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오토바이 택시"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22◇ 우버의 베트남 현지 진출 전략을 통해 본 현지화의 중요성○ 공유 경제의 상징이자 세계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스타트업인 우버(Uber)(①)는 스마트폰 기반 교통 서비스를 2010년부터 제공하기 시작 하여 현재 전 세계 100개 이상의 도시에서 이용되고 있다. 베트남에도 2014년(②) 진출 하였으며 다른 국가에서 그러하듯 택시를 기본으로 먼저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① 2009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된 운송 네트워크 회사이다. 자사 소속의 차량이나 공유된 차량을 승객과 중계하여 승객이 이용 요금을 지불하며, 그 회사에서 수수료 이익을 얻는 라이드 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한다.2014년 6월 기준 전 세계 100개 도시 이상에서 서비스 중이며. 국내에는 2013년에 진출하였다. 최근에는 우버이츠라는 음식배달서비스와 화물배달서비스인 우버프레잇으로 사업을 확장중이며 자율주행차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② 우버 (Uber)에 따르면 하노이 시 와 호치민시의 2 대도시에서 우버을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의 수는 2016 년 2 분기에만 30 만 명을 넘어 섰다 한다.우버는 2014 년 7 월 베트남 시장에 본격 진출하고 최근 2 주년을 맞이하였고 . 회사는 데이터 분석 및 지도의 개선 등에 주력하고 2 개 도시에서 이용자의 평균대기 시간을 4 분미만으로 단축했다. 10 분 이내의 대기 시간으로 승차 할 수 있는 비율은 호치민시에서 92 %, 하노이 시에서는 94 %에 달하고 있다.○ 우버는 베트남에서 이용자들에게 △기존 택시의 요금보다 저렴하거나 △기사의 신뢰도 및 안전 그리고 △어디서나 손쉽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 등에 있어 각광 받고 있다.베트남 내에서 스마트폰 보급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에 우버와 같은 편리한 택시 호출 어플리케이션 이용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기본적으로 베트남은 개발도상국(Developing Country)으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빈부격차가 극심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 이에 높은 관세율로 초기 구입비용이 높은 차량보다 차선책으로 오토바이를 더 많이 이용한다. 여기에는 △대중교통 수단과 시스템의 불편함 △미흡한 도로 시설 등의 원인도 같이 손꼽힌다.○ 베트남의 경제 성장세와 정부 차원의 자동차산업 육성 노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베트남에서 자가 자동차 이용률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을 갖게 하나 현지 언론과 연구소에서는 출근이나 간단한 이동 시에는 ‘속도’와 ‘편리성’이 더 높은 오토바이를 계속해서 더 애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게다가 현재 하노이와 호치민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자동차와 오토바이가 뒤섞여 도로의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있기에 한 대의 오토바이가 도로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더 작다는 점은 현지 전망을 뒷받침 해준다.○ 베트남 현지에서 B2C(Business to Consumer)(③)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들은 이러한 베트남 국민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변형하거나 접목시켜 수익을 증대시키고 있다.2008년에 호치민시에 진출한 롯데마트 1호점과 2015년에 호치민시에 진출한 Emart는 마트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오토바이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했는데 이는 베트남 로컬 마트인 Big C나 Co.op Mart 같은 대형 마트와 차별되는 서비스로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주었다. ③ B2C(Business to Consumer)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를 일컫는 말로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를 나타내는 B2B(Business to Business)와 대비되어 사용된다.○ 우버는 다른 국가와 달리 베트남에서 다른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 택시 회사들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만과 특히 베트남을 많이 찾는 관광객들이 토로하는 불법 택시들에 대한 피해로 온 반사 이익이 우버와 같은 택시 호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을 증가시켰다면 베트남에서 차량보다 많이 이용되는 오토바이를 우버에 접목시킨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버가 제공하고 있는 오토바이 서비스가 베트남 국민들의 큰 관심과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것에는 베트남에서 오토바이 이용률이 차량 이용률 보다 높다는 이유에서 끝나지 않는다.기존 오토바이 택시 시장을 장악하던 ‘쎄옴’이 △미터기가 없고 △정찰제가 아니라 바가지를 쓸 수 있다는 점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는 등의 단점을 파고들어 베트남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여기에는 기존 차량을 통한 서비스로 먼저 진출하여 베트남 국민들에게 구축한 서비스가 큰 신뢰도를 구축한 것으로 판단된다.○ 베트남은 오토바이 운전자의 편의와 이동경로를 따라 상업과 소비문화가 발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현지 소비자들 대부분이 오토바이 운전자이기에 이들을 배려한 시설물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우버와 같이 베트남 국민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오토바이 운전자를 이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국내 기업의 베트남 진출에 있어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 된다.◇ 변화하는 베트남의 소비 트렌드를 쫓아가야○ KOTRA를 비롯한 국내의 기관 및 각 연구소들은 베트남 시장이 높은 경제 성장률(④)과 FDI(⑤)의 증대로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가 경제 규모의 성장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소득 수준 또한 증가하고 있다.2008년 1,000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알려진 베트남 1인당 국민소득은 2014년 2,000달러 돌파를 보였다.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인구의 소득이 높은데 호치민시의 경우 2016년 1인당 GDP는 5,500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발표 되었다. ④ KOTRA에 따르면(2017 베트남 진출전략) 베트남은 다른 동남아 국가들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2015년에 지난 8년 중 최고치인 6.7%의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 ⑤FDI(Foreign Direct investment)란 외국인 직접투자를 나타내는 말로 외국인이 경영참가와 기술 제휴 등 진출국 기업과 지속적인 경제관계를 수립할 목적으로 진출 기업의 주식 또는 지분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경제 성장 뿐 아니라 인구 성장 역시 많은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 희망을 자극하는 계기로 분석된다. 