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국가통계국"으로 검색하여,
2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02□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 최고치 기록◇ 통계청에서 발표한 ’21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보다 3.2% 상승, 9년 여만에 최고치를 경신○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상승률이 27.3%로 가장 크게 나타남○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기‧가스‧수도가 1.1%, 서비스* 부문은 3.2% 상승* 서비스 부문 : 공공서비스 5.4%, 개인서비스 2.7%, 집세1.8%▲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추이▲ 전년 동월 대비 주요품목 상승률◇ 지역별로는 전년동월 대비 강원이 3.7%로 가장 높고 전북(3.6%), 광주‧전남(3.5%), 충북‧경북‧제주(3.4%), 울산‧경기(3.3%), 부산‧인천‧대전‧충남(3.2%), 대구‧경남(3.1%), 서울(2.6%) 순으로 나타남▲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공공서비스 부문의 상승율은 5.4%, 충북이 7.3%로 가장 크게 상승○ 전북‧전남(7.2%), 광주(6.8%), 충남‧제주(6.6%), 강원‧경남(6.3%), 대전‧ 울산(6.0%), 경북(5.9%), 부산(5.5%)이 전국 평균보다 높게 상승○ 통계청은 지난해 10월 통신비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로 휴대 전화료가 25.5% 오른 것을 주요 상승 원인으로 설명* 만 16∼34세와 65세 이상에게 통신비를 2만 원씩 지원했던 효과가 올해 10월엔 사라짐□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물가 상승도 심화◇ 미국노동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2%로 3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 9월 대비 6.1% 가격이 상승한 휘발유와 에너지, 주택, 음식 등 가계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들이 주요 상승요인○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상품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원자재, 물류, 인력 등의 공급망 차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상당기간 지속될거라 전망▲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단위=%)◇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의 상승률도 전년 동월 대비 13.5%로, 25년 만의 최고 상승률 경신* 생산자물가지수 : 원자재와 중간재 가격, 제품출고가 등을 반영한 경제지표○ 원자재 가격 급등과 대규모 전력난이 상승의 가장 큰 요인○ 중국 정부의 원자재 가격 안정 정책으로 10월 이후 안정화 추세가 전망되나,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물가의 상승세가 예측▲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 (단위=%)□ 국내 물가 전망과 대응◇ 전문가들은 원유‧천연가스‧석탄 등의 가격 상승과 코로나19 백신 효과로 인한 전 세계의 경제회복으로 국내물가의 상승세를 전망○ 우리 경제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미‧중 양국의 지속적인 물가상승도 국내 물가를 상승시키는 큰 요인으로 작용◇ 정부는 12일부터 휘발유와 경유 등의 유류세를 내년 4월말까지 인하하고, LNG(액화천연가스) 관세율을 한시적으로 면제하여 연말까지 민수용 가스요금을 동결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 농축산물 등 밥상물가 인상에 대해서는 정부비축분과 공급망 개편, 할인행사 등을 추진할 계획◇ 지자체에서도 대중교통 요금 등의 공공요금의 인상압력이 높은 상황이나, 일상회복을 앞두고 서민경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자제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감지됨
-
2021-07-17중국 국가통계국(中国国家統計局)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부문에 의한 공업 생산이 큰 영향을 끼쳤다. 국내총생산 성장율은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 회계연도 2분기와 대비해 11.4% 상승했다. 공업생산은 2021년 상반기에 2020년 동기간 대비 15.9% 증가했다. 2019년 동기간 대비 연평균 증가율은 7.0%로 집계됐다. ▲중국국가통계국(中??家統計局) 로고
-
2021-03-02중국 국가통계국(国家統計局)에 따르면 2021년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6으로 집계됐다. 2021년 1월 지수는 51.3으로 9개월 연속으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춘절 연휴 동안의 제조업 생산 중단과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확산을 막기 위한 여행 자제로 서비스업에의 지출도 감소됐기 때문이다.제조업의 항목별로 2021년 2월 신규 수출 수주 지수는 48.8로 1월 50.2와 대비해 하락했다. 신규 수주 지수는 51.5였으며 고용 지수는 48.1로 악화됐다.▲국가통계국(国家統計局) 로고
-
