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싱포스트"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싱가포르 우편배달업체인 싱포스트(SingPost)에 따르면 2019년부터 모든 고객들은 배달원이 도착하기 전에 SMS문자를 발송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가동할 계획이다.배달원이 도착하기 30분전에 SMS문자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최종적으로 테스트하고 있다. 관련 시스템은 미국 물류최적화솔루션 개발업체인 LogiNext가 개발했다.새로 개발된 솔루션은 인공지능 시스템이 배달원의 위치와 움직임을 자동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해 고객에게 알려 준다. 도착을 사전에 알려줄 경우에 인구밀집도가 높은 도심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LogiNext는 GPS 추적시스템과 API를 연결해 컨트롤 타워에서 배달원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파악한다. 2019년 1월부터 1000명에 달하는 싱포스트 모든 배달원은 배달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을 사용해야 한다.▲싱포스트(SingPost) 빌딩(출처 : 홈페이지)
-
싱가포르 우편·물류업체 싱포스트(Singpost)에 따르면 2017/18년 1분기 순이익은 S$ 31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에 비해 13.6% 감소됐다.해당기간 매출액은 해외우편 및 물류사업의 성장으로 6.2% 소폭 올랐다. 그러나 국내 우편수요의 감소, 물류비용의 증가 등 사유로 순이익은 떨어졌다.특히 2016년 상반기 물류허브를 구축하는 데에 지출한 투자액이 현재의 실적에 타격을 주고 있다. 글로벌 유통시장의 경쟁이 과열되고 있기 때문이다.경영전문가들은 해외우편서비스 및 전자상거래 등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국경간 물류사업에 초점을 맞춰야 평년의 실적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싱포스트(Singpost) 로고
-
▲ 미국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Amazon) 로고미국의 대형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Amazon)에 따르면 2017년 싱가포르 내 당일배송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중국 동종계인 알리바바(Alibaba)와 경쟁이 과열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아마존은 싱가포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신선품을 비롯한 각종 제품을 당일배송(instant delivery)하는 유통망에 진입했다. 해당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반면 중국의 알리바바는 해당국 우편서비스공사 싱포스트(Singpost)의 전자상거래사업을 지원하면서 이미 국내 온라인 쇼핑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기존의 블루오션이었던 셈이다.아마존측은 알리바바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싱가포르 내 9290 sq m 규모의 물류센터를 설치했다. 예를 들어 달걀부터 유모차까지 주문접수 후 2시간 내로 배송이 완료될 수 있다.이미 전자상거래 웹플랫폼과 간편한 전자결제서비스는 싱가포르에서 확립된 시스템이다. 단 배송서비스의 신속성과 편의성은 고객의 니즈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할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결국 아마존의 입장에서는 해외직접구매 사이트가 활성화되고 있는 싱가포르의 특성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는 배송서비스라고 확신한 것이다. 타국가 역시 유사한 전략으로 진입하고 있다.참고로 2015년 기준 싱가포르의 온라인상점 시장규모는 US$ 550억달러로 드러났다. 향후 2025년이면 880억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산됐으며 주요인은 무역도시의 특성에서 볼 수 있다.싱가포르는 약 560만명정도의 소규모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글로벌 상인들이 당국을 거쳐가는 무역업에 종사하고 있다보니 직·간접 잠재고객은 6억명까지 확대되고 있다.