현재 베트남 인구는 9천 2백만 명으로 세계에서 1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며 2025년경에는 1억 명을 돌파 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35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3을 차지 한다는 점과 이 세대가 소비 성향이 높다는 점은 장차 베트남에 진출하려는 국내 기업들에게 소비자 타깃 설정에 있어 주요 참고 값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득 수준이 증가한 중산층 소비자 비율의 증가도 베트남 소비 트렌드 변화의 한 축이다. 가계 소득 증가로 인해 소비자들은 이 전에는 구매하지 않았던 제품군에도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베트남 내 유통 마트들의 증가는 기존 소비자들이 전통적으로 많이 이용한 시장과는 다른 제품, 특히 ‘안전’과 ‘내구성’ 이라는 키워드를 강조하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젊은 층의 인구가 전체 인구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이들이 스마트폰을 적극 활용하는 세대라는 점을 깊이 들여다봐야 한다. 베트남 진출 시 적절한 가격을 바탕으로 ‘가성비’ 라는 품목에서 소비자들의 높은 평가를 받는다면,이를 SNS(⑥)를 통해 홍보 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극대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상품의 품질에 가치를 두기 시작한 소비 성향 변화에 따라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한 소비 결정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⑥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SNS는 페이스북으로 지인들을 연결해 주는 가장 효율적인 인터넷 공간이며 페이스북 이용자들은 지인들의 관심이 높은 기업, 상품, 문화에 대한 정보 공유는 전문가들의 일반 매체를 통한 추천보다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 트렌드 분석을 위해서는 베트남 국민들의 현금 소비 선호도 살펴 볼 수 있다. 베트남 현지 소비자들은 현금 사용을 은행카드(신용카드, 직불카드)나 수표 사용보다 더욱 명확하고 손쉬운 결제수단으로 여기고 있다.이에 베트남 정부는 전자화폐 결제 방식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은행들에서도 은행카드 고객 유치 경쟁으로 진행한 프로모션들로 보급률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베트남 정부의 전자화폐 결제 방식 보급 추진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국민들은 △익숙한 현금 결제 습관 △POS 등의 전자 결제 인프라 부족 △금융 보안성에 대한 불신 등을 이유로 압도적인 현금 사용을 보이고 있다.15세 이상 은행 계좌 보유 인구가 40%가 안 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베트남전자상거래정보기술원(VECITA)에 따르면 온라인 결제에 있어서도 80%가 넘게 전자결제 방식이 아닌 COD(Cash On Delivery)(⑧)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⑧ 판매자가 상품을 선적한 후 상품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구매자가 상품을 인도받으며 확인한 뒤, 대금을 결제하는 무역 대금 결제 방식으로 구매자의 입장에서 미리 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직접 상품을 확인 후 값을 치를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시스템으로 베트남 전자 상거래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차원에서는 세계적 추세인 전자금융을 주요 지급 수단으로 활성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35세 인구가 많다는 사실과 스마트폰 보급률의 향상은 이러한 정부의 숙원이 가능 할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베트남 정부는 전자금융의 도입을 통해 관련 산업인 핀테크(⑧) 산업의 발전 촉진 또한 계획 중 이다. ⑧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금융서비스의 변화로는 모바일, SNS, 빅 데이터 등 새로운 IT기술 등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기반 금융서비스 혁신이 대표적이다.최근 사례는 모바일뱅킹과 앱카드 등이 있다. 산업의 변화로는 혁신적 비금융기업이 보유 기술을 활용하여 지급결제와 같은 금융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현상이 있는데 삼성페이, 알리페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베트남 정부의 전자상거래 개발 마스터플랜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국민들의 현금 선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스마트폰을 활용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상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베트남 정부의 정책 동향에 따라 상품 판매 전략을 세운다면 변화하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트렌드를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 베트남 진출 시 CSR의 중요성○ FDI를 통해 해외시장에 진입 시 성패를 좌우하는 변수로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⑨) 활동을 꼽는다. CSR 활동은 시장 진입의 문턱을 낮추는 것 뿐 아니라 기업 이미지 제고를 통해 지속가능 경영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CSR은 개발도상국에서 강조되고 있다 국제사회의 요구 그리고 2010년 ISO 26000 제정(⑩) 등의 추세에 따라 개도국에서의 다국적기업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⑨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이란, 기업이 생산 및 영업활동을 하면서 환경경영, 윤리경영, 사회공헌과 노동자를 비롯한 지역사회 등 사회 전체에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며, 그에 따라 의사 결정 및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⑩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을 비롯하여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조직들에게 관련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고려하고 법을 준수하는 투명하고 윤리적인 행동을 포함하는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국제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는 세계 각국의 정부, 산업계, 노동계, 소비자, NGO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룹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사회책임 실무그룹(WGSR)을 구성하여 5년여에 걸친 개발 작업 끝에 2010년 11월에 사회책임에 관한 가장 포괄적인 국제규범인 ISO 26000을 제정, 공표하였다.ISO 26000은 성격이나 규모에 상관없이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들이 이행하여야 할 사회책임(SR)에 대한 이해와 원칙은 물론이고 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보호, 