2021-01-04중국 정부에 따르면 2020년 인터넷 부동산 경매는 49만건으로 집계됐다. 은행들이 불량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경매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2019년 12월부터 시작된 우한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도 주요인 중 하나다. 2015년 인터넷 부동산 경매는 10만건에도 미치지 못했다.주택구입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부유층의 구입이 증가하고 있다. 경매가 늘어난 것이 경기회복에 대한 징조인지는 아직 판단하기 이른 상황이다.▲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로고
-
2020-07-21중국 국가통계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NBS)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산업로봇 생산량은 9만3794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2020년 6월 산업 로봇 생산량은 2만761대로 전년 동월 대비 29.2% 급증했으며 5월 생산량 대비 16.9% 늘어났다. 코비드(COVID)-19 팬데믹 영향으로 비대면 접촉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산업 곳곳에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현재 노동 가능 인구의 감소, 노동 비용의 증가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 혁신을 통한 노동 집약적인 제조업 분야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지난 2016년 정부는 자동차 제조, 전자 제품, 가전 제품, 항공, 섬유, 화학과 같은 산업에서 로봇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이후 로봇 사용이 확대돼 왔으나 지난 2019년에는 국내 산업용 로봇 생산량이 17만7000대로 2018년 대비 3.1% 다소 줄어들었다. 하지만 글로벌 코비드-19 팬데믹 영향으로 향후 제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으로 로봇의 적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NBS♦ 국가통계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NBS) 홈페이지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14만8000세트로 전년 대비 4.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공업정보화부 장비산업개발센터는 2020년까지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가 $US 100억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시스템통합 서비스 등을 포함할 경우 시장 규모가 약 300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2019년 1~2월 국내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2만41.3세트로 전년 동기 대비 11% 하락했다. 지속되고 있는 중-미간 무역전쟁과 제조업의 침체 등 2018년 하반기부터 국내경기가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nbs▲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홈페이지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7년 1~11월 중국의 산업용 로봇 총 생산량은 11만8169대로 전년 동기 대비 68.78% 증가했다.공업정보화부는 2017년 중국의 로봇 생산량이 9월말 9만대를 초과했다. 10월 10만대, 11월 11만대를 넘어 2017년 총 로봇 생산량이 12만대를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산업현장에 로봇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으며 신흥시장 등 경제회복에 따른 로봇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고임금의 영향으로 제조업 현장에서 인력 대신 로봇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정부도 고임금으로 해외로 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로봇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할 방침이다.▲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Logo▲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로고
-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8년 외식산업 규모는 4조5000억위안으로 2015년 3조2000억위안 대비 1.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2018년 음식배달 시장 규모는 6619억위안으로 외식산업 전체의 14.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음식배달 시장은 지난 2010년 586억위안에서 2015년 2391억위안으로 급성장했으며 2018년에는 2.8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Homepage 18▲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홈페이지「外売」のビジネスモデルが普及した最大の理由は、消費者、レストラン、配達員、関係者全ての信用をスマホツールによってしっかりとつなげたことだ。中国の食品許可証レストランの食品安全情報。「外売」によって食の安全問題も改善されつつある。「外売」普及以前、従来型の店舗ごとのデリバリーではさまざまな問題が起こっていた。