-
싱가포르 통신업체 싱텔(Singtel)과 우편 및 전자상거래업체 싱포스트(SingPost)에 따르면 2017년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 행사로 '전자폐기물 재활용 프로그램'을 시행했다.재활용을 통해 전자소재의 경제적 활용과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것이 양사의 주목적이다. 재활용 폐수거함에 넣거나 소형 전자기기는 폐기물 전용봉투에 밀봉해 해당업체로 전송할 수 있다.현재 국내에서 발생되는 전자폐기물만 매년 6만톤에 달하고 있다. 일상생활에 디지털과 전자기기의 활용도가 확대될수록 전자폐기물량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참고로 전 세계 전자폐기물 매립지가 한정된 만큼 재활용 사업은 미래 산업의 필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 내 분리수거 및 재생산업이 활발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싱포스트(SingPost) 로고
-
▲ 싱가포르 싱포스트(SingPost) 빌딩 [출처=홈페이지]싱가포르 통신업체 싱텔(Singtel)과 우편 및 전자상거래업체 싱포스트(SingPost)에 따르면 2017년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 행사로 '전자폐기물 재활용 프로그램'을 시행했다.재활용을 통해 전자소재의 경제적 활용과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것이 양사의 주목적이다. 재활용 폐수거함에 넣거나 소형 전자기기는 폐기물 전용봉투에 밀봉해 해당업체로 전송할 수 있다.현재 국내에서 발생되는 전자폐기물만 매년 6만톤에 달하고 있다. 일상생활에 디지털과 전자기기의 활용도가 확대될수록 전자폐기물량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참고로 전 세계 전자폐기물 매립지가 한정된 만큼 재활용 사업은 미래 산업의 필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 내 분리수거 및 재생산업이 활발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
▲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CAG) 전경 [출처=홈페이지]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CAG)에 따르면 2017년 '전자상거래 에어허브(AirHub)'를 구축해 국제소포물류 시스템을 개선시킬 계획이다.온라인 쇼핑 및 해외직접구매건수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공항 내 소포물량도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포 물류망의 효율성이 요구되고 있다.전자상거래 에어허브는 S$ 2100만달러를 투자해 설치한 자동소포운송 시스템이다. 해외로부터 배송된 물품을 스캔, 분류, 운송하고 싱포스트(Singpost)까지 전송할 수 있다.예를 들면 기존에 1시간당 500개의 소포를 처리했다면 해당 시스템을 통해 3배 이상인 1800개까지 가능하다. 싱포스트까지의 운송시간도 기존 6시간에서 3시간으로 절반이나 단축된다.국제 인터넷쇼핑이 점점 대중화되면서 공항 내 소포물류 시스템은 더욱 개선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창이국제공항의 에어허브가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Alibaba) 로고중국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Alibaba)에 따르면 2017년 1월 싱가폴국립대학(NUS) 및 교통카드업체 이지링크(EZ-Link)와 클라우드서비스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클라우드 컴퓨팅과 데이터 관리에 관한 업무협력을 통해 기업경영과 상점운영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국립대에서는 컴퓨팅 기술, 이지링크에서는 인구데이터를 각각 담당할 예정이다.국립대학의 경우 각종 교육기관과 협업해 클라우드에 관한 기술연구에 집중할 계획이다. 향후 알리바바의 지원을 받아 성장한 싱포스트(Singpost)의 사업운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이지링크는 현재 교통요금 외에 소매점의 상품결제까지 가능하다. 때문에 유동인구, 소비패턴, 관심도, 요구사항 등 기존보다 다양한 카테코리를 설정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
▲ 싱가포르 우편물류업체인 싱포스트(SingPost) 빌딩 [출처=홈페이지]싱가포르 우편물류업체인 싱포스트(SingPost)에 따르면 2016/17년 2분기 순이익은 S$ 314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41.2% 급감했다. 동기간 매출액이 22.3% 증가된 것과는 대비된다.순이익 감소의 주요인은 전자상거래 인프라에 대한 무리한 투자에 있으며 새로운 물류허브 구축에 비용지출이 너무 컸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쇼핑몰의 임대료 수입액도 축소되고 있다.
-
▲ 싱가포르 우편물류업체 싱포스트(SingPost) 빌딩 [출처=홈페이지]싱가포르 우편물류업체 싱포스트(SingPost)에 따르면 2016년 11월 새로운 '배송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기 위한 혁신센터(COI)를 개소했다. 이 센터는 경제개발청(EDB)의 지원으로 설립됐다.배송기술에는 드론을 활용한 우편물 배송, 전자상거래 물류플랫폼을 통한 고객맞춤식 배송 등이 있다. 향후 IT와 기계의 연동을 통한 배송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