지역사회발전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사회책임(SR)의 세부적인 내용과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 정부는 언론을 통해 CSR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업을 선정하여 표창(Vietnam CSR Award,Business for the Community Award) 하고 있으며 세금감면과 같은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공공사업 파트너를 선정할 때에도 다국적기업의 CSR을 평가하고 이를 적극 반영하기 시작하였으며, CSR 성과보고서나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하는 현지기업들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AC닐슨이 2014년 실시한 ‘CSR에 대한 글로벌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내 CSR 관심도는 동남아 2위, 세계 3위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경제규모나 1인당 국민소득 수준과 별개로 CSR에 대한 현지 인식은 선진국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베트남 내에서 CSR 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일수록 기업 브랜드와 이미지 개선에 있어서는 분명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베트남 내에서 높은 CSR에 대한 관심은 전통 문화의 공동체 사회 속에서 형성된 관계에 대한 강한 책임감이 공산주의 사회를 거치며 ‘가정→지역사회→국가’로 이어지는 사회적 책임감으로 발전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체의 이익을 중요시하기에 지역사회와 기업의 유대 관계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고 이러한 행위가 △베트남 소비자 및 근로자의 권익보호 △환경 보호 △지역사회 문제 해결 등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또한 여기에는 개발도상국으로서 한정된 예산으로 국가를 발전시켜야하는 베트남 정부 차원의 CSR 장려도 포함된다.베트남 정부는 외자기업들의 경제 활동에 관해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외국기업의 자국 내 부정적 영업행위에 대한 경계심이 높기에 외국기업과 베트남 사회와의 ‘융합도’를 기업의 사회적 역할 수행으로 평가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기업의 ‘사회융합도’를 높이는 CSR의 중요성이 앞으로도 계속 부각될 전망이 가운데 국내 많은 기업들도 베트남 진출 전 혹은 진출 후 다양한 CSR 활동을 베트남 내에서 벌이고 있다.하노이, 호치민, 다낭 등 베트남 전역 각지에서 정치, 사회적 이슈와 지역사회 발전에 맞게 제공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국’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경제 성장의 동반자’로 바꾸기 위한 노력들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베트남 내에서 CSR 활동 시 국내 기업들이 지양해야 하는 모습은 현재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단순한 기업의 지역 사회 봉사활동 혹은 자선 활동에 국한되는 것이다.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CSR 활동을 넘어 사회공익 확산과 기업 이익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하는 시점이다.○ 시장 개방 이후 시장경제 내에서 베트남 사회의 빈부격차와 지역 간 격차는 앞서 발전을 한 국가들의 뒤를 쫓는 중이다. 이에 따른 사회 갈등의 예방 차원에서 베트남 정부와 국민들은 기업의 CSR 활동을 기대하고 장려하고 있다.따라서 기업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발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회적 관념에 따라 베트남 진출시 CSR전략 수립은 필수 불가결요소로 판단된다.
-
□ 협의회 운영 활성화를 위한 운영·홍보전략 제고◇ 본격적인 ㅇㅇ강 연안 공통사업 추진을 위한 별도 운영책임기관 설립 검토○ 메콩강 광역권 국가를 잇는 메콩강관광조정사무소나 방콕 곳곳의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도시설계·개발센터는 모두 공적 부문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지만 실제 운영은 별도 위원회나 민간기업 방식으로 운영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적영역과 민간영역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특히 ㅇㅇ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와 유사한 메콩강관광조정사무소의 경우, 메콩강 광역권 6개국 문화관광부 소속의 공기업이지만 별도의 운영위원회를 통해 대표를 선출하여 민간 영역과의 협력, 투자유치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4개 시군이 회원 자치단체로 모여 구성·활동하고 있는 협의회가 보다민간영역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본격적인 ㅇㅇ강 연안 공통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문적인 운영기관을 설립,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협의회 및 ㅇㅇ강 수상관광 로고 및 영문표기 개선을 통한 대외 이미지 제고○ 이번 정책연수를 진행하면서 태국 방문기관의 로고나 심볼이 인상적이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반면 태국 방문기관에 소개된 협의회 영문자료를 보면서 협의회의 명칭(Geum-River Water- based Tourism Mutual Development Council)이 어렵고 길다는 의견이 있었다.○ ㅇㅇ강 그리고 ㅇㅇ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가 보다 쉽게 알려지기 위해서는 대외적으로 또는 글로벌화를 위해 보다 쉽게 접근·기억할 수 있는 로고·심볼과 명칭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참가자 의견으로는 ㅇㅇ강이 'ㅇㅇ강'임을 강조하여 'Silk River'를 활용하자는 의견과 메콩강 투어리즘 심볼과 같이 강을 형상화하자는 의견이 있었고 4개 시군의 캐릭터를 활용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로고·심볼 개발과 영문 표기 개선을 통해 수상관광 상품 접목과 외부 투자 유치시 홍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람의 얼굴로 강을 형상화한 심볼을 다양하게 활용중인 메콩강 관광 조정사무소[출처=브레인파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규모·참여형 홍보 강화○ 메콩강관광조정사무소를 비롯하여 로컬어라이크까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홍보를 중시하고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과거와 달리 여행자들 특히 개인여행자가 증가하고 이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많은 여행정보를 수집하고 있는데 대한 밀착형 홍보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메콩모멘트라는 웹사이트를 플랫폼으로 여행객들이 올린 해시태그 자료들을 모아 관리하고 이를 통해 누구나 소셜미디어로 참여할 수 있는 '미니 무비 페스티벌'을 개최, 1백만명이 넘는 참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홍보는 홍보하는 입장에서는 소규모 프로젝트로 우선 시작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여행객의 입장에서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적극 활용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여행자료 관리와 공유, 소셜미디어 이벤트 개최 등 메콩모멘츠를 