例えば、注文者側では、嫌がらせで大量の食べ物を送りつけるといった問題が起こったこともある。「外売」は前払いのスマホ決済のため、配達で嫌がらせをするような問題は起こらなくなった。レストランの信用は評価システムで担保される。筆者がよく使う「美団外売」では5つ星で評価し、コメントもつけられる。料理の質が悪かったり、量が少なかったりすると、評価が下がり、ユーザーから選ばれにくくなる。配達員も同様の信用評価システムで管理されている。ある日、友人が配送を依頼した「麻辣香鍋(マーラーシャングオ)」の油がすべてこぼれていたため最低評価をつけた。最低評価を付けられた配達員は、罰金を払わされる上、それ以降の注文が受けにくくなり、自分の売り上げが下がる。料理がこぼれていたり、配送目安時間より大きく遅れ料理が冷めたりすると最低評価をつけられる恐れがあるため、配達員たちは丁寧かつ速く届けるよう必死だ。配達員は、原則アプリと個人的に契約しており、会社ごとに契約形態は異なる。賃金は他業種に比べても安くない。宅急便との競争で、給料は上がっているようだ。頑張るほど稼げるため、工場や工事現場の労働者のなり手が減っていると言われる。住所や電話番号を事前に登録するため、電話口での聞き間違えによる配送ミスもなくなった。ピーク時の遅配も劇的に減った。旧来型デリバリーと比較すると、サービスレベルは格段に向上した。「外売」はさらに食の安全問題の改善にも一役買っている。以前は実店舗を持たないデリバリー専門の違法業者が横行していた。マンションの一室を厨房にし、大学などでメニューを配って学生からの注文を受けていた。当然、営業許可証などは持っていなかったはずだ。質の悪い食材や調味料を使っていても分からない。サービス開始当初は規制がなかったため、このような違法業者でも出品できていたが、市場の拡大とともに規制が厳しくなっている。デリバリー業者も、経営者の情報、食品安全検査の結果、厨房や店舗、営業許可証などの写真も掲載し、レストランの安全性をアピールすることでユーザーからの信用を得ようとしている。このような努力もあり、違法業者は激減した。フードデリバリーからスタートした「外売」だが、今ではスーパーマーケットや薬局などでの買い物代行もしてくれる。通常のネット通販では購入から配送まで早くても1日ほどかかるが、「外売」を使うと1時間以内で届けてくれる。急な発熱などで外に薬を買いに行けない場合などに便利だ。足腰の悪い両親のために、子どもが代わりに「外売」で買い物をしてあげる事例もある。北京の街にあふれる青と赤と黄色のバイクフードデリバリーのバイク「外売」を利用する女子大生と構内にあふれるバイク。変えたのは顧客の利便性だけではない。「外売」の普及で街の色が変わった。配達員はお揃いの制服に身を包み、電動バイクの後ろに専用の保温ボックスを積んでいる。北京で最も目にするのは青色の「餓了么」、黄色の「美団外売」、赤色の「百度外売」の3社だ。大学の中の景色も変わろうとしている。中国の大学は原則的に全寮制で、大学関係者の住まいも学内にあることが多く、敷地そのものが「住」「学」「食」一体の一つの街となっている。私が勤める対外経済貿易大学の片隅にアジア最大ともいわれる女子学生専用宿舎がある。P字型をした10階建てのビルに約1万人の女子大生が暮らす。昼夜の食事時間、この宿舎の門の前がカラフルな色の電動バイクであふれかえる。「外売」が女子大生たちが注文した食事を配達に来ているのだ。大学内の「食」の場は基本的に学食なのだが、お世辞にもおいしいとは言えない。近年は比較的裕福な学生も少なくないため、こうして「安いけどまずい」学食から「外売」へと鞍替えする学生が増えている。北京や上海といった都市部の街の色は今後も青、黄、赤の三色で染められていくだろう。猛スピードで発展する中国にはまだまだ数多くの社会問題が存在する。スマホの普及を背景とした新しいビジネスの登場により、その一つ一つが解決されていくだろう。西村友作+BillionBeats:対外経済貿易大学副教授・西村友作と、ソーシャルプロジェクト・BillionBeatsによる、取材、調査、執筆チーム。BillionBeatsはニュースで報じられない中国人のストーリーを集積するソーシャルプロジェクトで、西村はその運営パートナー。2010年、中国の経済金融系重点大学である対外経済貿易大学で経済学博士号取得。2013年より現職。日本銀行北京事務所客員研究員。専門は中国経済・金融。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7년 1~6월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은 17조2369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 이중 한도이상 기업의 소비품 소매 총액은 7억6953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늘어났다.경영단위 소재지별로 살펴보면 성진(성시) 지역 소비품 소매액이 14조7786억위안, 농촌지역 소비품 소매액이 2조4583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1%, 12.3% 증가했다.상품소매액 중 한도이상 기업의 상품소매총액이 7조2420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늘어났으며 상반기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의 49.0%를 차지했다.▲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1701~06Month social consumer goods retail sales 02▲중국 상반기 사회소비품 소매 현황(출처 : 국가통계국, iNIS)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7년 1~6월 전국 인터넷 소매 총액은 3조1073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4% 증가했다.이중 실물상품의 인터넷 소매 판매액은 2조3747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6% 늘어났으며 사회소비품소매액중 13.8%를 차지했다.실물상품의 인터넷판매액중 식료품, 의류품, 일용품 소매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25.1%, 20.8%, 31.8% 각각 증가했다.또한 2017년 1~6월 한도이상 소매업 기업중 슈퍼마켓의 소매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6.3% 늘어났으며 백화점은 5.8%, 전문점은 10.0%, 전문매장(독점판매점)은 7.4% 각각 증가했다.▲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1701~6Month Internetl consumer goods retail sales 01▲중국 인터넷 판매 현황(출처 : 국가통계국, iNIS)
1
2
3