 결과 펀딩 포털로서 영구적으로 운영하며 크라우드펀딩의 중재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인정한 것이다. 국내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촉구하고 중소기업들에게 다양한 펀드 유치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사는 2021년 1월 7일 임시 승인을 받았다. 필리핀증권거래위원회에서 처음으로 승인해준 크라우드펀딩 중개 및 펀딩 포털이다. ▲인베스트리(Investree Philippines Inc) 로고
-
2019-09-03필리핀 무역산업부(DTI)에 따르면 인도 힌두자그룹(Hinduja Group)이 국내에서 버스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파트너를 찾고 있다.힌두자그룹은 자동차, 오일과 가스, 부동산, 전력, 헬스케어, 무역, 정보기술, 미디어, 은행 등을 소유하고 있는 복합기업이다. 세계 4위 버스제조업체인 Ashok Leyland도 소유하고 있다.현재 필리핀에서 IT-BPO기업인 Hinduja Global Solutions Philippines를 경영하고 있다. 고용인원만 9000명에 달한다.정부의 공공자동차현대화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기 위한 목적이다. 두테르테 정부가 오래된 버스를 새롭고 환경친화적인 버스로 교체하는 정책이다.참고로 정부의 추산에 따르면 국내에 10만대 이상의 차량을 교체해야할 것으로 전망된다. 버스 외에도 지프니와 전기자동차로 필요하다.▲무역산업부(DTI) 빌딩(출처 : 홈페이지)
-
2019-06-25필리핀 국영항공회사인 PAL(PHILIPPINE Airlines)에 따르면 유럽과 북아메리카 장거리 노선을 대폭 줄일 계획이다. 승객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다.필리핀-유럽 노선은 중동과 다른 아시아 국가의 항공사들과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장거리 여객기로 에어버스의 A350-900 6대, 보잉의 777-300ER 10대를 운용하고 있다.이들 항공기는 런던, 로스 앤젤레스, 뉴욕, 샌 프란시스코, 토론토, 벤쿠버 등으로 취항하고 있다. 2013년 론칭한 마닐라-런던 노선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현재 오래된 보잉 777-300ER을 대신해 에어버스 A350이나 보잉 777X를 주문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현재 777-300ER 10대를 리스로 운용하고 있는데 2022년부터 2025년까지 계약기간이 종료된다.▲PAL(PHILIPPINE Airlines) 항공기(출처 : 홈페이지)
-
2019-03-04필핀 국영항공사인 PAL(Philippine Airlines)에 따르면 새로운 항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US 6억5000만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다. 장거리와 단거리 노선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다.새로 도입하는 항공기는 에어버스 350 2대, A321 Neo 2대, Q400 2대 등 총 6대에 달한다. 현재 95대의 항공기를 운항하고 있는데 평균 수명은 5년이내로 짧은 편이다.일본 ANA항공의 모회사인 ANA HD는 PAL Holdings의 지분 9.5%를 인수하는데 9500만달러를 투자했다. PAL Holdings는 PAL의 모회사로 외국인 지분율은 기존 8.77%에서 18.27%로 상향됐다.참고로 PAL Holdings는 2018년 1~9월 순손실액 현재 P32.9억페소를 기록해 전년도 23.1억페소에 비해 확대됐다. 2018년 비용이 1153억페소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 것이 주요인이다.▲PAL(Philippine Airlines) 승무원(출처 :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차량배차서비스업체인 고젝(Go-Jek)에 따르면 필리핀 핀테크업체인 코인스(Coins.ph)를 $US 7200만달러에 인수했다. 필리핀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코인스의 고객은 500만명에 달하며 각종 지불결제를 위한 모바일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 경영진은 인수와 관계없이 경영을 책임지는 것으로 합의했다.코인스는 이전에 10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또한 Naspers, Global Brain, Wavemaker, Beenext, Pantera Capital 등의 금융기관과 협업 중이다.2018년 인도네시아에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한 이후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랩은 코인스의 결제시스템을 활용해 지불편의를 도모할 방침이다. ▲고젝(Go-Jek) 서비스 소개(출처 : 홈페이지)
-
2018-10-26필리핀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에 따르면 2017년 기준 200만가구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가구의 약 10에 해당된다.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가구의 4분의 3은 외진 시골지역에 위치해 있다. 필리핀은 수천개의 섬으로 이뤄져 있어 전력공급을 위한 설비를 모두 갖추기 어렵다.국가전력공사(NPC)는 2022년까지 모든 가정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소형 발전소를 건설해 운영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327개의 소형발전소가 건설됐다.하지만 소형발전소 중 1개를 제외한 모든 발전소가 연료로 디젤을 사용하고 있다. 외진 지역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디젤은 가장 빠르고 현재의 기술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지역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또한 가장 저렴한 연료로 꼽히고 있다.▲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와 이스라엘 조인식(출처 : 홈페이지)
-
2018-10-24필리핀 NGO인 세이브드칠드런(Save the Children Philippines)에 따르면 내전이 진행 중인 말라위 학령아동들을 이동시키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프로젝트 명칭은 'Balik-Marawi, Balik Eskwela'로 명명됐으며 관련 예산은 P 190만페소이다. 2018년 10월부터 시작해 2019년 2월까지 관련 프로젝트가 수행된다.배정된 예산으로 교사 책상, 학생들 책상, 교사의 교재 등을 구입할 예정이다. 학교에 등교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아동은 1000명에 달한다.내전으로 8만6000명의 학생들이 정상적인 수업에 참가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수백가구의 난민이 텐트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아이들은 학교를 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세이브드칠드런(Save the Children Philippines)의 말라위 구호요청 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조선업체 오스탈(Austal)에 따르면 필리핀 해군을 위한 6척의 근해 순찰선 건조계약을 위해 필리핀 정부와 협의 중이다.오스탈(Austal)은 최근 해안경비대와 왕립오스트레일리아해군 등을 위해 건조한 조타성이 뛰어난 케이프(Cape)급 순찰선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을 제출했다.이번 필리핀 해군에 제출된 디자인은 오스탈의 케이프급 선박보다 더 크고 성능이 뛰어난 변형 디자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계약이 체결되면 필리핀에 위치한 조선소에서 함정을 건립할 계획이다. 필리핀의 세부에 조선소를 세울 방침으로 양국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현재까지 오스탈(Austal)은 10척의 케이프(Cape)급 순찰선을 건조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헬리콥터 착륙장을 보유하고, 새로운 항해시스템 장비도 장착할 예정이다.▲오스탈(Austal) 로고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