참고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와의 협력 강화○ 해외에서 한국 방문 관광객을 유치하는 한국관광공사는 각종 마케팅 업무롸 상품개발, 여행객 모집·홍보 등 현지에서 매우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해외에서 직접 관광객을 유치하는 입장에서 지역으로의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교통 편리성, 특히 항공노선의 편리성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추후 ㅇㅇ역사유적지구 통합관광시스템 구축계획 수립 연구에 포함된 패스라인 구축 등 ㅇㅇ강 연안 관광 연계시 교통 편리성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내용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 태국지사에서는 서울 이외에 주로 전주 한옥마을이나 경주, 대구에 대한 홍보를 주로 하고 있어 ㅇㅇ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에서 시군 연계 상품 개발 시 여행사와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태국을 포함한 해외지사에 적극 홍보 협조를 구한다면 ㅇㅇ강 연안 관광이 한국의 새로운 관광지로서 많이 홍보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장형 관광분석을 통한 시군 연계 관광상품 개발◇ 현장 중심 분석을 통한 개발 전략 수립○ 이번 연수에서 만난 방문기관들은 현장 중심의 조사·분석을 기초로 관광상품을 개발하거나 지역 개선사항을 정하는 등 ㅇㅇ강 연안의 관광상품 개발 추진시 참고해볼만 하다.○ 조사원을 통해 조사하기도 하지만, 특이한 점은 오토바이 택시 수요가 많은 태국 특성상 오토바이 택시 승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지역의 교통상황을 가장 잘 아는 택시기사를 통해 개선해야 할 것들을 조사하기도 하는 등 사소할 수 있지만 지역을 가장 잘 아는, 가장 솔직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개발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관광객 동선 분석을 통한 2차 관광지 개발○ 특히 메콩강의 경우 방문객의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방문객들이 2차 방문지까지 이동하고 그에 따라 소비하는 비용도 늘어나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ㅇ강도 이를 고려하여 관광객의 이동동선을 파악, 동선과 4개 시·군을 연계한 관광상품을 늘려 이들의 체류시간과 소비 비용을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방문객의 이동동선, 체류시간, 소비비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2차 관광지를 개발, 체류시간을 늘려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개인여행자 증대에 따른 교통 편리성 증대와 상세 여행 정보 제공○ 태국에서 방한하는 관광객이 점차 단체객에서 벗어나 개인여행객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따라 한국관광공사 태국지사에서도 개인여행자 유치에 보다 집중할 계획을 밝혔다.○ 개인여행자들은 개별적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교통의 편리성이 여행지역 선정에 영향을 주며 또한 사전에 여행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자세한 여행정보를 보다 쉽게 제공되어야 지역 유치가 가능하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참여형, 밀착형 홍보 활동과 연계하여 홍보 및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밀착형 사회적기업 및 스타트업 육성·지원○ 이번 정책연수에서 가장 참가자들의 관심을 끈 것은 지역 관광 관련 '사회적기업'과 '스타트업'의 활성화였다.○ 메콩강관광조정사무소에서는 '지역관광 스타트업 대회'를 열어 상금을 지원했는데 스타트업 대회에 250개 스타트업이 참가할 정도로 태국에서도 지역관광 분야의 스타트업 열기가 대단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 밀착형 관광프로그램을 중개하는 사회적기업 '로컬어라이크'는 약 2년 동안 지역주민들과 직접 생활·교류하면서 어떻게 직접 주민들이 생활하는지, 어떻게 주민들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토론, 여행객과 지역주민을 연계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아직 개발되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마을 고유의 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지역 생활패턴을 그대로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등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 개발이 가능하도록 역할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관광 사회적기업 및 스타트업의 육성은 지역 콘텐츠를 살리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젊은 지역관광 인력을 활용함으로써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구 유출 방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관관 관련 사회적기업 및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자체와 주민들에게 이들의 역할과 취지,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고 공유하여 이들에 대한 인식을 자리잡게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고 이후 구체적인 성과를 수치화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분석, 지원책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요즘 확산되고 있는 '소확행' 트렌드 등을 지역 관광과 접목, ㅇㅇ강 연안만이 할 수 있는 체험형 또는 지역 고유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지역 관광 활성화에 매우 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과의 소통·협력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시민과의 소통·참여 확대 'Public Hearing'○ 각종 지역개발, 관광개발이 이상적인 기획에서 그치지 않고 실현이 가능한 '계획'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그리고 시민과의 소통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도시설계·개발센터에서는 프로젝트 추진 전 기획안을 시민들에게 발표하고 직접 아이디어를 듣고 동의를 구하는 워크숍을 자주 진행하고 있다.시민이 오게 하는 워크숍 뿐 아니라 참석이 어려운 시민을 위해 직접 찾아가는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어 얼마나 시민과의 소통을 중시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보다 다양하고 객관적인 의견 수렴을 위해 방콕 내 시민 뿐 아니라, 방콕 외의 시민까지도 소통하려 노력한다.○ 특히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Public Hearing 자리를 마련하여 방콕시 관계자, 시민 등 750~800명에게 프로젝트의 진행과정과 성과, 시민과의 소통을 어떻게 했는지를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프로젝트 완료를 알리는 것으로 시민과의 소통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완료 후 실질적인 활용과정과 사용하면서 불편함이 없는지까지 확인하는 등 시민과의 소통과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끌어내는 점은 지역개발과 관광콘텐츠 개발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사점으로 보인다.
