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운전편리성"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레드닷 로보틱스(RED DOT ROBOTICS) 79 Ayer Rajah Crescent #01-14 JTC Launchpad@One-North Singapore (139955)info@reddotrobotics.com+65 9858-9214 현장학습싱가포르 □ 현장학습 내용◇ 물류 이동 자동화를 위한 로봇 개발○ Blk71 입주기업 레드닷 로보틱스(RED DOT ROBOTICS)는 일상 업무 혹은 운전 편리성 증대를 위한 자동화 자율 소프트웨어 기반 중앙 제어 로봇 개발업체로 엔지니어링 분야의 혁신과 제조 분야의 물류 이동 자동화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적극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레드닷 로보틱스의 대표적인 모델은 상품 운반용과 실외 운반을 위한 실내 내비게이션 역할용 자율 로봇이다.▲ 레드닷 로보틱스의 대표 개발 제품[출처=브레인파크]○ 레드닷 로보틱스에서 연구·개발로 탄생한 대표적인 제품라인은 TELEOP ROBOT, AUTONOMOUS ROBOT, AUTONOMOUS CONVERSION으로 총 3가지로 분류된다.현재 제품 판매 단계까지는 아니지만 2017년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된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레드닷 로보틱스의 모델이 소개되기도 했다.○ 창업가인 조셉 루(Joseph Lew)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등 IT 분야에서 9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IT 학위 과정 파트 타임 강사로 4년간 활동한 경험도 있다.웨어러블 전자 기기, 빅 데이터 분석,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국가 플랫폼, 자율 주행 차량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의 미래형 정보 통신 기술 연구 개발을 위한 6년간 연구 활동을 해왔다. 조셉 대표는 레드닷 로보틱스의 창업가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이러한 다양한 경험이라고 전했다.◇ 창이공항 Terminal 3에서 시범 운행 중○ 레드닷 로보틱스의 일부 연구개발 중인 제품 가운데 일부는 실제 현장에서 물건을 옮기는 자동화 로봇이 적용·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현재 싱가포르 창이공항 Terminal3에서 제품을 옮기는 용도로 레드닷 로보틱스의 제품이 도입되어 있다.현재 2톤 정도 무게를 수용할 수 있으며 10Km정도 속도로 운행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서 더 많은 용량을 수용하고 빠른 속력으로 운행 가능하도록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
숍백(ShopBack) 77 Ayer Rajah Crescent,#03-23 Singapore 139954Tel : +65 9068 3396camille@shopback.comwww.shopback .sg 현장학습싱가포르 □ 현장학습 내용◇ NUS Enterprise 지원으로 성장한 ShopBack○ 숍백(ShopBack)은 스마트 온라인 쇼핑 경험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온라인 구매자에게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구입할 때 현금과 할인 쿠폰 및 쿠폰 코드를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기반 전자 상거래 서비스 제공업체이다.▲ Blk71 입주기업 SHOPBACK[출처=브레인파크]○ 아시아에서는 독특한 서비스이지만 서구에서는 이미 잘 알려진 개념이며 2014년 Henry Chan, Bryan Chua, Derrick Goh, Joel Leong, Lai Shanru 및 Samantha Soh 6인이 공동 창립하였으며 NUS Enterprise의 지원을 받았다.ShopBack은 Taobao, Expedia, Lazada, Groupon 등과 같은 1300여 가맹점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최상의 거래 및 현금 환급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모든 쇼핑 요구 사항에 대해 원 스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특히 Henry의 경우 철저한 자본 전략과 해외시장 진출 계획 그리고 팀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똑똑한 쇼핑 커뮤니티 구현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 현재 ShopBack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대만, 태국 등 6개국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OCBC 은행, EZ-링크, 글로브 텔레콤, AirAsia 등 다양한 국제 및 지역기구와 협력을 구축하고 있다.◇ ‘스택형’ 접근 방식을 통한 차별화 전략 추진○ 2014년 숍백은 Accel-X 및 기타 투자자로부터 5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하면서 회사 규모를 확장하고 지역별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었다.캐시백 모델은 기존 할인이나 신용 카드 리베이트가 아닌 현금으로 환불받는 '스택형'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에게 더 많은 비용 절감 혜택을 제공하여 타 온라인 그룹 구매 사이트와의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현재 숍백 홈페이지에서는 300개가 넘는 브랜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Shopback의 마케팅 이사 Lai Shanru는 동남아지역에서 생소한 Cashback 서비스를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안했고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했다.2014년 출시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 상거래 현금 서비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현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및 대만에 지사를 설립했다.◇ NUS Overseas College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성장○ ShopBack 창업을 위하여 최초 헨리 챈(Henry Chan)과 조엘 롱(Joel Leong)의 노력이 있었다. 그들은 싱가포르국립대학에 재학하면서 NUS Overseas Colleges 프로그램을 참가하면서 창업을 위한 기반을 쌓아왔다.Henry Chan의 경우 미국 필라델피아의 IT 스타트업을 경험을 통해 코넬대와 펜실베이니아대 같은 미국 명문 공대 졸업생들과 아이디어와 기술에 고민하고 그들과 함께 일하면서 창업자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한다.▲ 창업가 Henry(왼쪽)와 Joel(오른쪽)[출처=브레인파크]○ ShopBack의 창업가들은 4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웹사이트 제작부터 오픈까지 성공해내며 빠른 사업 추진력을 보여주었다.이러한 급속한 성장 환경에서도 고객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사용자의 피드백과 경험을 적극 수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다는 점이 이 기업의 또 다른 성장기반으로 볼 수 있다.◇ 커뮤니티 활용을 통한 브랜딩 효과 창출○ 또한 Blk71 내 창업기업과의 커뮤니티를 통하여 Blk71 내 창업기업인 Carosell과 협력을 통한 브랜딩 입소문, 고객 의견 파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브랜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제품 판매도 중요하지만 초기 브랜딩 작업에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 장기적인 매출 증진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창업자들은 목표 달성에 대해 고민하고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중요한 사람이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은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무진이라고 강조했다.직원의 위치나 직급과 상관없이 모두 중요한 사람이고 조금 더 나은 미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