-
□ 수변도시 주변 도시재생 프로젝트 방콕250 UDDC, 도시설계·개발센터(Urban Design and Development Center, UDDC) 17F, Wittayakit Building,Siam Square, Phayathai Road, Patumwan,Bangkok, 10330, Thailand 방문연수태국방콕 ◇ 수변도시 디자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콕도시설계·개발센터’○ 세번째 공식방문지인 도시설계·개발센터(UDDC, Urban Design & Development Center)에서는 Excecutive Directer인 Niramon씨와 그 외 Manager, Assistant Director가 함께 연수단을 반갑게 맞이해주었다. 브리핑은 Assistant Director인 Tansorn씨가 센터 내 회의실에서 진행해주었다.○ 도시설계·개발센터는 대학교와 정부기관, 특히 시민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부처들과 함께 2013년에 설립되었다. 설립이 된 이후,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에 본사를 두고 사람들에게 강 사업관련 교육을 하고, 교육부와 협력하여 도시재생 주제로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설계·개발센터는 방콕뿐만 아니라 전 세계 34개가 넘는 도시에 자리 잡고 있다. 각 지역의 센터는 도시 계획 및 디자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래 3가지의 유사한 특성이 있다.1) 공공 부문, 민간 부문이 상호 협력한다.2) 광범위한 지식 체계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3) 접근 가능한 공공장소에 자리해 있거나, 지역 사회에 속해있다.○ 태국의 도시설계·개발센터는 신체 활동, 사회적 상호 작용을 지원하고, 사람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이끌어낼 수 있는 ‘건강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도시 지역을 복원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도시설계·개발센터가 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태국의 건강한 공간 확보 및 설립을 목표로 한다.○ 특히 차오프라야강을 중심으로 한 수변지역은 중국, 포르투갈, 이슬람 정착촌 등 다문화주의와 유서깊은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하지만 거주자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차오프라야강을 다시 연결하려는 혁신 프로젝트를 도시설계·개발센터가 진행했었다. 운하를 개보수하여 산책로와 전기보트를 제공했고. 다양한 운하 조경 프로젝트를 추진했었다.◇ 대표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 방콕250○ 방콕은 2030년까지 인구가 930만 명에서 1,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방콕의 끊임없는 팽창을 관리하기 위해 도시설계·개발센터가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방콕250(Bangkok250)’은 도시 공간의 최적화, 인근 지역의 재생, 대중교통의 개선 등 방콕의 미래를 다시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이다.▲ 사무실에 전시되어있는 방콕도시 모형[출처=브레인파크]○ 방콕이 수도로 정해진지 250주년이 된 기념으로 ‘방콕 250’ 프로젝트라고 명명하였다. 태국은 과거에는 많은 사람들이 도시 외곽지역에 거주했는데 최근에 도심으로 몰리는 현상이 생겼다. 서울처럼 태국도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수도 방콕으로 몰리는 추세다.○ 방콕은 사실상 전부터 갑자기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방콕으로 몰릴 것이라예상하지 못했다. 객관적으로 봤을 때, 인구밀도는 서울이 더 높지만, 방콕이 더 복잡한 느낌이 들 것이다. 이는 방콕이 서울보다 인구밀도는 적지만 생활하기 어려운 환경적인 문제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방콕시에서는 아직까지 도시를 개선할 기회가 있다는 판단이 있었고 그로 인해서 도시설계·개발센터에 의뢰를 하여 현재부터라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뢰가 들어왔다.◇ 시민투표를 통해 우선 재생 지역 선정○ 따라서 한 부처가 큰 방콕 전체를 한꺼번에 진행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방콕시는 50개 지역으로 나눠져 있었는데 그 중에서 17개 지역을 먼저 개선했다.먼저 17개 지역에 대한 도시 디자인 계획을 수립 후 2차 계획으로 17개와 연결되어 있는 곳으로 확장하여 다시 계획을 세웠다.○ 17개 지역 선정은 강과 연결되어 있는 모든 지역을 모두 방콕에서 책임지고, 투자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시민투표를 통해 어느 지역을 우선으로 해야 할지 선택하도록 했다.○ 선정된 지역에는 대부분의 도로가 차량이 이동하지 않는 원래 빈 도로다리만 놓여져 있는 곳이 많았다. 그래서 이 지역 주민이 비어있는 곳을 방치하는 것보다 사람들이 움직일 수 있는 곳으로 개선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그래서 방콕시는 청계천을 모티브로 다리 주변지역을 개발하고 있다.◇ 추후 발생가능한 문제를 염두에 두고 계획 수립○ 이 도시계획을 짤 때에는 단지 그 주거하는 주민들을 위한 계획이 아니라 이 방콕에 올 사람들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수립한다.추후 공업단지가 방콕 시내 안으로 들어오는 것도 고려해보고 노년층의 인구가 많이 늘어나거나 제3의 성의 인구가 늘어나는 것에 대해서도 같이 계획을 했다.○ 단지 문제만 해결하는 것에 대한 계획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시간이 지난 후 어떤 문제가 나타날지를 항상 염두에 두고 계획을 수립하는 편이다.◇ 태국 시민들의 걷기 프로젝트, GOOD WALK○ 도시설계·개발센터가 재생을 시작하면서, 도시설계·개발센터는 프로젝트에 대한 어드바이져로서 리서치와 디자인 등을 맡아 작업을 하게 되었다. 도시설계·개발센터가 했던 작업들 중 ‘GOOD WALK’라는 프로젝트가 있다.○ 프로젝트는 태국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걷기 운동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다. 특히나 잘 걷지 않는 태국국민들을 위해 걷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걷기 건강에 대해 일깨워주기 위해 리서치를 진행했다.▲ 충분히 걸을 수 있는 방콕 지역에 대해 브리핑하는 Tansorn[출처=브레인파크]○ 프로젝트 같은 경우, 2016년에 처음 시작했으며 현재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방콕의 걸을 수 있는 공간에 대해 리서치 한 결과, 방콕 내에서 사람들이 걸을 수 있는 공간 안에 모든 시설이 있을 수 있는 지역이 전체 지역의 12%정도 있었다.○ 기준은 사람이 거주하는 곳을 기준으로 800m 안에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이 무엇인지 파악한 수치이며 차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조사한 것이다.○ 방콕 시내를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 사람들이 가장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곳들을 확인해보니 차오프라야 강을 기준으로 동쪽에 있는 지역들이 걸어서 사람들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지역이 많았다.○ 전체적인 지역 분포를 알아보고 그 후에 인도가 잘 형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해보았다. 조사 결과, 사실상 걸어서 생활할 수 있는 생활반경은 있으나 실질적으로 제대로 갖춰진 인도가 많이 없다는 결론을 이끌어냈다.○ 다른 지방 지역에서도 이렇게 걸어서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에 대해 관심을 보였고, 방콕을 예로 각각의 지역에서 리서치 중이다.◇ 오토바이 기사를 활용한 환경조사 실시○ 그 후에는 부수적으로 사람들이 걸어다니면서 건강에 유해하지 않게 공해측정이나 이런 것들에 대해 연구하며, 단지 인도만 있으면 걸어 다닐 수 있는 환경인지, 미세먼지나 소음 공해 등으로 인해 불쾌한 환경이 조성되지는 않는지 대한 분석도 진행한다.○ 조사 방법은 조사원들이 조사를 하기도 하고, 그 외에 오토바이 손님들을 통해 진행하기도 한다. 방콕 내에는 20만 명 정도 오토바이 기사들이 있는데, 기사들이 하루에 태우는 사람들을 계산하면 200만 명 정도가 된다.○ 이 오토바이 기사들 혹은 손님들은 매일 같은 길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떤 인도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자세히 알기 때문에 그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태국의 역사 보존과 발전을 동시에 추진○ 랏차담넌 도로 주변 지역 같은 경우, 태국의 역사를 보여주는 건물들이 많이 있는데, 아주 오래전 라마 5세 때 지어진 건물이 많아서 그 건물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발전하는 방안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대학교인 쭐랄롱꼰 대학교가 라차담넌 도로 쪽에 위치해있고, 직진거리로 3km 정도 사이에 쌈란이라는 지역이 있는데, 이 지역을 연구하고 개선하고 있다. 쭐랄롱꼰 대학교는 지어진지 200년 정도 되서 200년 기념으로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맨 먼저 했던 강 관련 프로젝트이고, 방콕시와 시의회와 함께 진행을 했다. 사판탁신역 지역을 맨 처음에 개선을 하고자 했던 이유는 지상철 역을 기준으로 하여 그 주변이 7개의 정부 부처의 부지였다.그래서 먼저 이 지역을 기준으로 개선하면 다른 지역도 자연스럽게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사판탁신 지역을 먼저 개발하기로 했다.○ 처음 이 지역 개발을 디자인할 때, 도시설계·개발센터는 협력은 했지만 디자인모처는 아니다. 사실상 이 프로젝트는 계획을 하고 완성은 안됐다.계획 후 짜오프라야 강 14km에 대한 프로젝트를 계획하느라 완나야 지역과 겹치는 바람에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서 완성하지는 못했다.◇ 역사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축제○ 태국의 카오채(Khao Chae)와 클롱산(Khlong San)은 방콕에서 가장 오래된 워터 프론트 역사 지구 중 하나다. 두 곳에는 아유타야 시대가 있으며 다양한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이 강 주변 지역은 번화한 곳으로 국제 상인들과 함께 번성하고 있다.○ 이 역사적인 곳에서 매년 야외예술 및 문화축제인 'Art Th"Three Ports II : Art Speech' 가 열린다. 현재에서 과거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현재의 문화와 예술에 초점을 맞춰 현재와 과거를 아우르는 이 축제는 UDDC가 개최했다.축제는 다양한 기관, 시민사회, 민간 부문과 함께 협치하여 만들어 간다. 역사적인 활성화를 유지하고자 이 축제에서는 과거의 예술 작품, 사진, 공연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시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프로젝트 진행 방식○△방콕지역을 그대로 재현해낸 도시모형마지막으로 도시설계·개발센터에서는 단지 디자인, 이상적인 것만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실현가능하는 것에 대해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한 건축가로부터 설계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도시설계·개발센터 도시개발팀에는 건축가는 많지 않고 사회전문가, 역사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나리오를 쓰는 사람들도 함께 일을 하고 있다.○ 또한, 도시설계·개발센터에서는 추진 전 시민들과 함께 시민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기획안을 발표한다. 그러면서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듣고, 시행할 계획에 대해 동의하는지 얘기를 듣기도 한다.○ 시민들과 자주 워크숍을 가지면서 같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함께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다. 그리고 항상 우리가 진행하는 워크숍에 참여를 못하는 시민들도 있기 때문에 도시설계·개발센터에서 직접 시민에게 방문해서 미팅을 진행하기도 한다.그리고 일반적으로 방콕 내 시민뿐만 아니라 방콕 외 지역에 사는 사람들 중 방콕 관련 사람들과도 소통하려 노력한다.○ 한 프로젝트가 끝나고 나면 이런 'Public Hearing'이라는 자리를 만들어 방콕시에 대해 결정할 권한이 있는 사람들을 750~800명 정도 불러놓고 이런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시민들과 함께 했다는 것을 알린다.○ 도시설계·개발센터에서 진행하는 모든 일들은 단지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실제로 사용하면서 불편함이 없게끔 끝까지 지원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지속적인 사회발전을 위한 센터의 비전과 목표○ 도시설계·개발센터는 도시 및 지역공동체 복구 및 개발을 위한 계획 및 설계에 초점을 맞추며 일을 진행한다. 정부 부문, 민간 부문의 경제 및 사회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지역커뮤니티를 통해 도시개발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최근 도시설계·개발센터는 다음과 같이 4가지 형태의 작업을 활성화했다.○ 파트너 및 지역 네트워크 구축: 파트너와의 협력과 지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UDDC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UDDC의 파트너 및 지역 네트워크는 정부 또는 지방 당국, 민간 부문, 시민 단체 및 지역 사회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 도시 잠재적 요인 연구: UDDC는 개발 프로젝트가 적용될 잠재적인 지역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방콕의 여러 지역 및 커뮤니티들에서 개발 요인을 연구한다. 먼저 대상 지역과 커뮤니티를 선택하고, 해당 파트너 및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작업을 시작한다.○ 멘토와 후원자 역할: UDDC는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건강경제 및 사회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장기발전의 첫 번째 단계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다음 단계는 지식 및 정보를 배포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각 커뮤니티가 자체관리 하도록 멘토링하는 것이다.○ 실제업무와 교육 프로그램의 통합: UDDC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 또한 목표로 지정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 커리큘럼에는 건강한 도시 사례 연구 및 실제 현장을 연구하는 것이 포함돼 있다.따라서 학생들은 실제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고, 자신이 사는 주변지역의 건강 도시를 실제로 실현할 수 있다. 졸업하자마자 그들은 사회 건설에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질의응답- 기관의 성격은."원래 도시설계·개발센터는 태국 국립대학교에 소속되어있는 기관이었고 설립 4년차에 주식회사로 변환했다. 일부는 아직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으나 일부는 주식회사로 변환이 되었다.국립대학교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때문이다. 대학교 소속으로 있다고 하면 인력들이 오랫동안 일을 하기 원치 않고, 구조적으로 제한이 많기 때문에 인력관리에 있어서 힘이 많이 들어서 민간기업으로 변환했다."- 기관은 언제부터 운영하기 시작했는지."사실상 도시설계·개발센터라는 이름이 생긴건 2013년이지만 2006년도부터 국립대학교 교수가 크롱산 지역의 도시재생을 시작했다.작은 마을부터 계획을 했고 개선이 되고 수입이 생기면 또 다른 지역을 개발시켰다. 이후 국가기관에서 이러한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가치있는 일이라는 판단이 들어 2013년 정식기관으로 등록이 되었다."- 태국사람들은 원래 걷는 걸 싫어한다고 했는데, 굳이 Good walk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는지."태국사람들이 걷기 싫어하는 건 인정한다. 더워서 못 걷는다고 한다. 하지만 싱가폴은 온도나 기후는 태국보다 더운데 더 잘 걷는다. 그래서 태국은 걸을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만약 환경이 좋아져서 걸을 수 있는 인도가 생기면 걸을 거냐는 질문에 자기가 최대한 걸을 수 있는 거리는 800m라고 조사된 바가 있다. 그래서 센터도 800m 안으로 최대한 사람들이 걸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려고 한 것이다.걷기 편한 환경이 조성이 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걸을 거라고 생각한다. 또 한가지 목적은 태국사람들은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문제가 심각하다.한국이나 다른 나라들은 걷기 운동을 많이 하는데 태국도 정부에서 걷기운동을 시행한다고 하면 걸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태국도 매연과 공해가 심한데, 개선할 목적은."소음공해, 미세먼지 개선에 대해서는 당연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 가장 주된 원인은 ‘교통’으로 꼽고 있다. 따라서 교통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두 번째 문제점은 많은 고층건물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는데, 내부 공기 환기 중요성을 모르고 건설을 해서 환기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그리고 국내 미세먼지에 대해 방콕뿐만 아니라 태국 시민들이 얼마나 위험한지 위험성을 모른다. 정부가 그 문제의 심각성을 언론이나 알리고 있지 않아서 모른다.그래서 우리 기관도 정부를 계속 만나며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피력하고 있다. 오픈데이터를 만들어서 계속 많이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올해부터 새로 추진하는 서비스 중 하나가 오픈데이터를 통해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도시재생 사업은 잘 진행이 되는 편인지."가장 마지막에 진행된 도시재생 사업은 태국 같은 경우 정치상황이 그렇게 좋지 않다. 서울과 다르게 방콕시에서 관리를 할 수 있는 정부부처인이 방콕시장 1명뿐인데 권한이 크게 많지 않다.정부 예산을 맘대로 쓸 수도 없고 배정된 예산도 없다. 또한 50개 구역으로 나눠져 있는데 구청장들이 원하는 일들을 하나로 묶는 것 또한 어렵다. 서울같은 경우는 서울시장이 한다고 하면 밀어주고 권한이 강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방콕은 그렇지 않아서 그게 큰 문제다."□ 일일보고서◇ ㅇㅇ시○ 도시설계·개발센터(UDDC)는 2013년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국립대학교 소속이었으나 현재는 일부 주식회사로 전환되어 운영 중임.○ 방콕을 Walkable City를 조성하기 위하여 기초조사를 실시함• 방콕은 단지 11%만 도보로 접근이 가능하고, 태국인들의 운동부족과 비만문제로 인해 800m를 걸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계획을 수립함.• 20만 명의 택시기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noise map을 제작함.➟ 워크숍, 방문미팅 등 시민의견 청취를 통해 시민들이 원하는 계획 수립○ 방콕설립 250주년에 따른 방콕250프로젝트를 실시하였고 50개의 동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1차로 17개 지역 개선계획 수립, 2차로 연결지역 계획을 수립함.• 미세먼지, 공해, 교통문제 등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10대 도시 트렌드 분석, 시민투표 등을 통해 시범지역을 선정함.◇ ㅇㅇ시○ UDDC는 도시 및 지역공동체의 복구 및 재설계에 초점을 두고 사업 진행○ UDDC 역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중간적인성격을 갖고 있음.○ 도시 디자인을 컨설팅하고 연구하여 낙후된 지역을 리모델링하고 미래의 문제에 대응○ 인상깊었던 점은 방콕에 수많은 택시기사들을 활용해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음.○ 공공 부분의 연구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곧 방콕을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만들 수 있었음.◇ ㅇㅇ군○ 강 주변의 도시의 모습을 큰 모형으로 제작하여 벽면에 설치한 모습과 보드판의 월간 계획, 포스트잇을 붙인 자유스럽고 소통이 되는 공간의 이미지를 느꼈음○ 단지 외형적인 디자인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지원과 지역사회에 속해 있으면서 접근가능성이 높은 부분이 인상적임[제안]○ ㅇㅇ강 주변 강의 모습이 "S" 모양으로 흘러가고 있음○ 건강한 S라인 : 건강도시, 친환경적인 협의회 관광상품의 슬로건 접목 가능◇ ㅇㅇ군○ 수변공관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에 대한 설명을 듣고 ㅇㅇ강 수변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사례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게됨
-
케냐 수도 나이로비 기반의 전기 운송차량 제조사인 오피버스(Opibus)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우버(Uber)와 제휴해 최대 3000대의 전기 오토바이를 보급할 계획이다. 2020년 케냐의 오토바이 등록대수는 24만6705대로 2019년 21만103대 대비 17% 증가했다. 오토바이는 많은 아프리카 도시들에서 사람과 상품의 운송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통근자들에게도 붐비는 도시를 돌아다닐 수 있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오토바이 산업은 가장 큰 단일 고용주이며 120만명 이상의 청년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 총 160만대가 넘는 오토바이 택시가 등록돼 있다. 최근 5년간 월평균 1만6500대가 국내로 수입되는 등 관련 산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막대한 수의 오토바이가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해결해야 한다. 정부는 국가확정기여금(NDC)을 활용해 전기 오토바이의 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아프리카 대륙에 맞춘 전기차량을 개발·설계·제조하는 스웨덴-케냐 기술기업인 오피버스는 케냐 및 아프리카에서 화석연료 운송 수단의 전기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우버의 플랫폼은 오피버스가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걸쳐 전기차량 대량 도입을 가속화하도록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오피버스(Opibus) 홈페이지
-
르완다 정부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오토바이 및 오토바이 택시의 30%를 전기연료로 전환할 계획이다. 버스의 20%, 소형 및 초소형 버스의 25%도 동일하게 조치한다.화석 연료 차량 및 운송 수단의 전기 전환은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전기 오토바이 택시는 화석 연료 차량들이 도로를 장악하고 있는 르완다에서 기후변화를 이끄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배터리 1개는 최대 60km까지 달릴 수 있고 가격은 900르완다 프랑(Rwandan francs)이다. 1000르완다 프랑의 휘발유 1리터와 비교해보면 35km밖에 안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라이더들에게 유리하다.단점은 여전히 광범위한 충전 네트워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국내 전기차량 개조 및 제조업체인 르완다 일렉트릭 모터(Rwanda Electric Motors Limited)는 2021년 12월 현재까지 80대의 화석 연료 오토바이를 전기 오토바이로 개조했다.또한 순수 전기 오토바이 200대를 신규로 출시했다. 전력 전환정책은 르완다 정부와 유엔(UN) 개발 프로그램의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다.▲정부(Republic of Rwanda) 홈페이지
-
2021-04-16르완다 전기오토바이 스타트업인 앰퍼샌드(Ampersand)에 따르면 EIF(Ecosystem Integrity Fund)로부터 US$ 350만달러의 투자를 확보했다.앰퍼샌드는 아프리카 대륙내에서 최초의 전기오토바이 창업체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 EIF의 벤처투자펀드에 의한 사상 최대 규모의 e-모빌리티 투자금을 모금했다. 앰퍼샌드는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500만대의 가솔린 오토바이택시보다 자사의 전기오토바이택시가 더 저렴하고 성능도 우수하다고 주장한다.무엇보다 전기오토바이는 가솔린오토바이보다 최소 75% 더 적은 탄소를 배출한다. 또한 배기관 배출은 제로(0)이다. 르완다의 수도 키길리(Kigali), 우간다의 수도 캄팔라(Kampala) 등은 대기 오염이 극심한 도시이다.전문가들은 "르완다 정부는 2030년까지 오토바이의 30%, 자동차의 8%, 버스의 25%, 미니 및 마이크로버스의 25% 등을 전기 구동기들로 전환하는 것으로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앰퍼샌드(Ampersand) 홈페이지
-
2020-12-09나이지리아 정부에 따르면 다양한 차량 운전사들이 N3만나이라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충족해야 할 요건 및 방법을 공지했다. 대부분의 운전사들이 보조금 혜택 대상이다. 우버(Uber), 볼트(Bolt) 등의 공유차량 운전사, 택시 및 버스 운전사, 오토바이 택시인 오카다(Okada) 운전사, 포장마차 운전사, 기타 대부분의 운송 사업자를 포함한다.정부의 경제지속가능성계획(NESP)의 일부인 초소기업 및 중소기업(MSME) 서바이벌 펀드 산하 차원에서 진행할 계획이다.선착순으로 수혜자가 정해지며 초소기업 및 중소기업(MSME) 서바이벌 펀드 운영 사무소에서 감수를 거쳐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다.경제지속가능성계획(NESP)은 취약한 초소기업 및 중소기업(MSME)이 급여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사업이다. 전국 13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정부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오토바이배차서비스업체 고젝(Go-Jek)에 따르면 2018년 2월 당사는 12개 투자사로부터 US$ 15억달러가 넘는 기금을 조달받았다. 지난해보다 25% 늘어난 투자액이 유치된 것이다.주요 투자사에는 자산운용사 블랙락(BlackRock), 인터넷기업 구글(Google)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은 아직 택시시장이 가치규모는 더 크지만 수요는 오토바이부문이 더욱 빠르게 성장 중이라 말한다.현재 동남아시아의 최대 택시배차서비스업체는 그랩(Grab)이다. 기업가치로는 지난 1월 기준 그랩이 60억달러, 당사인 고젝은 40억달러로 추산됐으며 이 격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다.최근 동종계 올라(Ola)와 우버(Uber)의 대동남아 투자가 공격적으로 전개되면서 택시시장은 더욱 성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대체 교통수단인 오토바이의 운송서비스도 간과하긴 어렵다.고젝 경영진들은 1인 고객의 경우 단거리 이동, 세부적인 도착지 설정, 저렴한 교통비 등을 고려할 때 오토바이 운송서비스의 시장도 성장할 여지가 충분히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젝(Go-Jek) 홈페이지 이미지
-
일본 야마하발동기(ヤマハ発動機)에 따르면 2017년 2월 아프리카지역에 배기량 110cc의 소형 오토바이 ‘CRUX Rev'를 발매할 예정이다.해당 모델은 아프리카지역을 대상으로 개발한 최초 기종으로 올해 4월부터 출시한다. 향후 중미, 카리브제도에 순차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CRUX Rev'는 차세대 저연비 엔진을 탑재해 연비를 기존 대비 약 18% 향상시켰다. 또한 2인이 탑승해도 편안하며 넓은 발판 부품을 사용해 짐을 넣을 수 있도록 실용성을 높였다.참고로 아프리카, 중미, 카리브제도의 오토바이시장은 2016년 약 360만대를 기록했다. 이중 약 절반은 배기량 100~150cc의 오토바이택시로 활용되고 있다.▲CRUX Rev 이미지(출처 : 야마하발동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